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g Filter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1초

사이클론-백 하이브리드형 집진장치에서 유동연결부 설계조건에 따른 유동균일성 전산해석 (CFD Analysis on the Flow in the Connection Duct of the Cyclone-Bag Hybrid Dust Collector)

  • 구성모;오원철;장혁상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5-126
    • /
    • 2016
  • Numer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and the fluid inside of the cyclone-bag hybrid dust collector. Flow discharged from the cyclone in the hybrid particle collector has swirl pattern, and it results in the biased flow to the bag filters and deteriorates the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bag filter.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uct lengths and the baffle arrays in the connection duct by the computational methods. Main concerns of the analysis are how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internal flow between the cyclone and the bag filter. Numerical analysis was done to check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system with respect to the flow characteristics which is expressed in RMS values of the upward flow inside of the connection duct. The flow pattern inside of the connection duct is evaluated under different the duct lengths and the baffle arrays. In case of the reference geometry the RMS value of inside flow was 56.7%, and the value was decreased to 30.1% by controlling the lengths of duct. The effects of baffle was also evaluated, the RMS value of flow could be decreased 55.2% and so on. But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baffles becomes high and the system efficiency becomes lower.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에서 운전조건 변화로 인한 여과저항에 관한 연구[I] (Study on Filter Drag Due to the Change of Operation Conditions in a Pulse Air Jet-type Bag Filter[I])

  • 류재용;서정민;박정호;전보경;최금찬;손영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9-458
    • /
    • 2007
  • Research results for the pressure drop variance depending on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change of inlet concentration, pulse interval, and face velocity, etc., in a pulse air jet-type bag filter show that while at $3kg/cm^2$ whose pulse pressure is low, it is good to make an pulse interval longer in order to form the first layer, it may not be applicable to industry because of a rapid increase in pressure. In addition, the change of inlet concentration contributes more to the increase of pressure drop than the pulse interval does. In order to reduce operation costs by minimizing filter drag of a filter bag at pulse pressure $5kg/cm^2$, the dust concentration should be minimized, and when the inlet dust loading is a lower concentration, the pulse interval in the operation should be less than 70 sec, but when inlet dust loading is a higher concentration, the pulse interval should be below 30 sec. In particular, in the case that inlet dust loading is a higher concentration, a high-pressure distribution is observed regardless of pulse pressure. This is because dust is accumulated continuously in the filter bag and makes it thicker as filtration time increases, and thus the pulse interval should be set to below 30 sec. If the equipment is operated at 1m/min of face velocity, while pressure drop is low, the bag filter becomes larger and thus, its economics are very low due to a large initial investment. Therefore, a face velocity of around 1.5 m/min is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 At 1.5 m/min considered to be the most economical face velocity, if the pulse interval increases, since the amount of variation in filter drag is large,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let dust loading, the operation may be possible at a lower concentration when the pulse interval is 70 sec. However, for a higher concentration, either face velocity or pulse interval should be reduced.

오일 스크러버 및 집진장치를 통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 발생 타르 및 입자 제거 연구 (Simultaneous Treatment of Tar and Particles Using Oil Scrubber and Bag Filter in Biomass Gasification)

  • 김준엽;조영민;김상범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712-718
    • /
    • 2019
  • 가스화(gasification)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열화학적 변환을 통해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으로 조성된 가연성 가스인 'producer gas'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producer gas와 함께 타르(tar)를 비롯한 ash 등의 입자상 물질이 함께 생성돼, 발전 터빈이나 연소 엔진 등에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배관 등에 축적되어 막힘 현상 등을 야기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roducer gas 중 타르 및 입자 제거를 위해 오일 스크러버(oil scrubber)와 집진장치를 도입하였다. 흡수용매로써 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스크러버의 용매 온도에 따라 제거효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집진장치에는 타르로 인한 필터 눈 막힘 현상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pre-coating 기술을 도입하였다. Pre-coating에 사용할 물질로써 분말 소석회와 목탄계 활성탄(wood char)을 사용하였으며, 타르(tar)를 비롯한 입자 평균 제거 효율은 소석회를 pre-coating 물질로 사용 시 86%, 활성탄의 경우 80%로 나타났다. 스크러버와 집진장치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에는 평균 제거효율이 소석회는 88%, 활성탄의 경우 83%로 나타났다.

막분리공정을 이용한 용수처리

  • 김해수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3년도 제1회 하계분리막 Workshop
    • /
    • pp.83-95
    • /
    • 1993
  •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filtration 테크놀러지는 feed stream으로부터 제거되는 파티클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그 범주를 정할 수 있다. 부유 고체물의 재래식 macrofiltration 은 feed solution이 수직 방향으로 filter media을 통하여 흐르게끔 하는 것이다. 전체 용액은 메디아를 통하여 지나가는데 단지 한개의 stream만 만든다. 그런 여과 장채의 보기를 들면, cartridge, filter, bag filter, sand filter, multimedia filter들이 있다. Macrofiltration separation은 1 미크론 이상가는 비용해성 파티클에 국한된다.

  • PDF

중탄산나트륨이 첨가된 여과집진기를 이용한 염화수소의 제거 (Removal of HCl Using a Bag-Filter with Addition of Bicarbonate)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3호
    • /
    • pp.121-12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배기가스로부터 생성된 신성가스 중 HCl의 제거를 위해 기존의 건식 반응기와 여과집진기를 사용하였다. 흡착제는 중탄산나트륨($NaHCO_3$)를 시용하였으며 흡착제($NaHCO_3$) 의 성능, 효율을 평가한다. 이러한 중탄산나트륨의 성능, 제거효율을 평가하여, 중탄산나트륨이 건식 반응기에서의 최적의 운전조건을 분석하였다. 체류시간, 당량비, 온도, 여과집진기의 압력등을 운전조건으로 하였으며 체류시간은 1.5sec로 고정하였고, 중탄산나트륨 주입비(당량비)를 1SR, 1.25SR으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160^{\circ}C$, $180^{\circ}C$, $200^{\circ}C$로 하였고, 여과집진기의 압력은 210mmAq, 230mmAq, 250mmAq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온도가 큰 영향은 없고, 압력과 당량비가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적의 운전조건은 주입비 1SR에서 $180^{\circ}C$, 230mmAq이다. 이 조건에서의 제거율은 99.50%로 나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