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검색결과 2,414건 처리시간 0.033초

조리형태를 달리한 쌀과 보리의 급여가 정상인의 혈당과 인슐린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king Form of Rice and Barley on the Postprandial Serum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Normal Subject)

  • 임상선;김미혜;승정자;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299
    • /
    • 1991
  • 쌀과 보리의 조리형태가 혈당과 혈청 insulin에 미치는 영향을 알다 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에게 정제 당질인 dextrose와 전분원으로 쌀과 보리를 밥과 죽 형태로 급여했다. 당질부하량은 50g 당질함량으로 계산하였고, 식후 혈청 glucose와 insulin반응을 3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그 결과 dextrose와 쌀죽 섭취군은 식후 혈당과 insulin반응이 유사하였고. 보리죽과 쌀밥 섭취군은 중정도였으며, 보리밥 섭취군이 가장 낮았다. 전분원에 따라 비교했을 때 쌀은 보리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쌀과 보리를 죽 형태로 섭취했을 때가 밥으로 섭취했을 때보다 더욱 유의하게 높은 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당질의 종류뿐만 아니라 조리 형태는 당대사 반응을 결정짓는 주요한 인자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엿기름의 효소활성과 관련한 보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Varieties Related to Enzymatic Activity in Malt)

  • 이영택;서세정;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1-1426
    • /
    • 1999
  • 엿기름의 품질 요소인 당화력(DP)은 보리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 $139{\sim}220^{\circ}L$의 범위에 있었다. 당화력은 ${\alpha}-amylase$ 보다 ${\beta}-amylase$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엿기름의 ${\beta}-amylase$ 활성이 매우 중요한 인자였으며, 엿기름 첨가에 따른 amylograph 전분기질 점도 감소는 ${\alpha}-amylase$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리품종들의 품질요소들을 분석하여 엿기름 당화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엿기름의 당화력은 원맥의 품질인자와 상관관계가 별로 높지 않았으나 중량이 낮은 품종이나 덜 풍만한 품종에서 당화력이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원맥이 지니고 있는 ${\beta}-amylase$ 활성은 엿기름의 당화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엿기름의 당화력을 예측할 수 있는 잠재적인 당화력으로서 엿기름 제조에 매우 유용한 품질인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보리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적용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Application of LCA (Life Cycle Assessment) from Barely (Hordeum vulgare L.) Production System)

  • 소규호;박정아;이길재;유종희;심교문;노기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2-727
    • /
    • 2010
  • 보리생산체계의 탄소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로 구분하여 LCI database 구축하고 전과정 영향평가를 통한 잠재적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데이터 수집결과 맥주보리의 경우 전반적인 투입량이 맥종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비료투입량이 9.52E-01 kg $kg^{-1}$ two-rowed braley로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이에 따른 포장에서의 직접대기배출량 ($CO_2$, $CH_4$, $N_2O$)도 9.74E-02 kg $kg^{-1}$ two-rowed brale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CI 분석 결과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의 탄소성적 값은 각각 1.25E+00 kg $CO_2$-eq. $kg^{-1}$ naked braley, 1.09E+00 kg $CO_2$-eq. $kg^{-1}$ hulled braley, 1.71E+00 $CO_2$-eq. $kg^{-1}$ two-rowed barley였다. 영농투입량이 가장 많은 맥주보리의 탄소성적이 가장 높았다. $CO_2$는 주로 비료생산공정과 보리생산에서 발생하며, 품종 중에서 맥주보리의 $CO_2$ 발생이 1.09E+00 kg $CO_2$ $kg^{-1}$ barley으로 가장 높았다. $N_2O$는 질소시비에 의한 재배 포장의 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특히 질소시비량이 가장 많은 겉보리가 재배 중 직접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값은 7.55E-04 kg $N_2O\;kg^{-1}$ barley였다. 전과정 영향평가 수행결과 GWP의 특성화 값은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가 각각 1.25E+00, 1.09E+00, 1.71E+00 kg $CO_2$-eq. $kg^{-1}$이었고, GWP 값에 영향을 주는 보리생산체계의 주요 요인는 비료생산과 보리재배 작업이었다.

벼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 처리에 의한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y Green Crop Treatments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안규남;박노동;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11
  • 벼 재배포장에서 녹비작물의 이용성을 조사하고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적용하여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무농약 4년차 벼 재배포장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보리를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녹비구),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다음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벼 수확 후 녹비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방임구(나지방임구)와 보리를 재배한 후 수확한 처리구(관행구)에서 호품벼를 2009년 6월 15일 평당 60주를 기준으로 기계 이앙하여 얻어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가 조금 길었으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미 수량은 관행구를 100%로 볼 때 보리녹비구가 90.3%,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가 95.9%로 나타났다. 2. 벼 품질 평가에서 보리녹비구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의 단백질 함량은 관행구 6.6%에 비해 5.7%로 낮았다. 아밀로스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18.8~19.1% 범위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백도는 관행구 37.7에 비해 보리녹비구 38.9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39.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3. 취반미 윤기치는 관행구 77.6에 비해 보리수확구가 82.0, 나지방임구가 83.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4. 완전립율이 나지방임구는 95.5%인 반면에 관행구, 보리녹비구,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에서 93.8~94.2% 범위로 약간 낮게 나타났다. 쇄립율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분상질립율은 관행구가 1.7%로 가장 높았다. 5. 본 시험에서 발생된 병해는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이었다. 해충으로는 굴파리류, 혹명나방, 줄점팔랑나방, 끝동매미충이었다. 기상환경이 병해충발생에 불리한 조건으로 경과되어 병해충 발생이 전반적으로 적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ffects of Extrusion Condition of Barley on the Growth and Nutrient Utilization in Growing Pigs

  • Piao, X.S.;Chae, B.J.;Kim, J.H.;Jin, J.;Cho, W.T.;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83-787
    • /
    • 1999
  •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extrusion conditions of barley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utrient excretion in feces, a total of 150 growing pigs ($Landrace{\times}Duroc{\times}Large$ White; average 24.4 kg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five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based on corn-soybean and 30% of barley was included in each diet; barley was the only extruded ingredient. The treatments were 1) no extrusion (Control); 2) extrusion at $100^{\circ}C$ without preconditioning (ENLT); 3) extrusion at $150^{\circ}C$ without preconditioning (ENHT); 4) extrusion at $100^{\circ}C$ with preconditioning (ECLT); 5) extrusion at $150^{\circ}C$ with preconditioning (ECHT). Temperature in the barrel was controlled within ${\pm}5^{\circ}C$ by feed rate with the addition of water at the rate of $3{\ell}\;per\;min$. in the extruder for each treatment. For the 6 week experimental period, extrusion of barley improved the average daily gain (ADG) and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gross energy in growing pigs. As compared to contro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DG (p<0.05) were shown in the groups of feeding extruded barley at high temperature (ENHT and ECH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gestibilities of DM, CP and P between extrusion temperatures. Barley extruded at high temperature gave better digestibilities of DM, CP and GE than barley extruded at low temperature. Extruded barley die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0.05) lower excretions of DM, nitrogen (N) and P per kg gain as compared to the ground barley group. DM, N and P excretion per kg gain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pigs fed barley extruded at $150^{\circ}C$ than at $100^{\circ}C$. In conclusion, extrusion considerably improved the nutritive value of barley and it appeared that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안산천에서 청보리 혼파조합이 사초 생산성과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ley Mixtures on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Dry Riverbed of Ansancheon)

  • 김종덕;고기환;권찬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01-710
    • /
    • 2013
  • 하천부지에서 청보리와 월년생 두과작물을 혼파하여 사초 생산성과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안산천 하천부지에서는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건물 및 TDN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수확 시 건물률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높았으며,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클로버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높았다. 혼파조합의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가장 높았으나 조지방과 TDN 함량은 가장 낮았다. 조사료 생산에 포함된 수질오염물질의 제거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유기물과 인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안산천에서 청보리 혼파조합의 토양특성은 질소 고정능력이 우수한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토양의 전질소(TN) 함량이 높았다. 반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많고,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조합이 유기물 함량이 높았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및 유채 조합이 높고,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낮았다. 토양의 CEC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토양의 인산 함량이 낮아 하천변의 환경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에서 개발된 총체사료용 보리 품종의 형태적 특성 (New Barley Cultivars with Improv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Whole Crop Forage in Korea)

  • 박태일;한옥규;서재환;최재성;박기훈;김정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3-202
    • /
    • 2008
  • 국내 보리 소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재배 면적도 줄어들어 겨울철 논을 이용한 보리 재배 농가의 대체 소득원이 보리를 활용한 조사료 생산이다. 경지이용률 제고와 양질의 조사료 공급은 국내 축산 농가의 국제경쟁력을 올릴 수 있어 최근 청보리의 생산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식용보리에 비하여 전체적인 건물수량성이 높아야 하고 가축이 먹기에 좋도록 형태적으로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 동안 개발된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벼와의 작부체계에 알맞도록 조숙이면서 건물수량이 ha당 10$\sim$12톤 (생체수량 평균 33톤/ha)을 보이는 영양, 선우, 상원, 소만 등을 개발하였으며, 가축의 기호성이 좋도록 거친 까락을 매끈망으로 개선한 우호, 까락이 퇴화한 삼차망 보리 유연과 줄기에 잎귀를 없애서 부드럽게 만든 다미 등 초형을 개선하였다. 이러한 사료 전용 청보리 품종들은 사료가치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육종적으로 개선한 각 품종들의 고유 생육특성을 중심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Partial dehulling increases the energy content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barley in growing pigs

  • Wang, Hong Liang;Shi, Meng;Xu, Xiao;Pan, Long;Liu, Ling;Piao, Xiang 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562-568
    • /
    • 2017
  • Objective: The hull attached to the barley kernel can be mechanically removed thus reducing the fiber content of the barle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rtial dehulling on the nutrient digestibility as well as the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 of barley in pigs. Methods: Two hulled barley samples (high fiber barley [HF] and low fiber barley [LF]) with either high or low fiber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Hubei and Jiangsu Provinces of China. A portion of the two barleys was mechanically dehulled (dehulled high fiber barley [DHF] and dehulled low fiber barley [DLF]). Thirty barrows (initial $BW=31.5{\pm}3.2kg$) were assigned to one of five die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five diets consisted of 96.9% corn, HF, LF, DHF, or DLF supplemented with 3.1% minerals and vitamins. Each diet was fed to six barrows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for a 10-d acclimation period followed by a 5-day total but separate collection of feces and urine. Results: The daily loss of gross energy (GE) in feces was lower (p<0.01) for pigs fed DHF than for those fed HF. The daily N intake and fecal N loss were lowest (p<0.01) for pigs fed the corn diet. The DE and ME as well as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GE, organic matte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DHF or DLF were higher (p<0.01) than the values in HF and LF, respectively while the values except the ATTD of NDF and ADF in DLF were higher (p<0.01) than the values in DHF and were comparable to corn. Conclusion: The DE and ME contents as well as the ATTD of nutrients in both DHF and DLF barley were improved compared with the HF and LF barley. Moreover, the nutritive value of DLF barley was comparable to the yellow-dent corn used in the study.

DSC에 의한 보리 ${\beta}-Glucan$ [mixed-linked$(1-3),(1-4)-{\beta}-D-Glucan$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beta}-Glucan$ [mixed-linked $(1-3),(1-4)-{\beta}-D-Glucan$]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차희숙;김미옥;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2-27
    • /
    • 1993
  • 보리를 thermostable ${\alpha}-amylase$와 amyloglucosidase로 처리하여 ${\beta}-glucan$을 얻은 후 정제과정을 통해 순수한 ${\beta}-glucan$을 얻어 보리 ${\beta}-glucan$의 열적특성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리${\beta}-glucan$의 DSC thermogram은 3개의 흡열곡선을 나타냈으며 1차 흡열곡선은 겔화상전이 현상을 나타냈다. 보리 ${\beta}-gluca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겔화 온도범위와 엔탈피가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4 g/dl ${\beta}-glucan$의 To, Tp 및 Tc는 각각 $48.8^{\circ}C,\;61.2^{\circ}C$$78.5^{\circ}C$였고 엔탈피는 0.23 ca1/g이었다. pH 의존성에서 pH 7일 때 겔화온도의 범위가 넓었고 엔탈피도 가장 컸으며 산성과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염농도 의존성에서는 염을 가하지 않았을 때 겔화 온도범위와 엔탈피가 높았고 염을 첨가했을 경우 엔탈피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Tp와 Tc는 저온으로 이동되었으나 염농도 증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보리 ${\beta}-glucan$의 열적특성에서 urea는 겔형성을 촉진시키는 active-reagent이었고 glycerol은 inactive-reagent임이 확인되었다. 열분해 현상에서 보리 ${\beta}-glucan$의 "true melting" 온도는 $184^{\circ}C$ 였고 엔탈피는 34.6 cal/g이었으며 분해온도는 $316^{\circ}C{\sim}346^{\circ}C$ 범위로 열에 대해 매우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by path coefficient analysis

  • Choi, In-Bae;Kim, Hak-Sin;Hwang, Jae-Bok;Bae, Hui-Su;Ku, Bon-Il;Park, Hong-Kyu;Par, Tae-Seon;Lee, Geon-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4-234
    • /
    • 2017
  • Recent abnormal weather, especially continued rainfall during sowing season causes difficulty in proper sowing of wheat and delayed sowing after November 15 is concerned about freezing damage during winter, resulting in reduction of wheat yield. To correspond government policy of crop sufficiency improvement and produce and supply raw wheat and barley steadily, expansion of cultivation area is necessary and spring sowing of wheat is requir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roduction, comparison and path coefficients analysis was conducted for yield and yield related components from autumn and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ath analyses were known as very useful in clarifying the effects of yield components on grain yield formation, which we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simple correlation anaylses. Most cultivated 5 wheat and 9 barley cultivars were sown on October and February at Cheon-ju province according to standard sowing method. For the spring sowing of wheat and barley, the varieties having vernalization degree I~III are seeded in the mid of February and seeding rate is 200~250kg/ha which is increased by 25% than autumn sowing. N-fertilizer of 95 kg/ha and the same amount of P, K dressed in autumn are applied at once as basal fertilizer. The magnitude of direct effect in each yield components on yield was in sequence as follows. In autumn wheat, grain number per $spike{\geq}$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wheat, grain number per $ spike{\geq}the$ number of spike per $m^2$> 1000-grain weight. In autumn naked barley, 1000-grain weight>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and in spring barel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 1000-grain weight. In autumn covered barley, grain number per spike>the number of spike per $m^2$ and in spring coverd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1000-grain weight. In autumn malt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malt barley, the direct effects of three yield components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of yield components for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it was suggested that adequate number of spike per $m^2$ was most important factor for yield incr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