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o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남해무인도서 백도와 서귀포 인근 섶섬에서 맹독성 저서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spp.의 출현 (Occurrence of the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spp. in the Uninhabited Baekdo Islands off Southern Coast and Seopsom Island in the Vicinity of Seogwipo, Jeju Province, Korea)

  • 백승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65-71
    • /
    • 2012
  • Gambierdiscus toxicus, Adachi et. Fukuyo, is a benthic ciguatoxin-producing armored dinoflagellate, often attached to macroalgae. This organism is the primary causative agent of ciguatera fish poisoning which occurs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However,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Gambierdiscus spp. has expanded to such temperate areas from sub-trophic and trophic areas, monitoring of G. toxicus has been lacking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of temperate areas.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uninhabited Baekdo Island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at Seopsom Island in the vicinity of Seogwipo, Jeju Province during April and May, 2011. Cell densities of Gambierdiscus spp. on macroalgae at Baekdo and Jeju Island ranged from zero to 56.4 cells $g^{-1}$. Maximum density was recorded on the brown alga Cladophora japonica at St. 3 of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cell densities of Gambierdiscus spp. were influenced by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of macroalgae. In the future,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is necessary to predict and prevent ciguatera poisoning in Korean coastal waters.

남해안 6개 도서의 조하대 해조류 군집구조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on the Subtidal of Southern Six Islands, Korea)

  • 허진석;유현일;박은정;하동수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95-603
    • /
    • 2017
  • Th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subtidal zones of six study sit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between May and August 2015. A total of 132 seaweeds, comprising 10 green, 28 brown and 94 red Seaweed, were identified. The seaweed biomass was $80.32g\;dry\;wt.\;m^{-2}$ in average, and it was maximal at Geomundo ($166.94g\;dry\;wt.\;m^{-2}$) and minimal at Byeongpungdo ($14.52g\;dry\;wt.\;m^{-2}$). On the basis of the biomass, the Ecklonia cava was a representative species, distributed widely in the subtidal zone of the three islands (Yeoseodo, Geomundo, Baekdo). Also, the Sargassum sp. was dominant at Sejondo and Hongdo. The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Byeongpungdo, Sejondo, Geomundo) was characterized by high turbidity, low light transmittance and a lower habitat depth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Hongdo, Baekdo, Yeoseodo). As the water depth increased, the biomass decreased due to the lowered light transmittance. In Byeongpungdo and Sejondo, which showed high turbidity and low light transmittance, the degree of seaweed coverage was decreased with the depth of water. The ESGII ratio of the Ecological Status Group was higher than fourty percentage in Byeongpungdo and Baekdo. Community indices were as follows: dominance index (DI) 0.35-0.90, richness index (R) 7.03-17.93, evenness index (J′) 0.22-0.60, and diversity index (H′) 0.79-2.18. The Macroalgal zonation of the subtidal zone was calculated by the Ecklonia cava and Brown algal population on five islands(Byeongpungdo, Yeoseodo, Geomundo, Beakdo, Hongdo). On the other hand,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sp. dominated at Sejondo.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Re-description of Sea Spider Cilunculus armatus (Pycnogonida: Ammotheidae) from Korea

  • Lee, Damin;Park, Jin-ho;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30-335
    • /
    • 2020
  • The sea spider genus Cilunculus Loman, 1908 comprises 33 species having short chelifores, separate lateral processes, and a hood structure on the cephalic segment. A pycnogonid species, Cilunculus armatus(Böhm, 1879), was collected from Baekdo Island and Chujado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hood structure on the cephalic segment, separate lateral processes, a low ocular tubercle without eyes, and 3-segmented chelifores. In the examined material, chela shape, arrangement of compound spines on strigilis, and number of heel spines at propodus we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literatures. Here, we examined C. armatus collected in Korean waters and provided illustrations and pictures in detail.

First Record of Amphisiella milnei (Ciliophora, Stichotrichida) from Korea

  • Choi, Jung Min;Jung, Jae-Ho;Kim, Young-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3호
    • /
    • pp.143-151
    • /
    • 2018
  • A marine ciliate Amphisiella milnei (Kahl, 1932) $Horv{\acute{a}}th$, 1950 was discovered from the tidal pool of Baekdo Island, South Korea. The existence of extra cirri between leftmost frontal cirrus and buccal cirrus discriminates this species from its congeners. Its morphological features are described as follows: body size in vivo $110-130{\times}35-45{\mu}m$; elongate rectangular to elliptical in shape; two large and several small ring-shaped structures; yellowish cortical granules arranged irregularly on ventral side but longitudinally along dorsal kineties on dorsal side; 34-40 adoral membranelles, 3 frontal cirri, 1 buccal cirrus, 1 parabuccal cirrus, usually 2 extra cirri behind leftmost frontal cirrus, and 3 frontoventral cirri; amphisiellid median cirral row composed of 25-31 cirri with 27-36 left and 27-44 right marginal cirri; usually 5 transverse cirri and 2 pretransverse cirri with 7 dorsal kineties; two macronuclear nodules. In addition to, 18S rDNA sequence of A. milnei was analyzed to underst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한국산 해변말미잘목 (산호충강: 말미잘아강)의 3미기록종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 송준임;차하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201-214
    • /
    • 2004
  • 제주도와 백도에서 1971년부터 2004년까지 채집된 해변말미잘류는 3과 3종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무족반족의 가지해변말미잘 (Halcampella maxima)과 족반족의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과 융단열말미잘 (Stichodactyla tapetum)으로서 이들의 자포에 대한 분포와 크기를 포함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그림과 표와 함께 자세히 기술하였다. 가지해변말미잘은 겨울에 성숙한 난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융단열말미잘은 여름에 난세포와 정자낭이 각각 다른 개체에서 관찰되었다 진홍혹해변말미잘은 체벽의 상연에서부터 하연까지 부착력이 있는 융상돌기가 종렬로 배열하는 특이한 외형을 갖고 있다. 열말미잘속 중 가장 작은 융단열말미잘은 구반 위에 길이 1.0 mm이하의 구술모양 촉수가 밀집해 있으며, 원추형의 연촉수가 1.5-2.0 mm 정도로 배열하는 것으로 구별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산 해변말미잘류는 니난트아목 내에 무족반족 4종과 족반족 23종이 보고된다.

거문도를 중심으로 하는 세일링요트 안전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 - 전남 여수 거문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항 루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afe Navigation Route for a Sailing Yacht Focused on Geomundo (Port Hamilton))

  • 김인철;오현준;김동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4-180
    • /
    • 2016
  • 본 연구는 여수에서 출항하여 백도와 도서문화가 살아있는 거문도를 거쳐 제주 김녕항으로 이어지는 해양관광 크루즈 세일링 요트 항로를 제안하였다. 최근 해양레저 활성화에 비례하여 안전사고도 늘어나고 있으며, 세일링 요트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항로 개척은 지역별, 해역별로 조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문도의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면 해양문화의 소개, 국제요트대회유치, 다기능항으로 개발 등이 필요하고, 특히 해당 항로의 운항패턴과 밀집도 분석 등이 추가로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세일링 요트의 운항 안전율을 높여 지역 관광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복숭아 (Effect of Foliar Sprays of CaCl2 for Improving Fruit Quality of )

  • 김익열;김미영;류종호;김민;이용세;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6-283
    • /
    • 2006
  • 복숭아 백도 품종에 칼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CaCl_2$을 포장에서 엽면시비 하였다. 엽면시비는 $CaCl_2$ 단용 살포와 $CaCl_2(Ca:\;400mg.kg^{-1})$ 과 보조제(amino acid: $2g.kg^{-1}$, phytic acid: $2ml.kg^{-1}$ 및 wood vinegar: $2g.kg^{-1}$)를 혼용하여 6월 21부터 7월 4일까지 7일 간격으로 4번 살포하였다. 수확기에 잎과 과실에 Ca함량, 과실 강도, 당도, Monilinia fructicola에 의한 잿빛무늬병을 조사하였다. 저장 과실의 품질조사는 실온에서 14동안 저장 후 Ca 함량, 과실의 강도, 당도 및 자연부패 율을 조사하였다. 수확기 잎과 과실에 Ca 함량은 $CaCl_2+amino$ acid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P=0.05), 과피에 Ca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차이가 없었다. 과실경도는 $CaCl_2+amino$ acid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실온에서 14일 저장기간 중 자연부패(Rhizopus stolonifers)에 의한 부패 율은 $CaCl_2+wood$ vinegar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과실의 경도는 $CaCl_2$와 보조제를 혼용 처리한 구에서 높았다. 포장에서 잿빛무늬병의 발생 억제율과 잿빛무늬병원균(Monilinia fructicola)으로 인공 접종한 실내시험에서 발병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CaCl_2+phytic$ acid과 $CaCl_2+amino$ acid 처리한 구에서 가장 효과가 높았다. 이들 결과는 과실의 칼슘함량 과 과실경도 증가, 병 발생 억제 및 자연부패 방지는 $CaCl_2$과 보조제를 혼용하여 엽면 살포할 경우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섬 지역의 빛공해 유발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That Cause Light Pollution in Island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성찬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33-441
    • /
    • 2022
  • 빛공해는 연안 및 섬 지역의 생태계를 교란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야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섬 지역의 빛공해를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섬 중 면적이 10만m2 이상인 101개 섬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섬의 빛공해 수준은 2019년 1월과 4월, 8월, 10월 DNB monthly 영상에 기록된 야간 빛방사량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 섬의 야간 빛방사량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7개 지구별로 비교하면, 금오도지구가 17,666nW/m2/sr로 가장 높았고, 거문도·백도지구, 나로도지구, 소안도·청산도지구가 뒤를 이었다. 계절별로는 10월의 야간 빛방사량이 9,509nW/m2/sr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8월, 1월, 4월 순이었다. 연구 대상 섬의 빛공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섬에서 반경 5km 내 지역의 건축물 연면적과 등대 개소수는 모든 시기에서 야간 빛방사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지만, 섬 내부의 건축물 연면적과 등대 개소수는 대부분 시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개발이 제한된 국립공원 내 섬 지역에서는 공원 내부보다 인근 지역의 인공조명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8월에는 예외적으로 섬 내부의 건축물 연면적이 섬의 야간 빛방사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휴가철 탐방객이 사용하는 인공조명의 영향으로 보인다. 섬의 크기는 섬의 빛공해 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빛공해가 일종의 생태적 경계효과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작은 섬일수록, 섬 전체 면적 중 인접 지역에서 방사된 빛의 영향을 받는 경계 지역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상형 국립공원 내 섬 지역의 빛공해 저감을 위해서는, 섬 인근 지역의 인공조명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