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6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9초

팔손이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from axillary bud explants of Fatsia japonica Deene. et Planeh)

  • 최경미;황성진;안준철;이현용;김재헌;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300-303
    • /
    • 2005
  • 액아가 포함된 줄기절편을 $0.5\;mgl^{-1}$ BA와 함께 IAA, NAA, 2,4-D를 농도별 $(1,2,3\;mgl^{-1})$로 조합한 MS기본배지에 치상하여 신초를 유도하였다. 액아로부터 신초의 형성은 $0.5\;mgl^{-1}$ BA와 $2;mgl^{-1}$ IAA를 혼합처리한 배지에서 57%의 효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초로부터 발근은 MS배지에 IBA를 $1\;mgl^{-1}$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발생한 root의 길이는 평균 4주 후 약 4 cm로 측정되었다.

멸종위기종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의 기 내 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endangered species,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

  • 배기화;유경화;김지아;윤의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38-43
    • /
    • 2014
  • 멸종위기수종인 둥근잎꿩의비름 기내 부정아유도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배양부위의 영향과 기내생육 및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배지, sucrose 농도 및 배양용기에 따른 환기효과를 연구하였다. 부정아 유도는 3.0 m g/L의 BA와 0.01 mg/L의 IBA가 첨가된 배지에 액아포함 줄기를 배양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내 부정아의 줄기와 뿌리 신장에 MS배지의 농도와 sucrose의 농도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환기처리가 기내 건전 식물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내 환기처리구는 줄기신장에 효과적이었고, 뿌리의 신장은 유의적 차이는 없이 모든 실험구에서 10 cm 이상 증식하였다. 엽록소의 함량은 환기처리 시 총엽록소 함량이 3.12 mg/g으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둥근잎꿩의비름의 부정아 유도에 농도와 배양부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기내식물체 신장에 미치는 배지 및 sucrose농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 건전식물체의 생산은 환기가 용이한 배양용기하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A Pilot Randomized Trial of As-Needed Budesonide-Formoterol for Stepping Down Controller Treatment in Moderate Asthma with Complete Remission

  • Nakwan, Narongwit;Ruklerd, Thidarat;Taptawee, Pattarawad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3호
    • /
    • pp.227-236
    • /
    • 2022
  • Background: The use of low-dose inhaled corticosteroid-formoterol as reliever monotherapy has recently been recommended in the asthma treatment guidelines. However, the efficacy of this treatment strategy has not yet been determined during the stepping-down period in moderate asthm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reducing treatment to as-needed budesonide-formoterol (BFM) in moderate asthma with complete remission. Methods: We randomly assigned 31 patients (8 males and 23 females with a mean age of 57.2 years) with complete remission of asthma by inhaled BFM (160/4.5 ㎍) twice daily to receive BFM (160/4.5 ㎍) as needed (16 patients), or budesonide (BUD) (200 ㎍) twice daily (15 patients). The study was an open-label study done for 48 weeks, with the primary outcome as the cumulativ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treatment failure (asthma exacerbation or loss of asthma control or lack of satisfaction after using medications) in the two groups. Results: Six patients (42%) using as-needed BFM had treatment failure, as compared with three patients (21.4%) using BUD maintenance (hazards ratio for as-needed BFM, 1.77; 95% confidential interval, 0.44-7.12; p=0.41). The changes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were -211.3 mL with as-needed BFM versus -97.8 mL with BUD maintenance (difference, 113.5 mL; p=0.75) and the change in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groups, at 8.68 parts per billion (ppb) in the as-needed BFM group and 2.5 ppb. in the BUD maintenance group (difference, 6.18 ppb; p=0.049). Conclusion: Compared with BUD mainten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eatment failure rate in patients who received as-needed BFM during the stepping down period in moderate asthma. However, they showed reduced lung function and relapsed airway inflammation. The results are limited by imprecision, and further large RCTs are needed.

오미자의 화아(花芽) 발달과 성 발현에 미치는 하계전정의 영향 (Flower bud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sex expression of summer pruning in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선;김태수;박문수;박호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7-101
    • /
    • 2003
  • 자웅동주 단성화인 오미자의 화아형성 및 성 결정 시기를 밝혀 기초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전정을 통해 암꽃 착생량을 증가시키고자 수행하였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미자의 화아 형성은 6월 상순에 시작되었으며 7월 상순 완료되었다. 2. 익년 결실지와 동아는 9월 성장이 완료되었다. 3. 전정구의 2차 생장지 발생은 34-56%로 높았으나 7월1일 10절 처리는 25%로 낮았다. 4. 전정된 가지들의 개화비율은 $13{\sim}31.3%$로 무처리 가지의 개화비율 36.7%보다 낮았고 가지별 암꽃 착생량도 무처리보다 적은 경향이어서 전정에 의한 암꽃착생 증진 효과는 없었다.

액아배양(腋芽培養)에 의한 신품종(新品種) 대추나무의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大量增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actical Micropropagation of Juiube Cultivars through Axillary Bud Culture)

  • 김덕식;이세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45-452
    • /
    • 1988
  •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의(依)한 대추나무 신품종(新品種)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방법(大量增殖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액아(腋芽)를 이용(利用), 기내생장(器內生長) 및 야외순화(野外馴化)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BAP 0.5mg/l가 들어있는 1/2MS배지(培地)에 charcoal을 첨가(添加)하여 기내생장(器內生長)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charcoal 500mg/l 처리(處理)하였을 때 줄기의 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된 줄기의 수(數)가 각각(各各) 6.4cm, 10개(個)로 가장 높았고 '복조(福棗)'에서는 1,000mg/l 처리시(處理時) 7.5cm, 12.4개(個)로 가장 좋았다. 2. 조사(調査)한 IBA 농도중(濃度中), 그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발근율(發根率) 및 callus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며, IBA 1.0mg/l 처리구(處理區)에서 줄기의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3. 조직배양(組織培養)에 따른 생장반응(生長反應)의 차(差)를 조사(調査)한 바,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발생(發生)되는 줄기수에 있어 액아(腋芽)가 정경(頂莖)보다 2배(倍)정도 많았으나 '복조(福棗)'에서는 정경(頂莖)이 줄기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되는 줄기수(數)에 있어 액아(腋芽)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기내(器內) 배양묘(培養苗) 순화시험(馴化試驗)에서는 근원기(根原基)만 형성(形成)된 묘(苗)가 활차율(活差率)이 97.8%로 발근묘(發根苗)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5. 온실내(溫室內) 삽목시험(揷木試驗)에서는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발근율(發根率) 및 뿌리생장(生長)에 있어 IBA, NAA, $Rooton^{(R)}$ 처리구(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재배방법이 참죽나무 잎의 생육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e Methods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in Chinese Toon (Cedrela sinensis A. Juss))

  • 신용습;이문중;임양숙;이은숙;안준형;한윤열;임재하;박소득;채장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2-397
    • /
    • 2012
  • 참죽나무 순채 조기생산을 위하여 하우스와 노지재배에서 생산된 잎의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죽나무 순채의 생장속도는 노지에 비하여 하우스 재배에서 다소 빠른 경향이었고, 정아의 경우 초장, 가지수 등 생육과 생체 중, 엽록소 함량 등 품질은 노지와 하우스재배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참죽나무 순채의 색도(a값)는 측아보다는 정아에서 적색도가 다소 높았으나 하우스와 노지재배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참죽나무 정아 및 측아의 pH는 5.7~6.2 정도였고 N 함량은 측아의 평균 $500.5mg{\cdot}kg^{-1}$에 비해 정아에서 3.1배 많았고, 노지재배($1,430mg{\cdot}kg^{-1}$)보다는 하우스 재배에서 1.2배 많았다. P, Ca, Mg 및 Fe 함량도 노지재배에 비하여 하우스 재배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는데, P는 1.1배, Ca는 1.7배, Mg는 2.0배, Fe는 2.3배 정도 많았으나 K 함량은 하우스 재배의 $2.94mg{\cdot}kg^{-1}$에 비하여 노지재배에서 1.6배 많았다. Ascorbic acid 함량은 하우스 측아에서 $1,461mg{\cdot}kg^{-1}$으로 가장 높았고 노지 측아, 노지 정아, 하우스 정아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품질 참죽나무 순채 생산을 위해서 하우스 재배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9-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라 추출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그리고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 1.2의 Z2조건에서 각 추출물들이 81.44~89.71%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 1.2와 pH 4.0의 조건에서 발아 4일째와 8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추출용매에 따라 소거능의 차이는 보였으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소거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6.0 조건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16.12%의 활성을 보여 발아 12일째 무순의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소거능 효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27.05%의 범위를 보였고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의 활성이 52.15%로 무순 추출물의 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추출물 중에서는 발아 8일째의 아세톤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15.59%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발아 8일째와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으며, 추출용매는 메탄올 추출물이 62.65~84.89% 측정되어 가장 좋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발아 4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21.26~29.52%로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발아초기에 비해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저해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시기와 추출용매에 따른 ACE 저해능은 12.48~51.78%의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의 에탄올 추출물이 51.78%로 각 추출물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 발굴 및 식품 개발에 있어 연구 활용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일반적으로 섭취하여 큰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무순을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소재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행 건강기능식품법에 따르면 물, 주정, 핵산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용매의 종류 및 추출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큰 기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ype II and III Taste Bud Cells Preferentially Expressed Kainate Glutamate Receptors in Rats

  • Lee, Sang-Bok;Lee, Cil-Han;Kim, Se-Nyun;Chung, Ki-Myung;Cho, Young-Kyung;Kim, Kyung-N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6호
    • /
    • pp.455-460
    • /
    • 2009
  • Glutamate-induced cobalt uptake reveals that non-NMDA glutamate receptors (GluRs) are present in rat taste bud cells. Previous studies involving glutamate induced cobalt staining suggest this uptake mainly occurs via kainate type GluRs. It is not known which of the 4 types of taste bud cells express subunits of kainate GluR.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e of Sprague-Dawley rats (45~60 days old) were used to search for the mRNAs of subunits of non-NMDA GluRs using RT-PCR with specific primers for GluR1-7, KA1 and KA2. We also performed RT-PCR for GluR5, KA1, $PLC\beta2$, and NCAM/SNAP 25 in isolated single cells from taste buds. Taste epithelium, including circumvallate or foliate papilla, express mRNAs of GluR5 and KA1. However, non-taste tongue epithelium expresses no subunits of non-NMDA GluRs. Isolated single cell RT-PCR reveals that the mRNAs of GluR5 and KA1 are preferentially expressed in Type II and Type III cells over Type I cells.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와 재생후(再生後) 생육(生育)에 미치는 Bensulfuron-methyl 의 영향(影響) (Effect of Bensulfuron-methyl on Bud Sprout and Regrowth from Growth Cessation in Eleocharis kuroguwai)

  • 신현승;전재철;이철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1992
  • 올방개의 괴경(塊莖)의 아간(芽間), 재생(再生)및 재생후(再生後) 생육(生育)에 미치는 bensulfuron-methy1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1. Bensulfuron-methyl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정아(頂芽)만이 맹아(萌芽)한 반면(反面),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측아(側芽)의 맹아(萌芽)가 유기(誘起)되이 정아(頂芽)의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 2-3개(個)의 측아(側芽)가 맹아(萌芽)되었다. 2.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로 출아시(出芽時) 엽신(葉身)의 갈변(褐變) 고사(枯死)를 나타내었지만, 그 후(後)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에 정아(頂芽) 및 측아(側芽)는 생물학적(生物學的)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3. 올방개는 생육(生育) 억제(抑制) 기간중(期間中)에도 최소한(最小限)의 호흡(呼吸)을 하고 있었으나, 재생전후(再生前後)에 호흡량(呼吸量)이 급속도(急速度)로 증가(增加)되었는데, 증가(增加) 정도(程度)는 정아(頂芽)에서 보다 측아(側芽)에서 높았다. 4. 제초제(除草劑) 처리후(處理後) 재생(再生) 일수(日數)는 51 g a.i/ha 처리구(處理區)에서 정아(頂芽)에서 35일(日)이 소요(所要)된 반면(反面), 제(第) 1 측아(測芽)와 제(第) 2 측아(側芽)는 각각(各各) 29 일(日)과 28 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5. 생육(生育) 억제후(抑制後) 신경(新莖) 형성수(形成數)는 정아(頂芽)에서 보다 측아(側芽)에서 2-3배(倍) 더 많았으며, 재생후(再生後) 생장(生長) 속도(速度)도 측아(測芽)의 경우가 빨랐다.

  • PDF

온도(溫度)와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무궁화(Hibiscus syriacus ''Honghwarang') 삽수의 맹아(萌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d Sprouting of Stem Cutting of Hibiscus syriacus 'Honghwarang')

  • 백이화;조근호;박천호;허무룡;곽병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55-357
    • /
    • 1998
  • 무궁화 (Hibiscus syriacus 'Honghwarang')의 휴면특성을 구명하고자 온도와 생장조절물질을 처리하여 맹아(萌芽) 차이를 비교하였다. 맹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10{\sim}30^{\circ}C$), $30^{\circ}C$ 무처리구는 삽목 후 4일만에 맹아하기 시작하여 6일경에는 100% 맹아했다. GA와 BA처리도 대조구인 무처리와 큰 차이 없이 $2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6일만에 맹아하여 62.5%의 높은 맹아율을 나타내었다. ABA 침지처리는 $25^{\circ}C$이하의 온도에서는 맹아율이 저조하였으나, $25^{\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삽목 6일 후에 맹아하기 시작하여 12일 후에 93% 맹아되어, 고온 조건에서는 생장억제제인 ABA처리가 맹아억제에 전혀 효과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