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ee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seeding dates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of whole-crop barley cultivated in a paddy field

  • Lee, Sang Moo;Kim, Eun Jo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5호
    • /
    • pp.278-284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ing dates on the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crop barley cultivated i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conceiv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performed in triplicate with seeding dates of Oct. 19 (T1 as treatment 1), Oct. 26 (T2 as treatment 2), Nov. 2 (T3 as treatment 3), Nov. 9 (T4 as treatment 4), and Nov. 16 (T5 as treatment 5) as treatments. The barley grown in all treatments was harvested on May 21 of the following year. Plant length,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were higher (p < 0.05) in barley with early seeding dates, whereas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ere higher (p < 0.05) with late seeding dates. Crude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highest in the T3 treatment and lowest in the T1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id detergent fiber and TDN among the different seeding dates.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order T1 > T2 > T3 > T4 > T5 (p < 0.05), wherea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with a delay in seeding date. Free sugar content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higher with early seeding dates (p < 0.05). Coll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favorable to seed soon after harvesting rice to increase dry matter and TDN yields and mineral and free sugar contents of whole-crop barley in the midlands of Korea.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II. 파성심도에 따른 유수분화 및 발육과정에 있어서의 유이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pring Habits in Naked Barley III.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kie with Different Spring Habits)

  • 최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3호
    • /
    • pp.127-134
    • /
    • 197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ike in naked barley, a typical spring grain, Wanju, and two winter grains, Sedohadaka and Nonsankwa No. 1-6 differing in their spring habits, were analyz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In all the varieties 22 ninhydrin positive components were detected at the sowing time of March 5 and 20 components in the sowing plots of March 30. In case of the latter plot, β-alanine was identified only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whereas pipecolic acid was detected only in Nonsankwa No. 1-6. Particularly, it is interesting that β-alanine was observed only in the case showing the normal heading independent of the varieties and sowing times. Whether these componen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hysiology of spring habits in barley or not is also a question to be answered. Of the major amino acids, alanine and γ-aminobutyric acid were always detected in appreciably large spots, and serine,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and asparagine were somewhat larger. In the plot of march 30, glutamic acid was also detected in very large spot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at the stage of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in Nonsankwa No. 1-6 at the stage of bract differentiation. Histidine, which showed the only qualitative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during seed germination, cannot be observed at all. Proline observed considerably large spot during seed germination was always detected but very small except that it was observed in large spot at the stage of floret differentiation in Nonsankwa No. 1-6 in the plot of March 5.

  • PDF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able Depth in Different Soil Texture on Growth and Yield of Barley and Wheat)

  • 이홍석;박의호;송현숙;구자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5-202
    • /
    • 1995
  • 토성과 지하수위를 달리하여 맥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올보리와 그루 밀을 공시하여 1992년 10월∼1993년 6월에 걸쳐 550l의 대형 포트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성을 식양토와 사양토로 조성하여 전 생육기에 거쳐 지하수위가 20cm, 30cm, 40cm, 50cm, 70cm가 되도록 조절하고 비가림 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지상부건물중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밀보다 보리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고 지하부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증대하였는데 그 정도는 보리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지하수위의 상승은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에 더욱 크게 영향하였다. 2. 생육후반기(93년 5월 18일)의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는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 30∼40cm 이상에서 감소하였고 가장 많은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은 사양토는 지하수위 50cm, 식양토는 지하 수위 70cm에서 나타났다. 3. 엽록소 함량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보리가 밀보다 토성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광합성 능력은 지하수위 20cm에서 뚜렷이 저하하였다. 4. 출수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지면서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의 경우에 사양토에서 보리의 경우 2∼3일, 밀의 경우 4일 정도 빨라졌고 식양토에서는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등숙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보리의 경우 5∼7일, 밀의 경우 10일 정도 빨라졌다. 5. 수량은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가장 많았으며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 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는데 그 감소 정도는 보리에서 71.1%(식양토)∼72.2%(사양토)였고 밀에서 41.0%(식양토)∼60.0%(사양토)이었다. 6. 수량구성요소 면에서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보리와 밀 모두 줄었으나 이삭당립중은 보리에서는 증가했고 밀에서는 감소하였다. 7. 수량과 엽록소 함량간에 보리와 밀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에서는 신선엽면적이, 밀에서는 지상부건물중,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중량 비율이 수량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맥류의 생육과 수량은 최대가 되며 비교적 안전한 지하수위는 사양토에서는 30cm, 식양토에서는 40cm라 하겠으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수량감소비율은 보리에 비하여 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 PDF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총체보리의 생육특성 및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and Rate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

  • 김원호;서성;신재순;임영철;김기용;정민웅;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5-158
    • /
    • 2006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총체보리를 파종시기와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원 소재 축산연구소에서 2001년 10월부터 2003년 5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체보리의 초장은 일찍 파종하는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물률에 있어서도 일찍 파종할수록 높았다. 즉, 10월 5일과 20일 그리고 11월 5일에 파종했을 때 각각 47.4, 41.5 그리고 34.5%였다. 그리고 파종 시기에 따른 ha당 생초수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30,090 kg에서 16,018 kg으로 적었으며 건물수량에 있어서도 14,230 kg에서 5,521 kg으로 적었다(p<0.05).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답리작 논에서 총체보리의 ha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파종시기는 10월 20일 이전이고 ha당 파종량은 220 kg/ha로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Colonization and Population Changes of a Biocontrol Agent, Paenibacillus polymyxa E681, in Seeds and Roots

  • Park, Okhee;Kim, Jinwoo;Ryu, Choong-Min;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97-102
    • /
    • 2004
  • Paenibacillus polymyxa E681, with its plant growth promotion and root colonization ability, has been proven to be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of cucumber and barle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movement of bacteria from the seed to the radicle and to the whole root system. It also illustrated the existing form and population changes of the bacteria on seed and root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e bacteria invaded and colonized the inside of the seed coat while the seeds were soaked in bacterial suspension. Almost the same number of bacteria on seed surface invaded the inside of the seed coat right after seed soaking. The population densities of E681 increased greatly inside as well as on the surface of the seed before the radicle emerged. The bacteria attached on the emerging radicle directly affected the initial population of newly emerg-ing root. The colonized cells on the root were arranged linearly toward the elongation of the root axis. In addition to colonizing the root surface, strain E681 was found inside the roots, where cells colonized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certain epidermal and cortical cells. When the cucumber seeds were soaked in bacterial suspension and sown in pot, the bacterial populations attached on both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root were sustained up to harvesting time. This means that E681 successfully colonized the root of cucumber and sustained its population density up to harvesting time through seed treatment.

보리의 토양 Sr-90 흡수 및 토양 - 작물체 전이계수 (Sr-90 Uptake by the Barley (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and Soil-to-Plant Transfer Coefficient)

  • 최용호;정규회;천기정;김삼랑;이정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33-42
    • /
    • 1991
  • Sr-90과 소석회를 처리한 pH 6.05의 양질사토로부터 보리에 의한 Sr-90 흡수 실험을 온실내에서 포트 재배로 실시하였다. 수확기에 보리 지 상부로의 Sr-90 흡수율은 늘쌀보리가 평균 0.41%, 올보리가 평균 0.23%였고 전이계수도 전자가 후자보다 부위에 따라 30-60% 정도 높았다. 흡수율과 전이 계수는 전체 적으로 볼 때 Sr-90 처 리 농도간에 유의 차가 인정 되지 않았다. 10a당 약 94kg에 해당하는 소석회 처리는 Sr-90 흡수를 억제하고 전이계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수준이었다. 보리의 부위별 Sr-90 전이 계수는 건조 중 기준으로 줄기 1.51, 및 4.45, 종실 0.35, 전지상부 1.30으로 제안될 수 있었다. Sr-90 흡수에 따른 작물체의 생육장해나 수량감소는 없었다.

  • PDF

Surface Imaging of Barley Aleurone Cell by Atomic Force Microscopy

  • Kim, Tae-Wan;Huh, Kwang-Woon;Kim, Seung-Hwan;Ku, Hyun-Hwoi;Lee, Byung-Moo;Kim, Jae-Yoon;Seo, Yong-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6-40
    • /
    • 2004
  • To observe and analysis ultra-microscopically barley aleurone cell surfac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was used. Seed coat of early maturing germplasm, eam9, was dehulled and scanned by non-contact mode. We have obtained the high resolution topographic 3-dimensional image of barley aleurone layer with high resolution. These images showed the membrane proteins in barley aleurone cell. One channel protein and numerous peripheral or integral proteins were detected in a area of 100 $\mu\textrm{m}^2$.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ir widths were ranged from 50 to 750nm and lengths from 0 to 66 $\mu\textrm{m}$. The thickness of aleurone layer was measur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thickness at early developmental stage was about 16 and then the aleurone cell enlarged upto 57 $\mu\textrm{m}$${\mu}{\textrm}{m}$ at least until 42 days after anthesis. In this study, we firstly reported on the ultrastructural AFM analysis of living aleurone cell as a biological specimen. It was clearly suggested that AFM will become an powerful tool for probing both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biological samples.

전.후작물 도입에 의한 참깨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opping System of Sesame(Sesamum indicum L.)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방진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2
    • /
    • 2004
  • 참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농경지활용도를 높이고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참깨 단작 등 4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량은 보리+참깨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작부유형간에는 보리+참깨는 후작물에서 많았으나, 그 외에서는 전작물에서 많았다.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의 작부유형은 전ㆍ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소득도 참깨 단작에 비하여 각각 21%, 61% 높았다. 참깨+배추에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들깨가 후작물로 도입시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에서 양호하였다.

맥류의 세대촉진방법에 관한 연구 IV. 수원지역에서 소맥 1년 2기작 세대촉진재배 (Studies on the Procedures of Accelerating Generation Advancement in Wheat and Barley Breeding IV. Advancement of Two Generations of Wheat Materials a Year at Suweon by Growing a Summer Generation)

  • 성병열;조장환;박문웅;홍병희;안완식;남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42
    • /
    • 1980
  • 수원지역의 포장조건하에서 1년2기작 세대촉진 재배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8~1979년에 걸쳐 파성정도가 1~VI에 촉하는 품종을 공시하여 추파재배를 실시한 후, 6월 10일에 수확하고, 미숙종자 최아법, 최아종자녹체춘화법을 이용하여 파성을 소거한 후, 하계재배 이식시기시험을 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하계재배시 이식시 유묘의 활착율은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좋고, 이식시기가 늦을수록 활착률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하계재배시 출수기는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빠른 경향이며, 양년도를 볼 때 7월 상중순에 이식하는 것이 좋았다. 3. 춘추파성품종의 간장은 모두 이식시기에 구별없이 차이가 적었고, 고온일 1978년은 8~16cm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979년에는 25~65cm 범위로 생육이 좋았다. 4. 수장은 1979년에 이식시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춘파성품종은 고온기 이식구는 수장이 짧고, 추파성품종이 춘파성품종보다 수장이 긴 편이었다. 5. 주당수수는 1979년의 경우 이식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이 1~3본이며, 7월 상중순 이식구가 약간 많은 편이고 파성이 V 이상인 품종은 수형성이 되지 못하였다. 6. 1 수입수는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많았으며, 7월 상중순 이식구가 세대촉진재배에 유리하였고, 파성이 I~IV인 품종은 주당립수면으로 세대촉진에 충분한 종자생산이 가능하였다. 7. 2년차 성적으로 보아 수원지방에서 1년2기작 세대촉진재배는 하계 최고온도가 32$^{\circ}C$ 이상에서 재배가 불가능하고 1979년과 같이 평년기온과 비슷한 해에는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어 재배모형을 작성하였다.생리적 성숙기부터 10일간 뚜렷이 감소하였다. 5. 이상의 수확기와 정곡수량 탈립성, 미질의 상관에서 나타난 수확적기는 생리적 성숙기 10일후 경이며, 이 시기의 곡립수분함량은 20% 정도이었다.9.0~46.9% 였고, 지방은 18.0~22.1%, 17.1~22.5% 및 16.7~23.6% 였다. 6. 종실의 평균 단백질함량은 5월 25일, 6월 10 및 6월 25일 파종이 각각 41.9, 42.7 및 43.1%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약간 증가하였고 품종별로는 서천백묘, 백천, SS-74185 및 강림 등이 높고 수원8003, 수원8006 및 Hill이 낮았으며 나머지 품종은 중정도였다. 한편 지방함량은 각각 19.8, 19.3 및 19.2%로 파종기간 차가 작았고 품종별로는 수원8003, 수원8006, 동북대, 봉의 및 Williams 등이 높고 서천백일, 강림, 백천, 륙우003, 동산6001, 동산 7003 및 성안 등이 비교적 낮았고 기타 품종은 중정도였으며, 대체로 단백질함량이 높았던 품종들이 지방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7. 단백질과 지방함량기간의 상관은 5월 25일 파종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r=-0.5914)이나 6월10일과 6월 25일 상관에서 각각 r=-0.3038과 -0.2975로 부의 상관경향만을 보여 파종기에 따란 상관의 정도가 약간 달랐다. 8. 10a당 종실수량은 6월10일 파종(100%)에 비해 5월 25일 파종에서 104%로 그 착 적었으나, 6월 25일 파종에서는 76%로 만파에 의한 감수정도가 컸다. 품종별 수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동산7003, Hill 및 Williams, 6월 10일 파종에서 동산 6001, 동산

  • PDF

수분부족이 보리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Germination in Winter Barley)

  • 백형진;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9-145
    • /
    • 1994
  • 보리(Hordeum vulgare L.) 품종인 백동을 공시하여 Polyethylene glycol로 배지의 수분 potential을 0, -5bar, -10bar, -15bar, -200bar로 조절하여 종자를 침지후 초기의 발아율, 발아속도, 호흡계수, $\beta$-amylase 활성과 환원당, 종자의 생건비 등을 조사하여 발아에 미치는 수분부족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이 부족할 수록 발아율의 감소 및 발아속도 지연이 극심하였다. 2. 호흡계수(Respiratory quotient :R.Q.)는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3. $\beta$-amylase의 활성은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고 환원당량도 많아지는데 이는 종실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흡수된 수분중 상당량이 세포의 구조적 수분이나 구조유지에 사용되어지기 때문이다. 4. 흡습종자의 생건비는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나 심한 수분부족에 처하게 되면 도리어 상승한다. 5.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10bar이상으로 유지되어야 종자가 정상적인 발아를 하며 초기생육도 왕성하게 유지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