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d Shar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41초

X 대역 해상이동위성업무 추가 주파수 분배를 위한 ITU-R 표준화 연구 동향 및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requency Allocation to the Maritime Mobile Satellite Services in the X band under ITU-R Activities)

  • 오대섭;장대익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0
    • /
    • 2015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7375-7750 MHz/8025-8400 MHz 대역(X 대역) 해상이동위성업무의 추가 주파수 분배를 세계전파통신회의(WRC-15) 연구 의제로 채택하여 주파수 분배에 대한 기술적, 규정적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새로운 업무의 주파수 분배를 위해서는 동일 및 인접 대역에 이미 운용되고 있는 기존 업무와의 주파수 간섭 평가 및 공유 방안 연구를 통해 기존 업무들을 보호해야 하며 업무들 간 양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TU-R에서 연구된 X 대역 해상이동위성업무 주파수 분배 연구 동향 및 현재까지의 주파수 분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년 11월에 개최될 WRC-15에서 본 의제에 대한 우리나라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고려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의 최적 가입자망을 위한 경제성 분석 및 설계 (Design and Analysis of Tech-Economic for Optimized Access Network over Information Super Highway)

  • 장종욱;이계상;이정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1589-1600
    • /
    • 1997
  • 광케이블에 의한 가입자 엑세스 망의 구성은 투자비면에서 볼 때 40~50% 이상의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부분으로 이 분야의 최적화는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구축의 핵심 분야이다. 따라서 선진 각국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이중 성형 구조의 광가입자 엑세스 망 구조 중 HFC, ATM-PON/FTTC 그리고 Super PON 구조를 가지고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경제성 분석을 위한 비교인자로는 투자비, 유지 보수비, 내용 년수 및 잔존가 등 광가입자 엑세스 망을 구축하기 위해 소요되는 여러가지 장비들을 선택하여 정적 비교 분석법을 TITAN 모델에 적용시켜 소요비용을 산출한 결과 ATM-PON/FTTC 구조가 가장 경제적인 구조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통신망 사업자의 가입자망 구조 결정시에 가이드 라인이 될 수 있다.

  • PDF

Ka 대역에서 HAPS 비행선으로부터 GSO 위성으로의 간섭 영향 분석 (The Analysis on the Interference Effects from Airship of HAPS system to Satellite of GSO system in Ka band)

  • 강영흥;최문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B호
    • /
    • pp.476-481
    • /
    • 2004
  • WRC-2000에서는 고정 업무(Fixed Service: FS)를 위한 HAPS의 운용을 위해 27.5 ∼ 28.35㎓ 대역과 31.0 ∼ 31.30Hz 대역을 할당하였다. 그러나, 이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고정 위성 업무(Fixed Satellite Service: FSS)에 할당된 주파수이기 때문에 기존의 FSS/GSO 시스템과 FS/HAPS 시스템간의 간섭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두 시스템간의 간섭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운용 조건을 Reverse mode와 Forward mode로 고려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HAPS 비행선으로부터 GSO 위성으로의 간섭 영향에 대해 Reverse mode의 주파수 운용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C/I 기준, HAPS 시스템의 위도 그리고 HAPS 비행선의 송신전력 등에 의한 간섭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간섭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향후 HAPS와 고정 위성간의 주파수 공유를 위한 기준 설정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다.

인지 라디오 기반 OFDM 시스템을 위한 부분대역모드 검출 기법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ractional Bandwidth Mode Detection for a Cognitive Radio Based OFDM System)

  • 이지혜;왕진수;김윤희;윤석호;송익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C호
    • /
    • pp.238-245
    • /
    • 2010
  • 협대역 사용자와 주파수를 공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반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기존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부분대역모드가 제안된 바 있다. 부분 대역모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 전체 대역을 여러 부대역으로 나눈 뒤 스펙트럼 센싱 결과에 따라 특정 부대역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부분대역모드 정보를 프리앰블로 전송할 때 검출오류확률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그 성능을 무선 지역망 환경에서 살펴본다. 그 결과 이론적으로 얻은 검출오류확률이 모의실험 결과와 잘 들어맞고, 신호대잡음비가 낮을 때 검출오류확률이 $10^{-3}$이하임을 볼 수 있었다.

Clustering Strategy Based on Graph Method and Power Control for Frequency Resource Management in Femtocell and Macrocell Overlaid System

  • Li, Hongjia;Xu, Xiaodong;Hu, Dan;Tao, Xiaofeng;Zhang, Ping;Ci, Song;Tang, Hu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6호
    • /
    • pp.664-677
    • /
    • 2011
  • In order to control interference and improve spectrum efficiency in the femtocell and macrocell overlaid system (FMOS), we propose a joint frequency bandwidth dynamic division, clustering and power control algorithm (JFCPA) for orthogonal-frequency-division-multiple access-based downlink FMOS. The overall system bandwidth is divided into three bands, and the macro-cellular coverage is divided into two area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interference from the macro base station to the femtocells, which are dynamically determined by using the JFCPA. A cluster is taken as the unit for frequency reuse among femtocells. We map the problem of clustering to the MAX k-CUT problem with the aim of eliminating the inter-femtocell collision interference, which is solved by a graph-based heuristic algorithm. Frequency bandwidth sharing or splitting between the femtocell tier and the macrocell tier is determined by a step-migration-algorithm-based power control. Simulation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algorithm showed the frequency-reuse probability of the FMOS reuse band above 97.6% and at least 70% of the frequency bandwidth available for the macrocell tier, which means that the co-tier and the cross-tier interference were effectively controlled. Thus, high spectrum efficiency was achieved. The simulation results also clarified that the planning of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in FMOS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the spatial density of femtocells and the interference suffered by them. Statistical results from our simulations also provide guidelines for actual FMOS planning.

통신 시스템간 채널 공유를 위한 특성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Sharing Co-channel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 조주필;조상인;강규민;홍헌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51-256
    • /
    • 2011
  • 본 논문은 채널 공유를 위한 기준 간섭확률 대비 두 시스템인 WiBro 와 WLAN간의 이격거리를 분석하여 상용화의 기준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Monte-Carlo 방법에 기초한 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SEAMCAT)을 이용하여 TV White Spaces(TVWS) 대역의 동일 및 인접채널에서 WiBro가 무선랜에 미치는 간섭확률 및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채널에서 WiBro Mobile Station(MS)의 최대 송신파워(25 dBm)를 허용하기 위해 WiBro MS와 무선랜 User Equipment(UE) 사이에 210 m의 이격거리가 요구된다. 또한, WiBro Base Station(BS)의 송신파워는 -4.96 dBm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Understanding and Exercise of Gluteus Medius Weakness: A Systematic Review

  • Baik, Seung-min;Cynn, Heon-seock;Kim, Seok-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21
  • A weak or dysfunctional gluteus medius (Gmed) is related to several pathologies, and individuals with hip abductor weakness have Gmed weakness.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med, and the prevalence, pathology, and exercise of Gmed weakness.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were retrieved from MEDLINE, Google Academic Search,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database search used the following terms: (glut* OR medius OR hip abduct*) AND weak*. The Gm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veral functional activities as a primary hip abductor by providing pelvic stabilization and controlling hip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Weakness of the Gmed is associated with many disorders including balance deficit, gait and running disorders,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napping hip, gluteal tendinopathy,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osteoarthritis, iliotibial band syndrom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nkle joint injuries, low back pain, stroke, and nocturia. Overuse of the tensor fasciae latae (TFL) as a hip abductor due to Gmed weakness can also cause several pathologies such as pain in the lower back and hip and degenerative hip joint pathology, which are associated with dominant TFL. Similarly, lateral instability and impaired movements such as lumbar spine lateral flexion or lateral tilt of the pelvis can occur due to compensatory activation of the quadratus lumborum for a weakened Gmed while exercising. Therefore, the related activation of synergistic muscles or compensatory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cribing Gmed strengthening exercises.

다중 무선 공유기 환경에서 Multiple SSID를 이용한 대역폭 이용률 극대화 (Maximizing Utilization of Bandwidth using Multiple SSID in Multiple Wireless Routers Environment)

  • 곽후근;윤영효;정규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5호
    • /
    • pp.384-394
    • /
    • 2008
  • 무선 공유기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사용하여 여러 무선 사용자가 인터넷회선 하나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여러 개의 무선 공유기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학교 또는 소규모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무선 공유기들을 임의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특정 무선 공유기에 사용자들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공유기와 사용자들 사이에 부하 불균형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점 중 하나는 사용자가 몰리는 무선 공유기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다는 점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무선 공유기 전체 자원 이용률이 낮다는 점이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Multiple SSID를 이용하여 무선 공유기의 대역폭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부하 공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무선 공유기들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 정보를 Multiple SSR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새로운 사용자는 최대 사용가능 한 대역폭을 가진 무선 공유기를 선택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와 라우터들사이에서 대역폭 활용관점에서 좋은 부하 분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제안한 방법을 ASUS WL 500G 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대역폭 이용률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콘텐츠 공급자의 양방향적인 소셜 미디어 활동 연구 사례: TV 드라마 <한니발>의 트위터 활동을 중심으로 (Interactive Usage of Social Media for Contents Provider : Focusing on Twitter Activities of the TV Series )

  • 남명희;유은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65-573
    • /
    • 2015
  • 2000년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발달은 불특정 다수를 같은 주제 아래 연대하게 이끌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각종 대중문화의 감상과 해석을 널리 공유하는 수단이 되었고, 특정 작품을 매개로 하여 사람들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 주었다. 본 연구는 그 구체적인 사례로 미국 TV 드라마 <한니발(Hannibal)>의 제작자와 수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소개한다. 드라마 제작자인 브라이언 풀러(Bryan Fuller)를 비롯한 주요 제작진은 시청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공감하는 수단으로 SNS를 적극 사용하였으며, 이는 시청자 수로는 소규모이지만 헌신적인 시청층에게 열렬한 화답을 받았다. <한니발> 제작진은 작품 공급자이기보다 작품을 즐기는 소비자로서 SNS를 사용했고, 이는 과거의 일방향 홍보와 매우 다른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SNS가 제작자와 시청자의 중간 매개자, 혹은 정보의 허브로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으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뉴미디어에서 어떤 방식으로 제공될 때 효과가 좋은지를 제시하였다.

현장중심의 효율적 재난통신체계 수립 방안 연구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isaster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site)

  • Kim, Yongsoo;Kim, Dongye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18-527
    • /
    • 2014
  • 우리나라는 고속의 경제성장을 이룩해 오면서 경제적, 사회적으로 성장이란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왔고 그 결과 세계 선진국 대열에 근접하였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국가 전체적으로 재난과 안전이란 문제에 직면에 있다. 국가재난관리체계와 그에 대한 시스템, 국민의 안전의식은 여전히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었음이 드러났고 이것은 최근 세월호 사건으로 극명하게 표출되면서 정부와 국민 모두에게 큰 자각심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이전과 달리 재난은 환경적, 사회적 등의 변화로 더욱 대형화, 복잡화, 다변화됨과 동시에 예측이 불가능한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서 재난현장을 중심으로 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재난현장 중심의 일원화된 재난통신망 구축과 재난대응관리에 대한 법, 제도, 조직 개선 및 고도화된 재난대응표준절차 수립이 필요하다. 재난현장 중심의 효율성을 확보한 일원화된 재난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투입된 유관기관 담당자들 간의 원활한 통신확보, 다양한 현장 정보입수, 정보공유, 통신 불감지역 최소화, 정확한 현장 대응을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 통신두절 대비 백업망 구축 등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위해 음성통신 외에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과 위치정보 파악이 가능하고 우리나라가 약 70% 원천 기술을 보유한 PS-LTE 방식을 이용한 통신망 구축이 최적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파수 특성상 통신 불감지역이 최소인 700MHz 대역을 이용하고 예측할 수 없는 통신두절에 대비한 위성통신백업망과 재난현장의 많은 정보 입수를 위해 센서 네트워크 기술, 소셜미디어 활용 등을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과 현장대응 및 일사분란한 지휘통신체계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재난대응 관리 측면에서는 첫째로 재난관리 표준운영절차를 선진화, 고도화하여 재난발생시 f즉각적인 행동절차에 돌입하게 하며 둘째로 개방형 플랫폼 형태의 재난통합대응체계를 구성하여 민관이 공동으로 재난대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로 법, 제도, 업무분산에 의한 총괄조정기능을 강화하여 적극적인 재난안전관리를 도모한다. 넷째로 국무총리 산하에 별도의 재난대응 전담조직이 필요한데 해당업무의 특성이나 규모를 고려하여 소방이 적합한 조직으로 사료된다. 다섯째로 인명 구조를 위한 특수구조단체 설립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현재 중앙 119구조대를 확대,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는 현재의 복잡한 긴급구조통신번호를 119로 통합하고 이에 대한 통합센터 신설과 전문인력 양성에도 많은 정부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