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TH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31초

일산화탄소 폐확산능검사에서 단회호흡법과 호흡내검사법의 비교 (Comparison of Single-Breath and Intra-Breath Method in Measuring Diffusing Capacity for Carbon Monoxide of the Lung)

  • 이재호;정희순;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55-568
    • /
    • 1995
  • 연구배경: 폐확산능은 산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장 생리적이지만 폐모세혈의 산소분압측정이 어려워 임상에서는 일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단회호흡(single-breath)폐확산능검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총폐용량까지 흡기한후 10초간 숨을 참는 과정을 기침, 호흡곤란 등이 있는 환자로선 수용하기 곤란하므로 이러한 과정없이 낮은 유량의 일회호기만을 필요로 히는 호흡내(intra-breath)폐확산능검사법이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으로 측정한 폐확산능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차이가 있다면 어떤 인자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특정질환과 무관하게 임의로 73명을 선택하고 유량-용적곡선 검사를 3회 시행한후 노력성 폐활량(FVC)과 1초간 노력성호기량($FEV_1$)의 합이 가장 큰 검사에서 노력성폐활량, 1초간 노력성호기량,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_1$/FVC)를 구했다. 폐확산능은 5분간격으로 각각 3회씩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선형적 상관분석으로 어떤 인자가 두 방법간의 폐확산능의 차[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에 의한 각각의 폐확산능의 차이의 평균치(mL/min/mmHg)]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단회호흡법 및 호흡내법 모두 검사내 재현성은 우수하였다. 2)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으로 측정한 폐확산능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두 방법의 측정치간에는 의미있는 치아가 있었다($1.01{\pm}0.35ml/min/mmHg$, p<0.01). 3)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간의 폐확산능의 차이는 노력성폐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1초간 노력성호기량, $FEV_1$/FVC 및 환기배분의 지표인 메탄농도의 기울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중상관분석결과 $FEV_1$/FVC에 의한 영향이 가장 컸다(r=-0.4725, p<0.01). 4)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간의 폐확산능의 차이와 $FEV_1$/FVC를 도식화하면 두 방법간의 폐확산능의 차이는 $FEV_1$/FVC가 50~60%인 구간에서 두 군으로 분리됨을 알수 있으며, $FEV_1$/FVC가 60% 이상에서는 두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0.05{\pm}0.24ml/min/mmHg$, p>0.1) 60% 미만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4.65{\pm}0.34ml/min/mmHg$, p<0.01). 5) 메탄농도의 기울기가 정상범위인 2%/L이내에선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의 폐확산능이 모두 $24.3{\pm}0.68ml/min/mmHg$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2%/L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회호흡법에 의한 폐확산능이 $15.0{\pm}0.44ml/min/mmHg$ 호흡내법에 선 $11.9{\pm}0.51ml/min/mmHg$로 두 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FEV_1$/FVC가 60% 미만일때는 호흡내법으로 측정한 폐확산능이 단회호흡법보다 의미있게 낮은 값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주로 환기배분의 장애로 추정되지만 폐확산능 이 단회호흡법에서 과대평가되거나 폐확산능의 감소가 호흡내법에서 더 예민하게 나타 났을 가능정도 배제할수 없다. 결론: 73명을 대상으로 폐확산능을 단회호흡법과 호흡내법으로 측정해본 결과 호흡내법은 검사의 재현성도 우수하고 폐기능이 정상이거나 제한성 장애, 그리고 경도의 폐쇄성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단회호흡법을 대체해서 사용할수 있지만,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단회호흡법보다 유의하게 낮은 검사치를 보였다. 호흡내법과 단회호흡법에 의한 폐확산능의 차이가 호흡내법이 단회호흡법에 비해 폐확산능의 감소를 예민하게 나타내주는 것인지 혹은 환기의 불균형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지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 PDF

목욕시 Chloroform에 대한 흡기 및 피부 접촉 노출 (Inhalation and Dermal Exposures to Chloroform while Bathing)

  • 조완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1-310
    • /
    • 1998
  • Recently, bathes have been suspected to an Important source of indoor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hloroform exposure and corresponding body burden by exposure routes while bathing. Anoth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kamine the chloro- form dose during dermal exposure and the chloroform decay In breath after dermal exposure. The chioroform dose was determined based on exhaled breath analysis. The ekamine breath concentration measured after normal baths (2.8 Vg/$m^3$) was approxidmately 13 tomes higher that measured prior to normal bathes (0.2 ug/$m^3$). Based on the means of the normalized post exposure chloroform breath concentration. the dermal exposure was estimated to contribute to 74% of total chloroform body burden while bathing. The Internal dose from bathing (Inhalation plus dermal) was comparable to the dose ostimated Srom dally water Ingestion. The rusk associated 10 a weekly, 30-min bath was estimated to be 1 x 10.5, while the rusk firom dally Ingestion of tap water was to be $0.5{\times}0^{-5} for 0.151 and 6.5{\times}10^{-5}$ for 2. 0 1. Chloroform breath concentration Increased gradually during the 60 minute dermal exposure. The breath decay after the dermal exposure showed two-phase mechanism, with early raped decay and the second slow decay. The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air chloroform concentrations, with $R^2$ : 0.4 and p<0.02.

  • PDF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on Balanc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Low Back Pain Patients)

  • 손호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1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on Balanc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8 low back pain patients in their twenti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oth participated in 30 minutes of stabilization exercise for 8 weeks(5 times/week), and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The subjects were tested balance and pain using BioRescue and Oswestry Diability Index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vement areas of the body's center(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vement distances of the body's center with eyes open(p<.05),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5). Both group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DI between pre and post test(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5). CONCLUSION: As a result, the group participating in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had a more effectiv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may be used improving balance and pain in low back pain patients.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최신 호기센서 기술 동향 (Recent Developments in Metal Oxide Gas Sensors for Breath Analysis)

  • 윤지욱;이종흔
    • 세라미스트
    • /
    • 제22권1호
    • /
    • pp.70-81
    • /
    • 2019
  • Breath analysis is rapidly evolving as a non-invasive disease recognition and diagnosis method. Metal oxide gas sensors are one of the most ideal platforms for realizing portable, hand-held breath analysis devices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reviewed the recent developments in metal oxide gas sensors detecting exhaled biomarker gases such as nitric oxides, acetone,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hydrocarbons. Emphasis was placed on strategies to tailor sensing materials/films capable of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biomarker gases with negligible cross-response to ethanol, the major interfering breath gas. Specific examples were given to highlight the validity of the strategies, which include optimization of sensing temperature, doping additives, utilizing acid-base interaction, loading catalysts, and controlling gas reforming reaction. In addition, we briefly discussed the design and optimization method of gas sensor arrays for implementing the simultaneous assessment of multiple diseases. Breath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metal oxide gas sensors/arrays will open new roads for point-of-care diagnosis of diseases such as asthma, diabetes, kidney dysfunction, halitosis, and lung cancer.

FUNCTIONAL BEVERAGE FOR REDUCING BAD BREATH

  • Choi W;Kim S. R.;Kim Y. S;Park Y. 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od,Nutrition and Health for 21st Century
    • /
    • pp.140-151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beverage as a bad breath controlling food. To achieve this objective, methods of gas chromatography, electronic nose, sensory analysis and halimeter were used to detect reduction in odor intensities of bad breath caused by the functional beverage as well as its active ingredients. According to results of GC and electronic nose, adding green tea and champignon extracts to bad breath indicators, methylmercaptan and trimethylamine,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headspace concentrations of two indicators. GC results revealed that headspace concentrations of 5 ug/ml of methylmercaptan and 30 ug/ml of trimethylamine add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two extracts were reduced up to $100\%$ after incubating mixtures at $37^{\circ}C$ for 5min. When the functional beverage was properly formulated with green tea extract, champignon extract and $\alpha$-cyclodextrin and evaluated for its deodorizing effect systematically, it also showed distinctive deodorizing activities against bad breath indicators. Conclusively,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might encourage introduction of a new type of bad breath control food in near future.

  • PDF

Sensor array optimization techniques for exhaled breath analysis to discriminate diabetics using an electronic nose

  • Jeon, Jin-Young;Choi, Jang-Sik;Yu, Joon-Boo;Lee, Hae-Ryong;Jang, Byoung Kuk;Byun, Hyung-Gi
    • ETRI Journal
    • /
    • 제40권6호
    • /
    • pp.802-812
    • /
    • 2018
  • Disease discrimination using an electronic nose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presence of a specific gas contained in the exhaled breath of patient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presence of acetone in the breath of diabetic patients. These studies suggest that acetone can be used as a biomarker of diabetes, enabling diagnoses to be made by measuring acetone levels in exhaled breath. In this study, we perform a chemical sensor array optimiz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electronic nose system using Wilks' lambda, sensor selection based on a principal component (B4), and a stepwise elimination (SE) technique to detect the presence of acetone gas in human breath. By applying five different temperatures to four sensors fabricated from different synthetic materials, a total of 20 sensing combinations are created, and three sensing combinations are selected for the sensor array using optimization techniques. The measurements and analyses of the exhaled breath using the electronic nose system together with the optimized sensor array show that diabetic patients and control groups can be easily differentiated. The results are confirm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정상성인 여성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휴지 및 호흡단락 특성의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uses and breath groups during paragraph reading for normal female adults with and without voice disorders)

  • 표화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109-116
    • /
    • 2019
  • 본 연구는 정상군과 음성장애 환자군의 문단낭독 시 휴지 및 호흡단락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시행되었다. 정상군 40명과 기능적 음성장애 환자군 40명을 대상으로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 중 Running Speech를 이용하여 '가을' 문단을 낭독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흡기 동반 및 미동반, 어절간 및 어절내 휴지와 호흡단락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 및 집단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흡기를 동반한 휴지횟수는 환자군이 더 높았으나 흡기를 동반하지 않은 휴지횟수는 정상군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어절경계 중 휴지가 동반된 비율은 환자군이 더 높았고 호흡단락당 음절수는 정상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음성장애 화자군은 성대폐쇄부전으로 인한 호흡지지가 정상군보다 부족하므로 휴지 시 흡기를 동반하는 경우나 호흡단락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일상대화의 자연스러움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음성장애 화자의 중재 시 휴지와 호흡단락의 빈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평가 및 중재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실내공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Parameters Affecting Indoor Air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조완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7-51
    • /
    • 1992
  • 수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샤워를 하는동안 공기로 방출되고 공기농도는 샤워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호기농도의 변화를 야기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샤워를 하는 동안 공기중의 클로로포픔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샤워변수(물온다 및 노출시간)를 클로로포픔 호기농도를 측정하여 검토 하였다. 크롤로포름 호기농도는 물의 온도와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가장 큰 클로로포름 호기농도 차이를 나타내는 두개의 흡기 노출 조건은 미지근한 물을 이용한 5분 동안의 노출과 더운 물을 이용한 15분 동안의 노출이었다. 클로로포름 호기농도는 후자의 노출후에 전자의 경우보다 거의 3배 정도 높았다. 주요 샤워변수와 수중농도로 조정된 호기농도 사이의 수학모델은 0.0001의 확률에서의 데이타와 훌륭한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음주 측정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 (혈액호흡 분배비율을 중심으로) (Analysis about the reliability of sobriety testing (focused on the Blood-Breath Ratios))

  • 이원영;고명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9-60
    • /
    • 2008
  • 본 연구의 목표는 음주운전 증거확보용 음주측정에서 혈액과 호흡의 알코올비율의 분산성을 평가하며 호흡 중 알코올 양의 확인 절차를 합리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각각 남자 24명, 여자 24명 등 48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성(2), 주류(2;소주, 위스키), 음식물 유형(2;김치지게, 삼겹살), 알코올 섭취량(2; 몸무게 기준 0.35g/kg, 0.70g/kg) 등의 요인에 대해 직교표에 의한 24 요인 설계를 적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술은 3회에 걸쳐 나누어 마시게 했으며 0.70g/kg 집단은 45분, 0.35g/kg 집단은 30분에 걸쳐 마시게 했다. 호흡측정과 혈액측정은 음주 종료 후 각기 8회와 5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혈중알코올과 호흡알코올 측정치 간에는 r = 0.973의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4원 변량분석 결과, 음식물 유형에 있어서 최대 BrAC의 차이(F (1, 43) =5.1, p<.029)가 드러났지만 술의 종류와 성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혈액호흡비(BBR)는 2295${\pm}$403이었고, 95% 신뢰구간은 1489와 3101이었다. 이런 변산에도 불구하고, 호흡측정기에 2100;1의 분배비율을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음주 후 30분이 지나면 대부분의 피험자가 2100:1 이상의 비율을 보이기 때문이다.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 연구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use groups and breath groups)

  • 유도영;신지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9-3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화자의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을 관찰하여, 이것이 인지적 차이나 사회 언어적 변수 간 차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과제, 세대, 성별에 따른 발화 길이와 호흡 단위의 실현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장년층 남녀 화자 48명의 문단 낭독 발화와 자유 발화를 분석하였다. 과제와 성별 변수는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 실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발화 길이는 낭독 발화에서, 여성의 발화에서 더 길었고, 호흡 단위의 길이는 자유 발화와 남성의 발화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 한편 세대 변수는 발화 길이 실현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는 영향을 주었다. 발화 과제에 따른 차이는 인지적 부담량을 반영한다. 발화 계획이 빈번하게 이뤄져야 하는 자유 발화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발화 길이를 보인다. 호흡 단위의 길이가 낭독 발화에서 더 짧았던 이유는 낭독 발화의 문장 길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발화 내 휴지 패턴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호흡 단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긴 길이를 보였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의 폐활량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세대는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만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세대 간 발화속도 차이에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