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1초

규제자유특구법 개정안의 비교 고찰 (김경수, 정성호, 추경호, 홍일표, 개정안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vised Bills of the Regulatory Freedom Special Districts Act (focused on the Revised Bills by Proposed Kim Kyung-soo, Jung Sung-ho, Choo Kyung-ho, Hong Il-pyo))

  • 강민수;최호성;조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3-209
    • /
    • 2019
  •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은 지역의 혁신적이고 전략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시군구의 지역특화발전특구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유형의 '규제자유특구제도'를 시 도 단위를 대상으로 추가 도입하고, 지역의 혁신성장사업 또는 지역전략산업에 대해 혁신적인 규제특례를 부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김경수 의원이 33인을 대표해서 발의한 의안을 시작으로 추경호, 정성호, 홍일표의원이 각각 10명~12명의 의원을 대표하여 의안을 제출하였으나 법이 통과되기까지 많은 사회적 이슈로 인하여 진통을 겪었다. 법안의 주요쟁점으로 규제자유특구의 목적, 명칭, 적용범위, 추진체계, 규제혁신 3종 세트의 적용, 메뉴판식 규제특례의 종류, 징벌규정 등 사실상 법안의 처음부터 끝까지 논쟁이 발생하였으나 각 법안들의 이슈들과 쟁점들을 여야 간의 합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규제자유특구법이 전면 개정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의원 안과 통과법안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쟁점 항목이 어떻게 최종 법안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하여 규제자유특구의 올바른 운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Research on the Polarization Effects of the Shandong Processing Trade and Strategy to Coordinate Its Development

  • Xiao, Dan Da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3권2호
    • /
    • pp.17-22
    • /
    • 2013
  • Purpose -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analyzes processing trade, which constitutes a major section of foreign trade in Shandong Provi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uses the survey data on polarization, which is a vital index reflecting the unbalanced growth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article introduces the processing trade polarization index, and the processing trade polarization fluctuation rate, to predict the geographical polarization posture and development trends in Shandong Province. Results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rade in Shandong Province shows the level of gradient from east to west. The first-line growth pole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and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diffusion mechanism has taken place. However, coordination problems in accompanying regional development have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Conclusions -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rade strategy and suggests overall coordination of development objectives, using non-balanced development goal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bjectives of the processing trade in Shandong Province, the region around the city is divided into innovation diffusion region, enhanced growth areas, areas expected to undertake development, and areas to upgrade in four levels, given the different policy proposals.

기획특집: 가볼만한 생태산촌 (Recommendable ecology forest-mountain areas)

  • 이재면
    • 기술사
    • /
    • 제43권5호
    • /
    • pp.21-24
    • /
    • 2010
  • The development of the mountain areas is the economic solution to the forest-mountain region that is becoming more hollw by the day. It can also be said as providing a rest area for those that live in the cities who long for their child-hood memories. This development will bring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In order to br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mountain areas, educating a dedicated professional forest-mountain expert is a must.

  • PDF

신지역정책의 작동요인에 관한 연구 (What Makes Korea's New Regional Policy Workable?)

  • 조명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6-505
    • /
    • 2011
  • 한국의 경제발전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또한 많은 이론화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에 견주어 한국발전의 공간적 차원에 대해선 그렇지 못해 왔다. 사실,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은 한국의 발전레짐을 공간적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주효한 역할을 했다. 이 논문은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을 산업경제를 바탕으로 했던 구지역정책과 신지식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신지역정책으로 구분하되, 특히 후자의 성공적 작동 요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경제의 선진화와 더불어 직면하게 되는 새로운 지역정책의 도전을 살펴보면서 지역정책의 향후 보완과제도 함께 검토한다.

  • PDF

포스트 브렉시트 시대의 영국 지역발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함의 (A Critical Review of the UK's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Post-Brexit Era and its Implication)

  • 전봉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6-462
    • /
    • 2021
  • 본 논문은 브렉시트의 동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영국의 오랜 지역 격차와 사회분열에 대해 살펴보고, 브렉시트 이후 변화된 영국의 지역발전정책 현황 등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1970년대 후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속에 영국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와 금융개혁 등과 같은 전략적 정책 선택이 지역 격차에 미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현재 영국과 비슷한 수도권 과밀화, 지역 격차, 분권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알아본다. 또한, 유럽연합 탈퇴 이후 영국의 자구적 지역발전기금, 지역발전정책, 그리고 거버넌스 변화 등을 살피고 주요 논쟁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 간 격차가 심화하는 한국 사회에 영국 사례가 주는 교훈을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를 통한 지역 격차 완화 정책의 당위성 제시와 수도권과 비교하여 비수도권 지역의 공정한 공간환경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세종시 건설에 대한 검토와 대안의 모색 (Consideration for Construction of Sejong City and Alternative)

  • 권오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64-480
    • /
    • 2012
  • 이 논문은 세종시 건설에 대한 쟁점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것의 대안으로서 신행정수도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신행정수도로의 전환의 타당성을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비교, 검토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경우 행정기능의 지리적 분리로 인한 정부기능의 비효율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수도권 분산 효과도 제한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행정수도 이전은 비수도권 지역에 정치행정의 중심 거점을 창출함으로써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것이며, 정부 기능이 공간적으로 집적된 정치행정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써 기능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신행정수도의 위치를 현재의 세종시에서 KTX의 분기점이 될 오송으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PDF

남해안 선벨트 구상의 지역정책화 과정과 특징에 관한 시론적 연구 (Establishing Process of National Regional Policy for the Sunbelt Development Initiative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Korea)

  • 이정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51-66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안 개발에 대한 논의가 남해안 선벨트 구상을 거쳐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책으로 수립되는 과정에 대한 특징을 시계열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남해안 개발에 관한 논의를 한국미래학회, 지역화합특위, 남해안포럼 등이 지속시켰고, 논의과정에서 도출된 남해안 선벨트 구상이 제17대 대통령 선거 공약이 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지역발전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선벨트 구상을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으로 입안하였고, 정부는 2010년 5월에 국가계획으로 확정하였다.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은 남해안을 범역으로 하는 최초의 국가계획이고 법정계획이라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2020년까지 행해지는 각종사업의 구체적인 성과확보에는 회의적인 시각이 상존한다. 남해안 선벨트 구상의 성과확보를 위해 논의에 참여한 주체들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 PDF

Establishing the Innovation Platform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ech-Valley Project in Sejong city, Korea

  • Lee, Seo-Jeong;Lee, Eung-Hyun;Oh, Deog-Seong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1호
    • /
    • pp.5.1-5.12
    • /
    • 2017
  •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ed a national project to construct a new administrative capital, Sejong city and to reloc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improvement of overpopulated capital, Seoul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By the way, to relocate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a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An industri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been tried to attract universities,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region as a demand for internal growth power of the city was increased. In addtion, a basis for regional endogenous growth through projects to establish innovation system based o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was prepared as well.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contents of the development plans for Tech-Valley project and looks into major introductory functions, characterization plans, strategies for fostering strategic industry, cooperation system of the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and a strategy for building innovation platform. This case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technology infrastructure for the sustainable growth by preparing foundation for establishing innovation system and a cluster based on this system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d developing new city which did not have any industrial platform in the region.

AHP를 이용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타당성평가 개선방안 (Revision of Feasibility Evaluation Guideline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Using AHP Approach)

  • 윤성욱;이석주;이한성;정원호
    • 농촌계획
    • /
    • 제25권2호
    • /
    • pp.35-45
    • /
    • 2019
  • This study revises current feasibility evaluation guideline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considering recent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rural area. We use a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o consider qualitative evaluation items in policy enforcement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quantitative items in current economic analysis in the process of feasibility evaluation and decision making. The criteria system is composed of three level hierarchy. In the first level which consists of economic analysis, policy analysis, and regional development analysis, economic analysis was ranked top with relative weight of 0.45 and regional development analysis the lowest with 0.22. In the second level which consists of three evaluation items under policy analysis, consistency in policy enforcement, risk factors, and special evaluation factors, consistency in policy enforcement was ranked top. Finally, 13 detailed evaluation items in the third level were surveyed and ranked by using a comprehensive criticality vector. The result shows that the three most important evaluation items are 'degree of underdevelopment', 'spill-over effect of regional economy' and 'consistency with related planning and policy direction'.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Estimation of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azakhstan's Experience

  • NURLANOVA, Nailya K.;OMAROV, Akedil K.;SATPAYEVA, Zaira 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317-324
    • /
    • 2020
  •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ystematization of scientists view on monitoring and economic and innovative evaluation, analysis and diagnosis of factors affecting these processes. 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vel of innovative resources development obtain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azakhstan regions. Calculations were done based on official statistics during 2010 and 2015-2017. Based on obtained data there has been grading of the country regions and their rating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novative resources. This research identifies areas and mechanisms to ensure balance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 findings suggest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tate is affected by the innovative activity of the region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which is ensured by innovative enterprises. Transition to the model of sustainable territorial development involves the formation of such conditions and the use of mechanisms under which the natural base of this development is not destroyed,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human existence is preserved and reproduc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pport for pursuing a national policy of reducing regional imbalances, and promoting a more balanc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hole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