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자성발생성 이배체 생산 - II.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생존율, 초기 성장 및 성비 분석 (Production of Induced Gynogenetic Diploid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 II. Viability, Early Growth and Sex Ratio of Gynogenetic Diploidy)

  • 박상용;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0-193
    • /
    • 2007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유도된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초기 생존율, 초기 성장 및 성비를 분석하였다. 대농갱이 자성발생성 이배체는 일반 대농갱이 이배체 대조군과 비교 시 부화 180일까지 생존 및 성장 형질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자성발생성 이배체는 부화 10주째 암수 판별이 용이한 수준의 난모세포 발달 정도를 보였고 일반 대농갱이 암컷과 난소 발달에 있어 유사하였다. 부화 10주째 생식소 조직학적 분석 결과 일반 대농갱이 이배체 자손들은 1:1의 암수 비율을 나타낸 반면, 자성발생성 이배체 자손들은 모두 암컷으로 판별됨으로써 본 어종의 성 결정 기구는 XX-XY를 기본으로 하는 암컷 동형접합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이윤아;최경철;강언종;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8-253
    • /
    • 2001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후 1일째에 중신관과 장 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째의 초기 생식소는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0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의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정소는 부화 후 20일째에 유사분열 단계의 원시생식세포들이 분포하였으며,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4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수가 점점 증가하였고, 부화 후 50일째 난소에서는 난소강이 더 뚜렸해지며 부화 후 100일째 난소에서는 초기 난모세포가 난소내에 가득 차기 시작하여 기능적 난소의 형태로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은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 PDF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자성발생성 이배체 생산 - I.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처리 조건의 최적화 (Production of Induced Gynogenetic Diploid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 I. Optimization of Treatment Condition for Diploid Gynogenesis)

  • 박상용;이윤아;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4-189
    • /
    • 2007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유전육종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기법을 최적화하였다. 대농갱이 반수체 유도를 위해 다양한 농도의 자외선 조사를 통해 대농갱이 및 동자개 정자의 유전학적 불활성화 실시하였으며 최적 자외선 처리 조건은 4,800 $ergs/mm^2$로 나타났고, 이 때 Hertwig effect와 함께 97% 이상의 반수체 유도가 가능하였다. 반수체 대농갱이는 전형적인 반수체 증후군(haploid syndrome)을 보였으며, 반수체 대농갱이를 이배체로 복원시키기 위해 $4^{\circ}C$ 또는 $6^{\circ}C$에서 인공 수정 후 3, 5 및 7분 후에 30, 40 및 50분 간의 처리를 수행한 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38.6%)과 이배체 복원률(87.9%)은 수정 5분 후 $4^{\circ}C$에서 40분간 처리 조건에서 관찰되었다.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I. 골격형질의 다변량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the Bagrid Catfish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III. Multivariate Analysis of Osteological Characters)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7
    • /
    • 1989
  • 우리 나라 서남해안에 유입되는 하천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자개과 어류 110 개체의 골격표본을 중심으로 12개 골격형질을 추출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는 종전의 4속에서 2속으로 즉 Pseudobagrus속과 Leiocassi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Pseudobagrus속에는 P. fulvidraco, Pseudobagrus sp., P. brevicorpus이고 Leiocassis속에는 L. nitidus와 L. ussuriensis가 해당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P. brevicorpus는 Pseudobagrus sp.와 가까운 관계로 알고 있었으나 그 보다는 오히려 P. fulvidraco와 더욱 가까운계통관계로 나타났다.

  • PDF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와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간 유도된 잡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an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and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김동준;이윤아;노충환;김동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6
    • /
    • 2006
  •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 및 이들간 잡종의 염색체수는 모두 2n=52로 동일하였으나, 핵형은 서로 상이하여 동자개가 22 metacentrics (M)+22 submetacentric (SM)+8 acrocentric (A) chromosome으로, 대농갱이는 22M+14SM+16A, 그리고 잡종은 22M+18SM+12A로 구성되어 있었다. 잡종은 동자개, 대농갱이 각각의 반수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적혈구 세포 및 핵의 크기, 표면적 및 체적을 측정한 결과 유도된 잡종은 양친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동자개, 대농갱이 및 잡종의 DNA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동자개는 2.06 pg/cell, 대농갱이는 2.09 pg/cell, 동자개와 대농갱이 잡종은 2.08 pg/cell로 나타나, 잡종의 DNA 함량은 양친의 중간값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