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ekje period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백제양식석탑의 형성과 전개의 시발점(始發點) (A Starting Point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aekje-style Stone Stupa)

  • 전지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72-197
    • /
    • 2009
  •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은 한국석탑의 시원인 동시에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백제석탑이다. 따라서 이 둘의 특징을 살펴보는 작업은, 넓게는 한국석탑, 좁게는 백제양식석탑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백제의 뛰어난 건축술은 기록에도 전하듯이 아비지가 신라의 국가적인 사업인 황룡사목탑의 건립에 초청된 것을 통해서 알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석탑과 관련된 기술과 양식이 신라에 전파되었음도 짐작된다. 그러나 신라통일을 맞이하여 백제석탑의 양식을 공유하는 석탑들이 일순간에 단절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화와 예술이 계승 발전된다는 측면에서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현재 학계에서는 여타의 백제지역 석탑들을 모두 고려시대 건립된 백제계 석탑이라는 틀로 규정하여, 일률적인 편년 아래 두고 있다. 등장요인으로는 불교의 대중화, 지방 호족의 지원, 문화의 복고적 경향 등을 들고 있는데, 과연 이것만으로 백제양식석탑이 약 300년간의 공백을 깨고 한 순간에 등장할 수 있었는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물론 경주지역처럼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백제양식석탑이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개의 시발점에 초점을 맞추어, 백제양식석탑이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을 통해서 형성되고, 그후 왕궁리 석탑을 통해서 전개가 시작되었음을 고찰해 보았다.

백제시대 수촌리유적 출토 환두대도의 복원제작 (Reproduction a Loop-handled Sword from Suchon-ri Site During the Baekje Kingdom)

  • 정광용;이현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83-102
    • /
    • 2006
  • The Suchon-ri tomb No. 1 is the earliest one among the Suchon-ri tombs excavated in 2003. The Suchon-ri tomb No. 1 yielded a number of valuable artifacts furnished with burial goods such as gilt bronze items of a crown, a pair of earrings and shoes and a loop-handled sword with inlaid silver decoration. In particular, a loop-handled sword drew scholarly attention in that it showed characteristics of Baekje such as wave patterns on a silver plate decorated in the handle and sheath and inlaid dragon design on the loop-handle. In the process of the reproducing the loop-handled sword, classification methods of the loop-handled swords, iconography decorated on the swords, unearthed loop-handled sword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investigated along with studying the reproduction cases in Japan. In addition to the study focused on the shape of the swords, manufacturing techniques have been thoroughly analyzed through scientific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synthesis of a series of studies and analyses,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s employed by Baekje artisans had been inferred and a replica of the loop-handled sword was manufactu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s.

  • PDF

백제 지하저장시설(地下貯藏施設)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in Baekje)

  • 신종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129-156
    • /
    • 2005
  • 최근 백제유적에 대한 발굴조사에서는 토광형태 또는 목재나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지하식의 저장시설이 발견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백제시대 지하저장시설을 형태 및 축조방법별로 복주머니형(플라스크형), 목곽형, 석곽형 시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복주머니형 저장공은 백제 한성시기~사비시기의 금강 및 한강유역의 많은 유적에서 현재까지 600기 이상 조사된 백제의 가장 대표적인 지하저장시설로 3~7세기대 한강유역과 금강유역의 백제의 독특한 저장문화를 구성하는 유구로서 그 구조나 중국의 예를 통해 볼 때 곡물의 장기저장을 위한 시설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외에도 토기의 저장 등 다양한 물품이 저장되었다고 보인다. 목곽형과 석곽형의 저장시설은 사비시기의 유적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어 6세기 이후 복주머니형 저장공의 축조가 줄어들면서 그 기능을 일부 대체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그 축조방법이나 구조상 공력이 많이 소모되는 것으로 도성이나 성곽유적에서 공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곽형 저장시설은 평면 장방형인 것과 방형인 것, 축조방식에 따라 가구식(架構式)과 주혈식(柱穴式)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축조하고자 하는 지점의 지형이나 지질에 의해 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목곽형 저장시설은 관북리유적과 월평동유적의 예를 통해 볼 때 과일과 같은 식품류의 저장과 군사주둔지에서의 중요물품 저장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품목의 물건이 저장된 것으로 보인다. 지하 저장시설의 기능적 특성상 식품류의 장기저장과 일본의 예를 통해 볼 때 화재시 중요물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련하여 목곽이나 석곽의 저장시설이 채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ir Orname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States)

  • 김문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5호
    • /
    • pp.712-7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Hair ornaments in old tombs of the Three Kingdom States. Hair ornaments was divided into Combs, Rod-like hairpins, Chae[;釵], Boyo[;步搖] Combs were 2 type in according to the tooth's space, wide-tooth comb[;梳] and fine-tooth comb(;比). The general name of two type was called Jeul(;櫛). Combs were excavated from the only ancient Silla tombs. Rod-like hairpins were called Gha(叉) or Jam(:簪). They were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Goauryeo, Baekje, ancient Silla tombs. The style was L-type and embellished circular head-type. Chae(;釵) was understand Cha(:叉) that had two tongs. Chae(:釵) was generally U-type and rarely hairtweezers -type. Jakchae(;爵釵) was understand distinctive Chae(;釵) hanged with phoenix. This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Baekje tombs of King of Muryeong. Boyo(;步搖) was originally a hair decoration of the northern nomadic tribes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the Wijin period. Boyo gained its popularity by the women in Dang Dynasty, hair ornaments were considered indicators of status and wealth. Boyo(;步搖) hair accessory features of which are suspended from a elaborate hairpin structure. Such pieces were designed to sway as their wearer walked. The bequest was not found, but we catch the Boyo(; 步搖) that was women'head decoration in painting of old tombs in Goguryeo.

  • PDF

A Comparison i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in Buyeo, Korea, from Baekje Period

  • Koh, Min Jeong;Kang, Hyung Tae;Kim, Na Young;Kim, Gyu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73-4179
    • /
    • 2012
  • From Neungsalli Temple located in Buyeo, ancient glass vessel fragments were discovered along with hundreds of glass beads. In this research, we used SEM-EDS to analyze glass vessel fragments and bead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Then, we analyz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a relationship between glass vessels from Neungsalli temple and Hwangnamdaechong (South tomb).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howed that the glass artifacts from Neungsalli temple were all soda glass. To be specific, the vessel fragments were soda-lime glass and spherical beads were high-alumina soda glass. Then, we compared glass vessel fragments from Neungsalli temple to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Glass vessels from both sites turned out to be soda lime glass. We classified them further based on raw material used for soda - natron and marine plant ash.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의약인물(醫藥人物) (Ancient Medical Personnel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 신순식;양영준
    • 제3의학
    • /
    • 제2권2호
    • /
    • pp.253-295
    • /
    • 1997
  • It is very critical to specify certain medical personnels in defining the history of certain era. Due to the limited source of information and lack of thorough research, there still aren't enough study grounded on concrete historical investigation. Authors attempted to investigate those medicinal personnels engaged in Three Kingdoms period in terms of the activity area, relation with religion and their role in medical system and medical exchange. The sum of recorded medical personnels in Three Kingdoms period numbers 50 of which 6 belonged to Kokooryo, 18 to Baekje, 7 to Shilla and 19 to Unified Shilla. There might existed far more medical personnels who tried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and were not recorded in the documents. The more earlier in times, the more medicine gets the religious tinge. This is not the exception for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those medicine men, wizard doctors and priest doctors were playing important role in healing people and processing crude drugs. The system of royal physician and medical education facility were established and doctors and pharmacists, shamanic doctor, herb collectors, Kongbong's doctor(供奉醫師), Kongbong's diviners(供奉卜師) took leads in medicine in those times. Those folkloric healers also took part in. Korea imported chinese medicine and Japan employed chinese medicine via Korea or directly from China and developed into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In this process those who emigrated from Baekje and Kogooryo and their offsprings took an active part. Since the limited source of information of Three Kingdoms, we only can infer the me야cal environment of those times by featuring the activities of medical personnels.

  • PDF

백제 한성기 취사용기에 대한 검토 -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oking Vessel of Baekje Hanseong Period)

  • 정수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12-129
    • /
    • 2011
  •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 중심지역에 해당되는 서울 몽촌토성, 서울 풍납토성, 서울 석촌동고분군, 하남 미사리유적에서 출토된 취사용기의 형태, 제작기법 등을 분석하여 그 전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형태적 분석에서는 심발형토기는 동최대경이 동체상부에 위치하고 장란형토기는 동최대경이 동체중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부잘록도는 두 기종 모두 미비한 편이었다. 유적별로는 심발형토기의 경우 서울 석촌동고분군이 용량이 적고, 심도가 깊으며, 동최대경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란형토기는 서울 풍납토성이 하남 미사리유적보다 심도가 깊고, 동최대경은 동중부에 위치하며 경부잘록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작기법 분석에서는 심발형토기는 용량군의 폭이 커질수록 유문내박자를 이용하여 타날하였는데, 외면에는 승문이 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벽이 가장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성을 포함하고 있다. 장란형토기에서도 유문내박자를 사용한 토기가 기벽이 가장 얇고 경부의 잘록도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순부에 강한회전력에 의한 정면흔적이 관찰되었다. 두 기종 모두 유문내박자를 사용하면서 더욱 기벽을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제 한성기 중심지역에서 출토된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는 태토나 소성에서는 시간성이 명확하지 않지만 제작기법상에서 그 전개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제작기법의 변화양상에는 시간성도 반영되어 있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A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from Perspective of Maintenance Project)

  • 김미진;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49
    • /
    • 2021
  •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하였으나 점차 사역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첫째,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보호법상 지정된 문화재와 주변에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경관을 조성, 유지, 관리하는 조경 행위로서 유구 보호 및 정비, 기능별 공간 배치와 동선계획,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조물 설치, 방문자 편의를 위한 시설물 도입, 식생경관 조성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은 일제의 문화재 지정과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진 '고적조사사업', 광복 이후 '백제탑공원 조성',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문화권 개발사업', 고증의 어려움으로 전각의 복원 대신 공원과 박물관 건립으로 이행된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사업', 백제 창건 당시 가람 배치를 회복하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정림사지 복원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부여신궁(扶餘神宮) 외원(外苑)과 연계된 기념공원 조성, 일제강점기의 시가지계획 실현, 발굴 유구와 사역의 보호환경 조성, 가람 배치의 원형복원, 문화재의 진정성 회복과 활용이라는 정림사지 경관 변화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림사지 경관은 문화재 지정대상과 범위, 토지이용, 동선·포장, 유구정비 수법, 구조물, 시설물, 식생으로 결정되는데 이들의 정비 양상을 고찰한 결과, 문화재 영역의 시각적 차별화로 위계성 부여, 문화재 지정 범위 확장을 고려한 과정적 경관 조성, 가역성을 고려한 유구 정비로 진정성 확보, 역사문화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 오픈스페이스 제공으로 문화유산 향유가치 증진이라는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기술 (Construction Techniques of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 이혁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168-184
    • /
    • 2022
  • 이 글은 삼국시대 토성 가운데 가장 많은 조사가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성을 대상으로 축조기술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토성의 축조공정을 '입지선정과 기저부 조성', '체성 축조', '공정의 마무리와 증축 및 보수'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에는 다양한 기술이 동원되었음이 분명하게 확인된다. 지형조건에 따라 알맞은 기초보강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본격적인 체성의 축조에도 여러 가지 기술을 활용하였다. 특히 체성축조 기술의 경우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으로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성토기법(A식)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인식된 기술로, 판축에 비해 고식적인 기술로 추정된다. 판축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은 기술로, 복잡한 토층선, 교호성토 방식, 토제 및 토괴 활용, 타원형 성토단위의 연접 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성토기법은 삼국시대 성토구조물 사이의 적극적인 기술 공유와 응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판축기법(B식)은 판축구조물을 이용하여 성벽을 구축하는 기술로, 판축구조물의 높이와 규모, 확장방식을 기준으로 B1식과 B2식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B1식이 선행하며, 한성기 말기에 B2식이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판축기법은 서울 풍납토성을 시작으로 하여 남한지역 각지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은 등장시점부터 공존하였으며, 점차 판축토성 위주로 변화하였다.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은 토층 양상이 판이하며 축조 순서 또한 정반대이다. 따라서 양자는 기술 계통이 서로 달랐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한성기부터 시작된 토성의 축조기술은 웅진·사비기에도 계승 및 발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는 다른 국가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있었을 것이다. 최근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토성 조사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백제를 포함한 주변 국가와의 비교·분석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A Study on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n the Honam Region of Korea in Goryeo Period)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4-21
    • /
    • 2016
  • 이제까지 호남지역의 석탑은 대체로 백제의 고토란 이유로 백제계 석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호남지역의 석탑은 94기이고, 이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은 15기, 신라계 석탑은 34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제까지 백제계 석탑에 편중한 연구에서 신라계 석탑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호남지역 석탑의 새로운 면모를 밝히고자 하였다. 석탑의 지역적인 배치를 통해 본 결과, 통일신라시대에는 전라남도에 치중하여 신라 석탑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오면 호남지역 전역에 걸쳐 불국사 삼층석탑을 모방한 신라계 석탑이 건립된다. 이러한 점은 이전의 시기보다 신라계 세력의 호남지역에 대한 불교지배력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는 김제, 정읍, 순창 담양, 영암 강진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의 기단부의 형식은 이층기단은 21기, 단층기단은 12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 석탑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이층기단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로 파악된다. 단층기단도 1매석, 또는 자연암반을 하층기단 삼아 단층기단으로 만들어진 탑도 2기가 있었다. 탑신부는 삼층석탑이 21기, 오층석탑이 12기이며, 1층탑신석을 1매석으로 만든 탑이 25기로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3층탑신부와 탑신석 1매석 제작 전통을 잘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옥개받침은 3단, 4단, 5단 등 그 구성방법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이층기단을 가지고 있는 석탑 중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에 탱주가 있는 석탑은 16기 중 12기가, 삼층석탑은 21기 중 15기가 전라남도에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계 석탑의 정형성을 잘 계승하여 더 많이 유행한 지역은 전라남도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