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traw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잡초생장(雜草生長)에 미치는 볏짚, 보리짚의 Allelopathic Effect (Allelopathic Effect of Barley and Rice Straw on Weed Growth)

  • 이춘우;김창석;장영희;연규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7
    • /
    • 1991
  • 볏짚과 보리짚의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이 상추 발아(發芽) 및 포장(圃場)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볏짚 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를 발아(發芽)시켰으며, 포장(圃場)에서 볏짚과 보리짚을 여러수준으로 피복(被覆)하여 잡초(雜草) 생육(生育) 억제정도(抑制程度)를 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아래와 같다. l. 볏짚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 발아(發芽)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어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의 존재(存在)를 추론(推論)할 수 있었다. 2. 볏짚 피복(被覆)시 $m^2$ 당 500g 이상(以上)이면 뚝새풀의 생장(生長)에 35% 이상(以上)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3. 보리짚을 $m^2$당(當) 200g 피복(被覆)할 경우 피와 바랭이의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였으며, 300g이상(以上) 피복(被覆)하연 97%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4. 또한 보리짚 피복(被覆)시 화본과(禾本科)>사초과(沙草科)>광엽(廣葉) 잡초(雜草) 순(順)으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 PDF

Nitrogen Mineralization of Cereal Straws and Vetch in Paddy Soil by Test Tube Analysis

  • Cho, Young-Son;Lee, Byong-Zhin;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2-105
    • /
    • 1999
  • Mineralization of organic N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rate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to paddy fields. A kinet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nitrogen mineralization of rice, barley, Chinese milk Ovetch (Astragalus sinicus L.; MV) and narrow leaf vetch straw in paddy soil. Nitrogen immobilization occurred rapidly and its rate increased in straw with high C/N ratio. The amount of nitrogen mineralization was rapid in the first year of rice-vetch cropping system. The rate constant (K) depended on the C/N ratio of organic matter. Mineralization of straw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The amount of available N increment resulted in fast mineralization of straw, especially in rice and barley straw. Chinese milk vetch had the greatest mineralization rate at all temperatures and fertilization levels followed by narrow-leaf vetch. However, rice and barley straws with high C/N ratio immobilized the soil N at the initial incubation duration. Chinese milk vetch or narrow leaf vetch was not effectively mineralized in mixed treatments with rice or barley straw. The mineralization rate of organic matter was mostly affected by the C/N ratio of straw and temperature of incubation. Organic matter with low C/N ratio should be recommended to avoid the immobilization of soil N and the increasing mineralization rate of straw.

  • PDF

고간류(藁稈類)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가수분해물중(加水分解物中)의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변화(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Straws of Rice, Barley, Wheat and Rye)

  • 김정제;김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1991
  • 저분자량(低分子量)을 가진 6개(個)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볏짚, 보릿짚, 밀짚과 호밀짚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변화(變化)한다. 2. Formic acid와 Acetic acid가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가장 많은 량(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Malic acid는 볏짚과 보리짚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4. Monocarboxylic acid의 molarity가 Dicarboxylic과 Tricarboxylic acid의 molarity를 합(合)한 것보다 훨씬 많았다.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5.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서로 보상관계가 있었으며 토양(土壤)에 잔유하는 기간도 상당히 오래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요소-멜라민수지로 접착된 파티클보드에 농작물 짚 첨가의 효과 (Effect of Agricultural Straw Addition in Particleboard Bonded with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 이종규;김종인;오용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76-480
    • /
    • 2005
  • 벼와 보리 등의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의 원료로서 부분적으로 대체 첨가 사용할 수 있었다. 파티클보드 접착용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를 실험실에서 수지 접착제 고형분량에 대해 5% 멜라민을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두개의 농작물 짚을 전건 목재파티클 무게에 대해 10, 20, 30, 40% 대체하여 혼합하고 합성한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파티클보드는 물리적, 기계적 성능과 치수안정화에 대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평가 결과는 파티클보드에 볏짚과 보릿짚의 대체 첨가율이 증가됨에 따라 제조한 파티클보드의 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전체적으로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 제조의 원료로서 15%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and its mixture with pine leaves on efficacy of weed control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addy fields)

  • 이상일;박기웅;원옥재;박수혁;엄민용;황기선;김영태;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11-116
    • /
    • 2015
  •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kg/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

혐기 소화 시 식물체 잔사 및 투입량에 따른 메탄 생산량 예측 (Predicting Methane Production on Anaerobic Digestion to Crop Residues and Biomass Loading Rates)

  • 신중두;홍승길;박상원;김현욱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75-8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에서 발생하는 식물체 잔사 종류별 투입비율에 따른 메탄 잠재 발생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보릿짚 및 유채대 등의 식물체 잔사를 다양한 투입율로 사용하여 세륨병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 방법론의 운동방법을 통하여 메탄 생산은 Gomperz 수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식물체 잔사별 바이오가스 생산에 있어, 최대생산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1%로 혐기소화 후 각각 6.8일에 37.2 mL/g과 7.5일에 28.0 mL/g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메탄 함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5%로 혐기소화 후 각각 5.5일에 61.7%와 3.4일에 75.0%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중온 소화시 최대 메탄 잠재발생량은 1% 보릿짚 투입율에서 159.59 mL/g 와 3% 유채대 투입율에서 156.62 mL/g로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중온소화 시 바이오매스 투입율은 유채대 3% 및 보릿짚 1%를 투입하는 것이 적정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Auto-Pressure Transducer를 이용한 국내산 고간류의 사료가치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s of Korean Straws Using Pressure Transducer)

  • 이상석;하종규;장문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41-250
    • /
    • 2003
  • 국내산 고간류의 영양학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국내산 고간류의 가스발생량과 반추위발효산물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스발생량 측정장치는 압력센서, AD board, LED 모니터 및 real-time graphics가 설치된 컴퓨터로 구성되었다. 가스발생량과 건물소화율은 지수방정식 Pt = a + b ($1-e^{-ct}$)을 기초로 추정하였다.초기 가스발생량은 볏짚이 가장 높았으며 보리짚, 밀짚순이었다. 시간당 분해상수는 3.8, 2.5, 2.5%$h^{-1}$로서 볏짚, 보리짚, 밀짚순이었다. 전체 휘발성 지방산은 초기 12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배양 72시간 이후의 농도는 세 처리구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가스발생량과 건물소화율의 상관지수($r^2$)는 0.76-0.83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휘발성지방산과 가스발생량의 상관지수는 0.91-0.98로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가스발생량, 건물소화율 및 휘발성 지방산의 단일상관관계는 고간류의 in vivo 소화율에서도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Estimation of In vitro Digestibility of Barley Straw by Using a Homogenized Rumen Fluid and Artificial Saliva Mixed with Nitrogen and Energy Sources

  • Chaudhry, Abdul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13-16
    • /
    • 1998
  • A $2{\times}2{\times}4$ factori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estimates of in vitro digestibility, using untreated (UBS) and ammonia-treated (ABS) barley straw, through homogenization of rumen fluid (RF) and by additions of urea (U) and casein (C) as N sources and Xylose + Glucose (XG) as energy sources into artificial saliva. Digestibiltiy of AB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UBS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igestibility when additions (U, UC, UCXG)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01). A 2-way interaction between RF and straw type was significant (p < 0.05) for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Homogenization of RF increased DMD of ABS (p < 0.05) whereas it decreased DMD of UBS (p > 0.05). The study showed that addition of 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nergy sources was not better than control, rather the reverse, digestion was inhibited by a combination of U and casein (UC). It was concluded that sufficient N and branched chain fatty acids were supplied in the inoculum from sheep fed high protein grass cubes to support the growth of cellulolytic microbes during in vitro incubation. Further studies are, however, requir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homogenization in improving the in vitro method to estimate digestibility of cereal straws.

농경잔류물로부터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생산을 위한 산촉매 열수 분별공정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Acid-catalyzed Hydrothermal Fractionation for Production of Hemicellulose Hydrolyzate from Agricultural Residues)

  • 황종서;오경근;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14-4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표적인 농경잔류물인, 볏짚과 보릿짚을 이용하여 헤미셀룰로오스 부분의 최대 가용화를 위한 산 촉매 열수 분별공정의 타당성을 조사한 것이다. 1.2-2.9 범위의 반응가혹도(CS; Combined reaction severity)에서 다양한 분별 조건들을 사용하여 초기 반응조건 기준을 설정했다. 볏짚의 경우, 160 ℃의 반응온도, 0.75%(w/v)의 H2SO4, 20분의 반응시간, 그리고 1:15의 고체/액체 비율을 가진 반응 조건에서 56.6%의 헤미셀룰로스 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릿짚의 경우, 150 ℃ 반응온도, 0.75%(w/v) H2SO4, 15분의 반응시간, 1:10의 고체/액체 비율에서 83.0%의 헤미셀룰로스 당 수율을 얻었다. 따라서, 볏짚과 비교하여 보릿짚의 경우 산촉매 열수분획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분별과정 후 남은 분획된 고형분은 볏짚과 보릿짚에서 각각 48.5%와 57.5%였다. 분별된 볏짚과 보릿짚의 XMG(Xylan+Mannan+Galactan) 함량은 17.3% 및 17.6%에서 6.0% 및 2.6%로 각각 감소하였으며, 이는 원료 짚 기준으로 각각 16.7% 및 8.5%에 해당한다. 또한, 보리 짚의 산촉매 열수분별 과정에서 과도한 분해로 인해 셀룰로오스 및 XMG의 5.6% 및 8.5%만 손실된 반면, 볏짚의 셀룰로오스 및 XMG 손실은 6.4% 및 26.6%이었다. 볏짚의 헤미셀룰로스 당은 산 촉매 열수 분별공정중, 다소 높은 반응가혹도로 인해 심하게 과분해된 것에 기인한다.

농산폐자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일보) 산당화 및 당화액을 이용한 효모 생산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Part I) Acid-Hydrolysis of Straws and the Utilization of the Hydrolyzate)

  • 배무;김병홍;윤애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6
    • /
    • 1973
  • 1. 화본과 작물의 짚 중에는 조섬유소, 즉, cellulose 및 hemicellulose 등 다당류의 양이 42∼55% 함유되어 있으며 동일작물이라도 품종이나 재배조건이 다르면 성분의 차이가 있었다. 2. 황산 당화액을 발효에 사용하려면 1∼2%의 황산으로 40psig에서 10분간 당화시키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으며 이 때 당화율은 원료에 대하여 30∼35%이었다. 3. 황산당화에서 40psig이상으로 가열하면 hexose의 양은 증가하나 peotose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는 pentose가 furfural 등 발효저해 물질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4. 볏짚을 상압에서 2∼5%의 황산으로 가열하여 3∼5시간에 원료에 대하여 약 35%의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5. 40psig이하에서 얻은 당화액에서 Candida utilis NCYC 707을 배양하여 소비당의 50∼55% 균체를 생산하였으며 이 때 당소비는 초기 당의 90% 이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