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chu cabbag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6초

Magnesium intake and dietary sources among Koreans: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9

  • Jee-Seon Shim;Ki Nam Kim;Jung-Sug Lee;Mi Ock Yoon;Hyun Sook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1호
    • /
    • pp.48-61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Magnesium is an essential nutrient for human health. However, inadequate intake is commonly reported worldwide. Along with reduced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refined or processed foods, inadequate magnesium intake is increasingly reported as a seriou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assess magnesium intake, its dietary sources, and the adequacy of magnesium intake in Korean populations. SUBJECTS/METHODS: Data was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9 and included individuals aged ≥1 yr who had participated in a nutrition survey (n=28,418). Dietary intake was assessed by 24-h recall, and dietary magnesium intake was estimated using a newly established magnesium database. Diet adequ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dietary intake with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suggested in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2020. RESULTS: The mean dietary magnesium intake of Koreans aged ≥1 yr was 300.4 mg/d, which was equivalent to 119.8% of the EAR. The prevalence of individuals whose magnesium intake met the EAR was 56.8%. Inadequate intake was observed more in females,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ged 12-29 yrs, elders aged ≥65 yrs, and individuals with low income. About four-fifths of the daily magnesium came from plant-based foods, and the major food groups contributing to magnesium intake were grains (28.3%), vegetables (17.6%), and meats (8.4%). The top 5 individual foods that contributed to magnesium intake were rice, Baechu (Korean cabbage) kimchi, tofu, pork, and milk. However,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s and individual contributing food items differed slightly by sex and age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mean dietary magnesium intake among Koreans was above the recommended intake, whereas nearly one in 2 Koreans had inadequate magnesium intake.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us of magnesium intak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which includes the intake of dietary supplements.

배추김치의 자동화 제조 공정 중 미생물 분석 (Microbial Analysis of Baechu-kimchi during Automatic Production Process)

  • 김지선;정지윤;조승기;김지은;김태집;김범수;한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1-286
    • /
    • 2010
  • 본 연구는 자동화된 상업용 배추김치 제조공정 중에서 원료와 공정별로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별로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마늘, 생강, 고추가루에서 많은 수의 호기성 박테리아, 젖산균, Leuconostoc, 그리고 효모가 검출되었으며, 이로써 위 부원료들이 김치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었다. 김치를 제조하는 공정 별로 미생물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배추절임 공정에서 총 균수가 증가하였고 그 이후 세척공정에서는 단지 미생물수를 1 log CFU/g 줄이는데 그쳐 미생물 수 감소효과는 적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효모 또한 다양한 부재료와 최종 김치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품에 최종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수를 줄이고자 한다면 위의 원료 중에서는 위의 부재료에 대해, 그리고 제조공정에서는 절임에 사용되는 천일염과 절임탱크에 대해 적절한 살균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또한 차염소산 살균 공정은 절임과 세척공정 사이에 위치해야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검출된 효모에 대한 저해 수단으로 적절한 저해제의 첨가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장김치의 HACCP 구축과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추 절임 방법이 김치의 맛과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alting of Chinese cabbage on Taste and Fermentation of Kimchi)

  • 송주은;김명선;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6-232
    • /
    • 1995
  • 배추 절이는 방법을 소금처리방법, 소금의 종류 및 절이는 시간에 대하여 단계별로 각 군마다 5포기씩의 김치를 담그고 1$0^{\circ}C$에 저장하면서 각각에 대한 염도, pH, 산도 및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맛있는 김치의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금처리방법은 소금물에 담그어 절이는 방법, 소금을 뿌리는 방법 및 소금물에 담그고 일부의 소금을 뿌리는 병행하는 방법을 실시한 결과 소금물에 담그어 절이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소금의 종류에 대하여는 시판 일반소금, 한주정제염, 무공해 천일염을 사용하여 소금물에 절이는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무공해 천일염을 사용한 김치가 가장 맛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소금절이는 시간은 3, 5, 8, 12시간의 4종류에 대하여 무공해 천일염을 사용하여 소금물에 담그어 절이는 방법으로 김치를 담근 결과 5시간 절이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 각 김치는 저장 7일째가 가장 맛있게 평가되었고 7일째의 pH는 4.17-4.36, 산도는 0.45-0.52, 염도는 1.89-3.36이었다. 저장 21일째부터는 맛에 대한 평가가 낮아졌으며 26일째는 pH, 산도, 염도가 각각 3.69-4.01, 0.68-0.74, 1.59-2.62로서 관능검사 결과는 매우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 PDF

자가제조 배추김치와 시판 김치의 이화학적 품질 실태 조사 (Survey Research of Homemade and Commercial Cabbage(Baechu) Kimchi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 이상화;박신영;정단희;김진영;이애정;신현아;문지혜;이진혁;김성언;유현주;엄애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1-676
    • /
    • 2009
  • In order to develop and propagate the low sodium kimchi for preventing high sodium related diseases, the salinity, pH and acidity of cabbage(Bachu) kimchi sampled from home located in 6 big cities(Pusan, Daegoo, Kyungjoo, Daegoo, Jeonjoo, Daejeon, and Seoul) and commercial 6 manufacturers(A~F) distributed in markets were monitored and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Salin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homemade($3.03%{\pm}0.60$: 1.79~4.40) kimchi than in commercial($2.38%{\pm}0.60$:1.04~2.87) kimchi. Also, salinity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Pusan($3.45{\pm}0.60%$) kimchi than in Kyungjoo($3.11{\pm}0.39$), Daegoo($3.19{\pm}0.42$), Jeonjoo($2.98{\pm}0.32$), Daejeon($3.00{\pm}0.38$) and Seoul ($2.52{\pm}0.46%$) kimchi.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of salinity in 6 kinds of commercial kimchi. Related to this result, pH of kimchi from homemade and commercial was $4.40{\pm}0.29$(3.72~6.03) and $5.45{\pm}0.76$ (4.23~6.35), acidity of kimchi from homemade and commercial were $0.99{\pm}0.30%$(0.28~2.17) and $0.45{\pm}023$(0.17~0.93), respectively. Thus, the curr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we may need to manufacture the low sodium kimchi because all homemade kimchi, especially Pusan and Daegoo kimchi and commercial brand kimchi contained over 2% salinity.

나박김치의 제조 표준화 및 발효온도별 젖산균의 생육과 CO2 생성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nd CO2 Levels of Nabak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 공창숙;서정옥;박순선;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07-714
    • /
    • 2005
  • 각종조리서 및 문헌의 자료를 이용하여 나박김치의 재료 배합비 및 제조 방법을 표준화하였다. 표준화한 방법으로 제조한 나박김치의 저장온도별$(5,\;10,\;20^{\circ}C)$ 발효특성과 $CO_2$ 생성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나박김치의 재료 배합비는 물 100 mL$(54.9\%)$에 대해 절인 배추 $45.0{\pm}26.7\;g(24.7\%)$, 무 $26.9{\pm}10.3\;g(14.8\%)$, 파 $1.9{\pm}0.6g(1.0\%)$, 홍고추 $1.0{\pm}0.2g(0.5\%)$, 마늘 $1.2{\pm}0.5g(0.7\%)$, 생강 $0.9{\pm}0.4g(0.5\%)$, 고춧가루 $0.7{\pm}0.4g(0.4\%)$로 나타났다. 나박김치의 표준 제조방법으로는 무와 배추는 깨끗이 씻어서 준비하고 각각 $2.5\times2.5\times0.5cm$의 크기로 썰어서 20분간 소금을 뿌려서 절인다. 파와 홍고추는 2.5 cm 길이로 채 썰어서 준비한다.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하고, 고춧가루는 물에서 우려내어 멸균한 2겹의 gauze로 짜서 나박김치 국물을 만든다. 절인 무와 배추는 수돗물로 씻어 물기를 뺀 후 준비된 재료 및 양념과 함께 버무린 다음 국물을 부어서 나박김치를 제조한다 나박김치의 산도는 $5^{\circ}C$에서는 8일째에 $0.21\%,\;10^{\circ}C$에서는 3일째에 $0.20\%,\;20^{\circ}C$에서는 1일째 에 $0.31\%$로 되었다. pH와 산도의 관계에서는 김치의 적숙기에 해당하는 pH $4.2\~4.5$ 사이에서 나박김치의 산도는 $0.20\~0.25\%$ 사이에 있었다. 다른 종류의 김치에서와 같이 나박김치는 높은 Leuconostoc sp.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낮은 발효온도$(5^{\circ}C)$에서는 발효 말기에 Leuconostoc sp.균의 생성이 많아졌다. 그러나 $5^{\circ}C$에서 나박김치의 Lactobacillus sp.균은 다른 발효온도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O_2$함량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초기부터 증가하였다가 급속히 감소하였다. 나박김치의 pH와 $CO_2$ 함량의 관계에서, $5^{\circ}C,\;10^{\circ}C$$20^{\circ}C$의 발효온도에서 각각 pH $4.0\~4.4$, 3.8, 3.4에서 가장 높은 $CO_2$ 함량을 나타내었다. $5^{\circ}C$에서 발효시킨 나박김치가 적숙기 pH에서 가장 높은 $CO_2$함량을 나타내어 $5^{\circ}C$의 저온에서 나박김치를 발효할 경우 맛 증진과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除)간수 천일염 및 구운소금 절임 배추김치의 품질 및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 한귀정;손아름;이선미;정지강;김소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996-1002
    • /
    • 2009
  • 배추김치 제조 시 소금 종류별 품질 차이 및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제염, 일반 천일염, 제간수 천일염, 구운소금을 사용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pH 변화 및 산도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정제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가 일반 천일염과 제간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에 비해 발효 속도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젖산균의 변화에서는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김치의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Leuconostoc sp.의 성장이 촉진되고 Lactobacillus sp.의 성장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텍스쳐가 좋았고 관능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AGS 인체 위암세포와 HT-29 인체 결장암세포를 이용한 항암 효과 실험에서도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의 항암 기능성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총 4가지 종류의 소금 중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가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고 항암 기능성도 증진시켜 김치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품질 및 건강 기능면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해 본다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제간수 천일염이 김치 제조 시 가장 적합한 소금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에 의한 김치 중 N-Nitrosodimethylamine과 그 전구물질의 함량 감소 (Reduction in Concentrations of N-Nitrosodimethylamine and Its Precursors in Kimchi by Lactic Acid Bacteria)

  • 김상현;김성현;강경훈;김정균;성낙주;임희경;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37-243
    • /
    • 2017
  • 김치에 함유된 N-nitrosodimethylamine(NDMA) 및 그 전구물질들인 아질산염, dimethylamine(DMA), 질산염 그리고 biogenic amines 함량에 L. sakei, L. curvatus, L. brevis가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아민류(젓갈)와 아질산염($NaNO_2$ 첨가)이 풍부한 김치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NDMA와 그 전구물질의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유산균을 접종한 김치 중 NDMA, 아질산염, DMA, 질산염 함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더하여 biogenic amines도 L. sakei, L. curvatus, L. brevis를 접종한 김치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김치에 접종하는 것이 NDMA 저감화 김치 생산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포장재와 저장온도에 따른 소포장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 Kimchi according to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Temperature)

  • 박혜영;안지아;서해정;최혜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73
    • /
    • 2011
  • Cabbage (Baechu) Kimchi in its truncated form was placed in four different packing materials, Ny/PE/LLDP, OPP/AL/PE, PP and PET, and quality changes were observed during storage.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showed an x-shaped cross-curve as pH decreased and total acidity increased during storage. PP tray showed the slowest change at $5^{\circ}C$ with time. The pH was initially 6.25, but decreased to 4.12~4.16 at 20 days, and total acidity showed a 4 to 4.8-fold increase after 20 days of storage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 During storage at $5^{\circ}C$, total bacterial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rapidly increased after 4 days. The total bacterial quantity decreased after a period of time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 OPP/AL/PE packaging showed the most dramatic decrease. Change in microbial count mostly foll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otal acidity for all packaging materials. Changes in the color of Kimchi liquid, when examined by color index in $L{\cdot}b$/a form, rapidly decreased over time, similar to pH. Small Ny/PE/PP and OPP/AL/PE packages of Kimchi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free volume inside the packaging. After 13 days of storage at $5^{\circ}C$, the volume was 243 mL, but storage at $20^{\circ}C$ resulted in a volume of 372 mL, a more than 1.5-fold increase in free volume. There wer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 Kimchi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aterial, and larg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microbial count were evident upon storage at $5^{\circ}C$ for 8 days, which was the optimum palatability period. Mostly, PP treatment showed the slowest quality changes upon storage at $5^{\circ}C$. However, due to small package Kimchi's fast consumption system, the appropriate choice of packaging material must consider the product's turnover ratio. Further, the varieties of small package Kimchi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consumer preferences by offering Kimchi with different maturity levels. Further, since the leading consumer base ranges in age from the teens to thirti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targeting such consumers is necessary.

대구지역 관광운수 영업자의 연령별 식행동 특성 및 음식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s by Age)

  • 김정숙;정세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9-54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ating behaviors and the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s by age.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17 to August 25, 2003 by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were 365 males. As a general factor, the subjects of survey were male drivers in their thirties to sixties. Their education level was middle school(44.9%) and high school(45.8%) diploma.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nagers eat three meals per day with high percentage(75.9%) and a large number of managers(24.1%) eat two meals only. 77.8%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diet life were irregular due to the property of their job. Frequency of eating-out turned out to be much higher in managers aged 60 over(p<0.001). They considered taste of the food firstly, and the prices of the food secondly, but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food was considered with a low percentage(22.7%). We found that their BMI were overweight from 23.5 to 26.01, their calorie and some nutrient intakes were below their RDA. The most insufficiently consumed nutrient(less than 75% of RDA) was vitamin B₂ followed by calcium. The food preferences of subjects showed that the managers preferred boiled rice to any other rice as a staple foods. Their favorite menu of one-course Korean style meal turned out to be the bibimbob(boiled rice mixed with assorted vegetable and meat). As for subsidiary foods, out of all various meat soups, beef soups and beef-rib soups were most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stew were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and the most preferred cooked vegetables were cooked spinach, seasoned cucumber. Baechu kimchi(white cabbage kimchi) were the most preferred kind of kimchi. For desserts there was a very high preference for the watermelons, apples, and pears. For beverages the most preferred were ginseng tea, fruit juices and dietary fiber drinks. From the results listed above, the nutritional education needed to be done to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to set the proper menu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ence each age group of managers.

  • PDF

시판 김치 분리 젖산균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 고정림;오창경;오명철;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92-901
    • /
    • 2009
  • 본 연구는 시판 배추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및 파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15^{\circ}C$$25^{\circ}C$의 온도에서 배양하였을 때 아질산염의 소거 효능을 확인하였다. $1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특히 L. mesenteroides subsp dextrinicum과 L. lactis는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함이 없이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sake, L. plantarum,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 및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는 하루 정도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거친 이후에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하루가 경과된 이후에 비교적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다른 균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2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모든 젖산균은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하였다. 또한 시판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1일 이후에,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2일 이후에 90% 이상의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paramesenteroides는 $25^{\circ}C$에서도 활성적이지 못하여 다른 균종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소거 능력이 매우 낮았다. 한편, 다른 김치 기원의 동일 균종의 Lactobacilli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한 Leuconostocs는 $15^{\circ}C$에서는 물론 $25^{\circ}C$에서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