• 제목/요약/키워드: Barrage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5초

탄막 알고리즘을 이용한 탄막 슈팅 게임 구현 (Implementation of barrage shooting game using barrage Algorithm)

  • 김준섭;송욱;홍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95-696
    • /
    • 2016
  • 탄막 슈팅 게임이란 적기의 총알로 가득 찬 탄막을 피하는 게임이다. 탄막 슈팅 게임은 탄막을 발사하는 각도, 좌표, 충돌들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탄막의 움직임이나 형태, 그리고 플레이어 캐릭터와 보스들의 각각의 충돌 범위들과 좌표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메소드들을 구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탄막 알고리즘을 이용한 슈팅 게임 설계 및 구현 결과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추후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도 탄막 슈팅 게임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금강수계 참게($Eriocheir$ $sinensis$)의 이동과 산란 (Migration and Spawning of the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in Geum River of Korea)

  • 김치홍;강언종;신현상;이흥헌;최윤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26-30
    • /
    • 2012
  • 본 연구는 금강하구둑과 관련하여 금강에 서식하는 참게($Eriocheir$ $sinensis$)의 이동과 산란을 알아보기 위해 2007년 5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금강 수계에서 조사하였다. 참게의 유생은 5월에 기수역에서 채집되었으나, 이후 치해로 변태하여 소상하는 개체들은 채집되지 않았다. 산란을 위해 참게들이 금강하구에 도달하는 시기는 9월 초순이었고, 3월부터 4월 사이에 산란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기수에서 부화한 참게의 유생이 치해로 변태하여 담수로 이동하는 통로를 만들어 준다면, 금강 수계의 자연산 참게 복원이 제한적이나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서해안 해만의 방조제건설에 따른 조석변화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ide Due to Barrage construction At The Bay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염기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40
    • /
    • 1977
  • 조석현상의 해석에 있어 수치해석모델은 수리모형실험과의 상호보완적인 역할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수리모형실험에는 편방향(coriolis force), 해상의 바람에 의하여 야기되는 응력 및 대기압의 변화 등을 재현시키기 위한 복잡한 발생장치가 필요한 반면, 수치해석모델에서는 이들 요소들을 쉽게 모델 내에 재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광대하고 복잡한 지형으로 이루어진 해역에 세밀한 격자망의 모델을 적용할 경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고,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격자간격을 크게 하면 안선부근에 심한 왜곡현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 computer의 용량이 점차 대형화해 가고 계산시간도 단축되어 가고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은 점차 해소될 것이다. 여기서는 영국 Hydraulics Research Station의 Sparse Scheme을 이용하여 한국 서해안의 수개 조력발전대상 후보지역에 대한 방조제 설치전후의 조석변화양상을 구하여 보았다.

  • PDF

낙동강 하구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분포에 따른 생태계 평가 적용 (Implication to Ecosystem Assessment from Distribution Pattern of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윤건탁;박흥식;장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246-253
    • /
    • 2011
  • 낙동강 하구역에서 홍수기 전후에 저서동물군집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에서, 저서환경은 대부분 지역에서 사질 퇴적상이 우세하였으며, 일부 수로 지역에서 복잡한 퇴적상을 나타냈다. 홍수기 방류에 의한 공간에 따른 퇴적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홍수기 이후 하구역 상부에서 유기물이 소량 증가하였다. 저서생물 종조성은 공간적으로 차이를 보였는데, 홍수기 이후에 배수갑문 근처 지역에서 종조성이 감소하였다. 군집분석 결과는 3개 군집구조가 나타났으며, 하구역 하부에 위치한 사주를 기준으로 공간적 구배를 나타냈다. 사주 상부에는 Sinocorophium sinensis,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 유기오염 기회종들이 우점하였다. 기회종이 디수 출현한 것은 낙동강 하구둑 주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이 방류로 인한 유기물 유입 영향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며, 방류로 인한 영향은 방조제 부근에서 사주지역까지 나타났고, 사주 바깥지역은 대량방류로 인한 저서동물의 종조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곽석남;허성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5
    • /
    • 2003
  • 2001년 9월부터 2002년 7월 사이 낙동강 하구역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설이전 어류 조사와 비교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21과 30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문절망둑과 주둥치가 최우점종이었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성체량의 $71.2\%$$67.8\%$를 차지하였다. 그 외 양태, 꼼치 등이 우점하였다. 채집종수는 봄과 가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과 여름에 높았으나, 겨울에는 모두 낮았다. 하구둑이 완공되기 직전에 실시된 어류 조사와 비교한 결과 어류 종조성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과거의 우점종인 흰베도라치, 실양태, 밴댕이 및 고등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감소한 반명, 문절망둑, 양태, 꼼치, 두줄망둑 및 농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구둑 건설 이후 강 상류로부터 내려오는 담수의 유입이 수시로 차단됨에 따라 하구역에서의 해수 유동 변동이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 하구역에 각종 부유물이 축척되는 등의 저질 환경이 변화가 일어나 어류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지하수위 시계열 예측 모델 기반 하천수위 영향 필터링 기법 개발 및 지하수 함양률 산정 연구 (A Method to Filter Out the Effect of River Stage Fluctuations using Time Series Model for Forecasting Groundwater Level and its Application to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 윤희성;박은규;김규범;하규철;윤필선;이승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3호
    • /
    • pp.74-82
    • /
    • 2015
  • A method to filter out the effect of river stage fluctuations on groundwater level was design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time series model of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The designed method was applied to daily groundwater level data near the Gangjeong-Koryeong Barrage in the Nakdong river. Direct prediction time series model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for both cases of before and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using past measurement data of rainfall, river stage, and groundwater level as inpu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data were over 0.97. Using the time series models the effect of river stage on groundwater level data was filtered out by setting a constant value for river stage inputs. The filtered data were applied to the hybrid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in order to estimate the groundwater recharge. The calculated ratios of groundwater recharge to precipitation before and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were 11.0% and 4.3%,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useful tool for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and recharge estimation in the riverside area.

낙동강 하구호에서의 인의 침강특성 (Settling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Nakdong Estuary Barrage)

  • 양진우;이석모;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5-191
    • /
    • 1990
  • 낙동강 하구호의 부영양화와 관련된 인의 순환과정을 구명하기 위해 낙동강 하구호에서 인의 침강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ediment trap에 포집된 침강성 물질의 침강 플럭스는 중층 및 저층에서 각각 $296g/m^2/d$, $955g/m^2/d$, 침강속도는 1.25m/hr, 3.31m/hr이었고, 인의 침강 플럭스는 중, 저층에서 각각 $0.64g/m^2/d$, $1.97g/m^2/d$, 침강속도는 0.85m/hr, 1.89m/hr이었다. 침강성 물질에 존재하는 POP의 총린에 대한 존재비율은 중층에서 $51.9\%$, 저층에서는 $48.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영양화 모델을 낙동강 하구호에서 적용할 경우 기존의 인의 침강속도 가정치에 대한 보정이 반드시 행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낙동강 하구호에서의 인의 용출특성 (Releas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Nakdong Estuary Barrage)

  • 양진우;송교욱;이석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2-197
    • /
    • 1990
  • 낙동강 하구호의 수질관리 모델링을 위한 인자중의 하나를 구하기 위해 하구호내의 저층 적물로부터의 인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질에 존재하는 POP와 PIP의 총인에 대한 존재비율은 각각 $34.7\%,\;65.7\%$이었고, 대부분의 PIP 는 NAI-P($61.1\%$)와 Apatite-P($30.0\%$)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하여 수온과 용존산소의 환경조건에 따라 산출한 인의 용출속도는, 높은 수온과 혐기적 조건에서는 $39.4mg/m^2/d$로 저질로부터 많은 양이 용출되며, 낮은 수온과 호기적 조건에서는 $-4.4mg/m^2/d$로 수층으로 부터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낙동강 하구호내의 저질이 인의 내부부하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하구호의 인 농도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洛東江하구 干濕地의 水生管束植物에 관한 硏究 - 河口堰 建設 前後의 干濕地 植生의 生産性 比較 (A Study on Vascular Hydrophytes of Intertidal Area in Nakdong Estuary -Productivity of Intertidal Vascular hydrophyt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Nakdong Barrage-)

  • Yoon, Hae 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63-73
    • /
    • 1991
  • 洛東江 河口堰 건설 이후의 干濕地 植生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식생의 분포와 生産性 및 現存量을 조사하여 河口堰 건설 전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干濕地 I지소의 상부에 草丈이 길고 密度가 높았던 군락(1985.7)이 草丈과 密度가 낮아졌으며, 하부에 개척자 단계의 세모고랭이 군락이 확장되고 密度와 草高 및 現存量이 증가하였다. 干濕地 II지소의 자연제방 부분에 사토가 퇴적되어 확장되고 干濕地面이 높아졌다. 동쪽부분(sandy area)의 세모고랭이 군락은 증가하고 중앙부(muddy area)의 세모고랭이는 쇠퇴되어 現存量이 감소하였다. 서쪽부분의 干濕地(sandy area)는 확장되고, 증가되었다. 河口堰 건설공사 동안 밀도, 초간, 현재량 및 一次純生産量은 심한 변동을 나타내었으며, 공사초기(1984)에 비해 공사 이후 1988년, 1989년의 총현존량(total standing crop)과 괴경의 현존량은 증가하였으나, 1990년에는 1989년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세모고랭이 塊莖의 現存量을 철새들이 도래하기 시작하는 10월을 중심으로 河口堰工事 前(유, 1987)과 河口堰건설 이후를 비교하면 1983년 부터 '84, 85년까지 증가하였으며, 1986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83년의 81%수준이었다. 완공후의 1988년에는 1983년보다 높은 0.79g DW${\cdot}m^{-2}$으로 83년의 159%로 증가되었으며, '89년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90년에는 '89년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