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pp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4초

천일염과 녹차를 발효시켰을 때 Catechin류의 추출량 변화 (Difference of Catechins Extracted Level when Fermented Sun-dried Salt and Green Tea)

  • 윤현;오혜종;최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78-285
    • /
    • 2012
  • 녹차를 천일염과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고 셀룰라제가 없는 균종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에서 녹차만을 발효시켰을 경우보다 천일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모든 시료에서 카테킨류인 EGC, EC, EGCG, ECG의 추출량이 증가하였고, 발효 일에 따른 분석에서는 EGC(epigallocatechin), ECG(epicatechin gallate), EC(epicatechin),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모두에서 2일째와 3일째 높은 추출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발효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경우 Paenibacillus spp에서는 모든 카테킨류(EGC, EC, EGCG, ECG)의 추출량이 증가하였고,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는 EGC와 EC는 감소하고 EGCG와 ECG는 증가하였으며, Bacillus pumilus, Bacillus subtilis는 모든 카테킨류(EGC, EC, EGCG, ECG)에서 감소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의 결과에서 녹차에 천일염과 Paenibacillus spp를 함께 3일 동안 발효시킨 결과에서 가장 많은 카테킨류가 추출되었다.

청국장으로부터 Bacillus cereus에 대한 길항 균주 분리 및 길항 효과 (Isolation of Bacillus spp. from Cheonggukjang and Its Antagonistic Effect against Bacillus cereus)

  • 이남근;박정완;조일재;김병용;권기옥;함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69-673
    • /
    • 2008
  • 청국장 내에 B. cereus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생물학적제어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한 백태 및 흑태 청국장으로부터 총 20종의 Bacillus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중에서 24시간 배양액에서 B. cereus에 대한 길항활성이 가장 높은 Bacillus sp. SC-8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균주를 B. cereus와 혼합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길항능을 분석한 결과 청국장 발효 중에는 B. cereus에 대한 길항효과가 있었으나, 발효 후 $4^{\circ}C$ 저장 중에는 균체수가 감소하여 억제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던 Bacillus sp. SC-15 균주에서는 배양액에서는 B. cereus에 대한 길항 활성이 낮았으나 청국장 내에서는 길항효과를 보임에 따라 청국장 발효에 관여하는 균들은 배양 환경에 따라 길항물질의 생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포항근해 원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원유분해능 (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in P'ohang Coastal Area)

  • 이창호;권기석;서현호;김희식;오희목;윤병대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5-42
    • /
    • 1996
  • 포항근해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종속영양세균과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된 원유분해세균의 단일 및 혼합배양을 통하여 원유분해능도 조사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4.1 $\times$ $10^4$ - 1.2 $\times$ $10^5$ CFU/$m\ell$ 이었으며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비는 0.05 -0.54%로서 지금까지 보필된 타지역보다 낮은 수치였다. 이 결과에서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석유계 탄화수소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것으로 사료된다.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26 균주를 분리.동정한 결과 Acinetobacter spp., Bacillus spp., Citrobacter spp., Micrococcus spp., Moraxella spp., Rhodococcus spp., 그리고 Berratia spp. 등의 7개 속이 나타났고, 장내세균의 출현은 해수내 오수의 유입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Bacillus 속 균주가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원유분해세균을 이용한 플라스크 배양에서 원유분해는 혼합배양에 의해 증가하였다.

  • PDF

B3 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Bacillus 속 세균의 변화 (The Changes of Bacillus spp.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B3 process.)

  • 안태석;홍선희;김옥선;유재준;전선옥;최승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9-213
    • /
    • 2001
  • Bacillus spp. 이용하여 B3공법을 사용하는 하수 종말 처리장의 포기조에서 Bacillus sup. 변화를 FSIH방법과 포자염색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DAPI로 측정한 세균수는 $3.2{\times}10^8 ~ 4.4{\times}10^8 $ cells/ml 범위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Bacillus sp. 균수는 $0.3{\times}10^8 ~ 2.5{\times}10^8 $ cells/ml 범위로 지점별, 조사시기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포자수는 $0.3{\times}10^7 ~ 8.4{\times}10^7 $ cells/ml 범위로 3월에는 세 번째 포기조, 5월에는 두 번째 포기조에서 각각 8.5, $5.5{\times}10^7$cells/ml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총세균수는 DAPH를 측정한 값과 포자수를 합하여 사용하였고, Bacillus속 세균수는 FISH로 계수된 수와 포자수를 합하여 사용하였다. 충세균수에 대한 Bacillus sp.균의 비율은 약 8~60% 범위로 첫 번째 및 세 번째 포기조에서 각각 50%, 35%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B3 공법에서는 Bacillus가 우점하고 있음이 FISH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며, 반송 슬러지와 하수가 유입되는 첫 번째포기 조에서 그 비율이 높았고, 다음 포기조로 가면서 그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Bacillus의 포자수는 뒤의 포기조로 가면서 그 수와 비율이 높아지고 있었다.

  • PDF

Bacillus spp.를 이용한 Biosurfactant 생산공정 (Production of Biosurfactant Using Bacillus spp)

  • 허성호;양지석;홍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9-393
    • /
    • 2002
  •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CH-1, Bacillus circul문 K-1과 Bacillus subtilis(natto) N-1 모두 biosurfactant를 생성하며 이 중 Bacillus subtilis CH-1가 가장 큰 생성력을 나타냈다. Biosurfactant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AM, LM, NB과 TSB 배지중 AM을 기본배지로 선정하여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glucose 2%, soy peptone 0.3%와 무기염을 포함하는 합성배지를 완성하였다. Biosurfactant의 생성은 96시간에 최대를 나타냈으며 이때 배지의 표면장력은 초기값의 약 43% 값을 나타냈다. 한편 배양온도 및 pH는 biosurfactant생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pH5.0~8.0범위에서 대체적으로 안정한 생성을 유지하였다. 최적조건에서 배양시 crude biosurfactant 수율은 6 g/L를 얻을수 있다.

In Vitro Antagonistic Characteristics of Bacilli Isolates against Trichoderma spp. and Three Species of Mushrooms

  • Kim, Wan-Gyu;Weon, Hang-Yeon;Seok, Soon-Ja;Lee, Kang-Hyo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66-269
    • /
    • 2008
  • Twenty isolates of Bacillus species obtained from livestock manure composts and cotton-waste composts were tested for their antagonistic effects in vitro against three green mold pathogens of mushrooms (Trichoderma harzianum, T. koningii, and T. viridescens). Howe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Bacillus species may have antagonistic effects against mushrooms themselves, and thus the same 20 isolates were tested in vitro against three species of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Of the 20 Bacillus species isolates tested, two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T. harzianum, seven that of T. koningii, and eight that of T. viridescens. Importantly, the bacterial isolates M27 and RM29 strongly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p. isolates tested. The isolate M27 was subsequently identified 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ecies. Interesting results of the effect Bacillus isolates had upon the mushroom species followed. It was found that most Bacillus isolates except 5T33 at least somewhat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mushroom species or some of the mushrooms. Furhermore, the antagonistic effects of the bacterial isolates against the three species of mushrooms varied depending on the mushroom species, suggesting a role for mushroom type in the mechanism of inhibition. The bacterial isolates M27 and RM29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most antagonistic activity,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p. as well as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pecies of mushro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cterial isolates and their antagonistic effects on green mold pathogens should be further studied for their practical use for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in the growing room of the mushrooms.

경남 남부지방에서 임상형 유방염의 원인균 분리 및 약제 감수성 시험 (Isolation and Antimicrobial Drug Susceptibility of Mastitic Pathogens from Dairy Cattles with Clinical Mastitis in Gyeongnam South Area)

  • 김충희;김곤섭;허정호;정명호;김국헌;조명희;이국천;류재두;하대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4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solation and antimicrobial drug susceptibility of clinical mastitic milking total 610 (897 quaters) dairy cattles from 36 dairy farms in Gyeongnam south area (Cosung, Masan)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9 to August 2002.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Incidence of bacterial infection in four quaters was showed that right anterior quarter was 178(19.8%), right posterior quarter was 292(32.6%), left anterior quarter was 148 (16.2%), and left posterior quarter was 279 (31.1%), respectively. Isolation rate of posterior two quarters was higher 2 times than anterior two quarters. 2. Incidence of double infections of 897 clinical mastitic milk were showed that single infection was 549 (61.2%), double infection was 167(18.6%), triple infection was 9(1%) and no isolation was 172(19.2%). 3. Isolation of infected etiologic bacteria was showed that Streptococci spp., was 267(31%), Staphylococci spp., was 267(41%), S aureus, was 48(5.6%), G(-) bacillus was 126(5.6%), and Corynebactrium spy. was 52(6%), respectively, from total 861 samples. 4.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drug susceptibility of all isolates were showed that Streptococci spp., Staphylococci spp., S aureus, (G)(-) bacillus, and Corynebactrium spp. were susceptible to cefuroxime, cefoperazone, amoxicillin, cefazolin, ampicilin, penicillin, gentamicin, erythromycin, cloxacilin, ciprofloxacin, sulfamethoxasole/trimetoprim, teteracyclin, and norfloxacin (> 70%), but some of them were resistant to neomycin, streptomycin colistin, and cephalothin(> 60). 5. The results of drug susceptibility obtained from each farms had different susceptibility, even though, etiological microorganisms were same in each farms.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biogenic amine-producing Bacillus sp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8-40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된장으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과 박테리오신 생산유산균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고, 이들 균주들의 혼합 배양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10종의 시료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바실러스균은 Bacillus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 pumilus DB209, B. subtilis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 amyloliquefaciens DB915, B. licheniformis DB917, B. cereus DB1019, B. subtilis DB1020, B. megaterium DB1022로 동정되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낸 박테리오신 생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DLA 205, L. brevis DLA501, L. fermentum DLA509, L. acidophilus DLA703 및 Enterococcus faecalis DLA804로 확인되었다. 유산균의 박테리오신은 농도의존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생균수 및 아민 생성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유해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유산균의 증식에 따라 유산균과 바실러스균을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pH,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쌀밥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와 Bacillus thuringiensis의 독소유전자 분석 (Toxin Gene Analysis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Cooked Rice)

  • 전종혁;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1-367
    • /
    • 2010
  • 쌀밥의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을 취반한 후 세균을 분석하였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생쌀 30개를 수집하여 취반 후에 중온성 호기성균과 MYP선택배지에서 Bacillus cereus group를 분리 동정하여 그의 분포도와 독소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취반 직후의 쌀밥 27%에서 1-3 log CFU/g정도의 총 중온성 호기균과 거의 같은 정도로의 Bacillus spp.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들도 증균한 후에는 B. cereus group균들이 검출되어 사실상 대부분의 시료에서 Bacillus spp.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시료로부터 37개의 분리하여 동정한 균주는 B. thuringiensis, B. cereus, B. valismortis,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 등으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중 20개(54%)의 분리주가 B. thuringiensis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9개(27%)의 B. cereus이였다. 그리고 3개(8%)의 B. valismortis와 각각 1개(3%)의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이였다. B. thuringiensis는 모두에서 non-hemolytic toxin gene(nhe)을 가지고 있었고 9개의 B. cereus중 7균주가 emetic toxin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쌀밥에는 B. thuringiensis가 B. cereus보다 더 높은 빈도로 분포되어 있고 B. cereus는 설사형 독소유전자 보다는 구토형 독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취반 후 쌀밥을 상온에서 보관하여 발생되는 B. cereus 식중독은 설사형보다 구토형일 가능성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강정 제조시 찹쌀의 수침조건에 따른 찹쌀과 수침액의 미생물상, 효소활성 및 미세구조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Waxy Rice and Steeping Water in Response to Different Steeping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of Gangjung)

  • 김행란;김경미;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44-651
    • /
    • 2009
  • 수침조건에 따라 수침찹쌀과 수침액의 미생물학적 변화와 효소활성 및 구조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수침액의 미생물상에서, 수침초기에는 젖산균이 우세하였고, 수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미생물 균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젖산균과 Bacillus spp.이 우세 균총으로 관찰되다가 수침이 계속되면서 모든 미생물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 Bacillus spp.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수침액의 $\alpha$-amylase는 수침온도와 수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고, protease 활성은 수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활성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침 찹쌀의 $\alpha$-amylase는 수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beta$-amylase와 glucoamylase는 수침 1일에 증가하여 수침 21일까지 일정하였다. 수침찹쌀의 미세구조를 살펴보면, 세포벽이 떨어져 나간 흔적이 보이고 다각형의 찹쌀전분입자들이 노출되면서 표면이 거칠어 보였다. 또한 찹쌀전분 입자 표면의 미세한 구멍이 수침 11일 이후 관찰되어 효소작용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