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Q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4초

전국 규모로 본 국내 지하수의 라돈 함량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Korea)

  • 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661-672
    • /
    • 2018
  • 국내 5,453개 지하수공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라돈 함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의 라돈 함량은 0.1-7,218.7 Bq/L의 범위, 평균함량은 94.4 Bq/L, 중앙값은 48.8 Bq/L으로 비슷한 지질환경을 갖는 나라의 지하수의 라돈 함량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 지하수의 라돈 함량빈도 분포는 대수정규분포를 보였다. 10개 지질로 구분하면 지질별 지하수의 라돈 중앙값은 화강암에서 높고(63.5-105.1 Bq/L) 퇴적암과 제주화산암(PVOL)에서 낮았다(16.0-20.3 Bq/L). 심도별 지하수의 라돈 함량 중앙값은 풍화대 또는 기반암 상부 구간에서 61.4 Bq/L로 높았으며 충적층 구간에서는 28.5 Bq/L로 낮았다. 전체 지하수중 라돈 함량이 미국환경청(USEPA)의 제안치인 148 Bq/L를 넘는 비율은 17.7%이다. 지질별로 보아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148 Bq/L를 초과하는 비율은 쥬라기화강암지역이 가장 높다. 그러나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300 Bq/L, 500 Bq/L 이상인 비율은 백악기화강암(CGRA)지역이 가장 높다.

주요 5개 도시의 실내외 라돈농도 조사연구 (A Survey of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in Five Major Cities)

  • 이철민;김윤신;박원석
    • 환경위생공학
    • /
    • 제17권3호
    • /
    • pp.75-82
    • /
    • 2002
  • This outline survey of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in five major cities in Korea was carried out with Electrostatic Integrating Radon Monitor(EIRM) from February to December, 1996 and January to december, 1998. The mean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in five major cities in 1996 were $21.9{\;}Bq/\textrm{m}^3$ and $9.6{\;}Bq/\textrm{m}^3$, respectively. The mean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in 1998 were $20.8{\;}Bq/\textrm{m}^3$ and $9.0{\;}Bq/\textrm{m}^3$, respectively. These were below the U.S.EPA radon action level. The range of indoor to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were $0.8{\;}Bq/\textrm{m}^3{\;}~{\;}45.6{\;}Bq/\textrm{m}^3$ in 1996, $0.5{\;}Bq/\textrm{m}^3{\;}~{\;}15.2{\;}Bq/\textrm{m}^3$ in 1998, respectively.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ed that radon concentrations in indoor air were clearly higher than those in outdoor air. Inspection of seasonal distribute pattern indicates the enhancement during winter relative to summer.

벤조퀴논 포집 폴리에틸렌이민-탄소나노튜브 지지체 기반 효소촉매의 바이오연료전지로서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iofuel cell using Benzoquinone Entrapped Polyethyleneimine-Carbon nanotube supporter Based Enzymatic Catalyst)

  • 안연주;정용진;권용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258-2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글루코스 산화효소(glucose oxidase, GOx),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벤조퀴논(benzoquinone, BQ)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바이오연료전지를 위한 바이오 촉매를 합성하였다. 이를 위해, 지지체인 PEI/CNT 복합체에 BQ를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물리적으로 포집한 뒤, GOx를 담지시켜 합성하였다. 이는 기존에 전자 매개체로서 전해질에 풀어서 사용했던 BQ를 전해질이 아닌 촉매 내에 포집하여 촉매를 구성하였다는 개선점이 크며, 그 결과, BQ가 포집되지 않은 촉매 대비, 1.9배 상승한 $34.16{\mu}A/cm^2$의 최대전류밀도를 얻음을 통해 촉매활성이 개선되었음을 증명하였고, 바이오연료전지의 산화극 촉매로 이용 시, BQ가 포집되지 않은 촉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전지에 비해 1.2배 상승한 $0.91mW/cm^2$의 최대출력밀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바이오연료전지의 산화극을 위한 촉매로서 GOx와 함께 담지된 매개체 BQ를 포함한 촉매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라돈방사능농도의 측정을 통한 지진발생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diction of Earthquake Occurrence by Detecting Radon Radioactivity)

  • 김윤신;이철민;이승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77-68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occurrence of earthquakes in Korea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radon radioactivity in the air and in the underground water. Two monitoring systems of radon concentration detection in the air were installed in Seoul, East Coast area, whereas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underground water in Kyungju area during December, 1999 to June, 2001. The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air in Seoul is as follows Winter(10.10 $\pm$ 2.81 Bq/㎥), autumn(8.41 $\pm$ 1.35 Bq/㎥), summer(5.83 $\pm$ 0.05 Bq/㎥) and spring (5.34 $\pm$ 0.44 Bq/㎥), whereas the distribution of radon in the air in the East Coast area showed some difference as follows : autumn (14.08 $\pm$ 5.75 Bq/㎥), Summer (12.04 $\pm$ 0.53 Bq/㎥), Winter (12.02 $\pm$ 1.40 Bq/㎥) and spring (8.93 $\pm$ 0.91 Bq/㎥). In the 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radon in the water is as follows : spring (123.59 $\pm$ 16.36count/10min), Winter (93.95 $\pm$ 79.69counter/10min), autumn (68.96 $\pm$ 37.53counter/10min) and spring (34.45 $\pm$ 9.69counter/10min). The daily range of the density of radon concentration in Seoul and East Coast area was between 5.51 Bq/㎥ - 9.44 Bq/㎥, 7.15 Bq/㎥ - 15.27 Bq/㎥, respectively. 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s of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in underground water with earthquake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The results suggested that radon radioactivity seemed to be helpful for the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earthquake.

가압경수로형 원전에서 발생된 폐수지의 $^{14}C$$^3H$ 동시 분리 및 측정 (Simultaneous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l4}C\;and\;^3H$ in Spent Resins from PWR Nuclear Power Plants)

  • 박순달;김정석;김종구;한선호;지광용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9-188
    • /
    • 2007
  •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된 폐수지내 $^{14}C$$^3H$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Na_2^{14}CO_3$ 표준용액을 사용한 $^{14}C$의 회수율 측정결과, 사용한 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3 N-HCl $3\;N-HNO_3,\;3\;N-H_2SO_4$, 주입한 $^{14}C$ 농도 $0.72\;Bq{\sim}460\;Bq$ 범위에서 $81%{\sim}100%$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HTO 표준용액 증류에 의한 $^3H$의 회수율은 주입한 $^3H$ 농도 $0.60\;Bq{\sim}435\;Bq$ 범위에서 $81%{\sim}101%$ 이었다. 습식산화-산용출법에 의한 폐수지의 $^{14}C$$^3H$ 동시분리시, $3\;N-H_2SO_4$를 사용했을 때 다른 감마핵종에 의한 방해가 없었으며, $^3H$ 포집액이 섬광제와 잘 혼합되었다. 그러나 3 N-HCl을 사용했을 때 $^3H$ 포집용액에서 $^{60}Co,\;^{134}Cs,\;^{137}Cs$$^{54}Mn$ 등의 감마핵종이 검출되었다. 또한 Sample Oxidizer에 의한 $^3H$ 포집용액에서도 $^{60}Co,\;^{134}Cs,\;^{137}Cs$$^{54}Mn$ 등이 검출되었으며, $^{14}C$ 포집용액에서는 $^{134}Cs,\;^{137}Cs$이 검출되었다. 폐수지의 총 $^{14}C$ 함량중 약 70% 이상이 무기 탄소로 확인되었다. 30개 폐수지 시료중 8개 고방사능 폐수지의 $^{14}C$$^3H$의 평균농도는 각각 $19000\;Bq/g{\pm}41000\;Bq/g,\;670\;Bq/g{\pm}460\;Bq/g$이었으며 22개 저방사능폐수지에서는 각각 $4.2\;Bq/g{\pm}4.3\;Bq/g,\;6.0\;Bq/g{\pm}5.3\;Bq/g$이 검출되었다. 고방사능 폐수지의 평균 $^{14}C/^3H$비는 28로 저방사능 폐수지의 0.7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4}C$$^3H$의 농도는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 중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 ([ 137Cs] and 40K Activities of Foodstuffs Consumed in Jeju)

  • 강태우;홍경애;박원표;유장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58
    • /
    • 2004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류 중의 $^{137}Cs$$^{40}K$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여, 식품 섭취에 따른 $^{137}Cs$$^{40}K$에 의한 내부피폭 선량의 값을 평가함으로써 만일의 원자력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시료로 채취한 식품류는 농산물 31, 축산물 6, 수산물 12, 임산물 4 그리고 가공식품(차류)이 3종류였고, 방사능 분석은 고순도 게르마늄검출기가 장착된 감마선분광계로 수행하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범위는 농산물이 MDA이하 ${\sim}650\;mBq/kg$ fresh 축산물 MDA이하 ${\sim}131\;mBq/kg$ fresh, 임산물 MDA이하 ${\sim}834\;mBq/kg$ fresh, 수산물 MDA이하 ${\sim}253\;mBq/kg$ fresh, 그리고 가공식품은 $32.0{\sim}483\;mBq/kg$ fresh 이었다. $^{40}K$의 경우는 농산물 $16.6{\sim}542\;Bq/kg$ fresh, 축산물 $39.1{\sim}294\;Bq/kg$ fresh, 임산물 $85.5{\sim}116\;Bq/kg$ fresh 수산물 $50.1{\sim}657\;Bq/kg$ fresh 그리고 가공식품$33.6{\sim}1,065Bq/kg$ fresh 범위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표고버섯으로 834 mBq/kg fresh 이었으며, $^{40}K$은 커피가 1,065 Bq/kg fresh로 가장 높았다. 각 식품류 중 $^{137}Cs$$^{40}K$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은 농산물이 66,543 nSv로 가장 높았고, 축산물 19,311, 가공식품(차류) 6,648, 수산물 6,579 그리고 임산물 860 nSv 순으로 낮았으며, 이것을 모두 합한 총 연간 유효선량 값은 99,941 nSv 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식품의 1인당 연간 섭취량이 연간 총 식품 섭취량의 60%임을 감안해도 자연환경 중에서 이루어지는 외부피폭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인 2,400,000 nSv에 비하면 무시 할 정도여서 평상시 식품섭취에 의한 방사선 내부피폭은 매우 미량이었다. 이상의 자료는 유사시 방사선에 의한 식품류 오염정도를 식별하는데 필수 불가결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전지역별 지하수중의 우라늄, 라돈 농도준위 분포조사 연구 (The Study of Radon and Uranium Distribution in the Groundwater at Regional Difference of Daejeon)

  • 윤윤열;조수영;이길용;김용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25-30
    • /
    • 2006
  • 지역에 따른 지하수중의 라돈 과 우라늄의 농도차이를 알기 위하여 대전지역의 지하수를 분석하였다. 대전 5개 지역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75개 지하수를 채취하여 라돈 및 우라늄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우기 전 후로 40 개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수 유입에 따른 변화를 알고자 하였다. 지역에 따른 라돈 및 우라늄의 평균농도는 유성구에서는 $270.9{\pm}152.3\;Bq/L,\;43.8{\pm}23.5\;{\mu}g/L$, 서구지역은 $112.9{\pm}65.8\;Bq/L,\;0.45{\pm}0.23\;{\mu}g/L$, 동구지역의 경우는 $41.3{\pm}24.0\;Bq/L,\;4.9{\pm}11.3\;{\mu}g/L$, 대덕구는 $131.8{\pm}99.5\;Bq/L,\;54.3{\pm}127.5\;{\mu}g/L$ 그리고 중구는 $44.0{\pm}43.0\;Bq/L,\;8.1{\pm}11.6\;{\mu}g/L$이었다. 또한 지표수의 영향을 관찰한 시료에서 우라늄 농도는 최소 0.5에서 최대 640 ${\mu}g/L$까지 나타나며 라돈의 경우 최소 0.4에서 최대 729 Bq/L 까지였으며 건기시 채취한 시료가 우기후 시료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건기시 라돈과 우라늄의 농도는 평균 $253{\pm}14\;Bq/L,\;63{\pm}12.2\;{\mu}g/L$ 이었으며, 우기후는 $195{\pm}11\;Bq/L,\;45.4{\pm}11.7\;{\mu}g/L$를 나타내었다.

Analysis of Air Discharge and Disused Air Filters in Radioisotope Production Facility

  • Kim, Sung Ho;Lee, Bu Hyung;Kwon, Soo Il;Kim, Jae Seok;Kim, Gi-sub;Park, Min Seok;Jung, Haijo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3호
    • /
    • pp.156-161
    • /
    • 2016
  • When air discharged from a radioisotope production facility is contaminated with radiation, the public may be exposed to radi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nage such radiation exposure. We measured the airborn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at a 30 MeV cyclotron radioisotope production facility to assess whether the exhaust gas was contaminated. Additionally, we investigted the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the air filter for efficient air purification and radiation safety control. To measure the airborne radiation concentration, specimens were collected weekly for 4 h after the beginning of the radioisotope production. Regarding the air purifier, five specimen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each filter-pre-filter,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and charcoal filter-installed in the cyclotron production room. The concentrations of F-18, I-123, I-131, and Tl-201 generated in the radioiodine production room were $13.5Bq/m^3$, $27.0Bq/m^3$, $0.10Bq/m^3$, and $11.5Bq/m^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F-18, I-123, and I-131 produced in the radioisotope production room were $0.05Bq/m^3$, $16.1Bq/m^3$, and $0.45Bq/m^3$, correspondingly; and those of F-18, I-123, I-131, and Tl-201 generated in the accelerator room were $2.07Bq/m^3$, $53.0Bq/m^3$, $0.37Bq/m^3$, and $0.15Bq/m^3$, respectively. The maximum radiation concentration of I-123 generated in the radioiodine production room was 1,820 Bq/g, which can be disposed after 2 days. The maximum radiation concentration of Tl-202 generated in the radioisotope production room was 205 Bq/g, and this isotope must be stored for 53 days. The I-123 generated in the radioiodine production room had a maximum concentration of 1,530 Bq/g and must be stored for 2 days. The maximum radiation concentration of Na-22 generated in the radioisotope production room was 0.18 Bq/g and this isotope must be disposed after 827 days. To manage the exhaust,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must be enhanced by selecting an air purifier with a long life and determining the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by examin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systematic measurements of the airborne radiation contamination level.

인산석고 취급공정에서의 라돈농도 및 유효선량 수준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and Exposure Level of Radon in Process Handling NORM)

  • 정은교;장재길;김종규;김준범;권지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3-291
    • /
    • 2018
  • Objectives: To monitor the radon concentration level in plants that handle phosphorus rock and produce gypsum board and cement, and evaluate the effective dose considering the effect of radon exposure on the human body. Methods: Airborne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lpha-track radon detectors (${\alpha}$-track, Rn-tech Co., Korea) and continuous monitors (Radon Sentinel 1030, Sun Nuclear Co., USA).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ere converted to radon dose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to evaluate the human effects due to radon. H (mSv/yr) = Radon gas concentration x Equilibrium factor x Occupancy factor x Dose conversion factor.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used $8nSv/(Bq{\cdot}hr/m^3)$ as the dose conversion factor in 2010, but raised it by a factor of four to $33nSv/(Bq{\cdot}hr/m^3)$ in 2017. Results: Radon concentrations and effective doses in fertilizer manufacturing process averaged $14.3(2.7)Bq/m^3$ ($2.0-551.3Bq/m^3$), 0.11-0.54 m㏜/yr depending on the advisory authority and recommendation year, respectively. Radon concentrations in the gypsum-board manufacturing process averaged $14.9Bq/m^3$ at material storage, $11.4Bq/m^3$ at burnability, $8.1Bq/m^3$ at mixing, $10.0Bq/m^3$ at forming, $8.9Bq/m^3$ at drying, $14.7Bq/m^3$ at cutting, and $10.5Bq/m^3$ at shipment. It was low because it did not use phosphate gypsum. Radon concentrations and effective doses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were $23.2Bq/m^3$ in the stowage area, $20.2Bq/m^3$ in the hopper, $16.8Bq/m^3$ in the feeder and $11.9Bq/m^3$ in the cement mill, marking 0.12-0.63 m㏜/yr, respectively. Conclusions: Workers handling phosphorous gypsum directly or indirectly can be assessed as exposed to an annual average radon dose of 0.16 to 2.04 mSv or 0.010 to 0.102 WLM (Working Level Month).

한국 주변 해역 표층해수중 삼중수소 농도 (Tritium Concentrations in Surface Seawater around Korean Peninsula)

  • 김창규;조용우;김계훈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07-115
    • /
    • 1996
  • 전해농축법을 이용하여 한국 주변 해역 해수중 저준위 삼중수소를 측정하였다. 동 서 남해안에서 채취된 표충해수중 삼중수소를 측정한 결과, 삼중수소 농도는 $0.12 BqL^{-1}$에서 $1.50 BqL^{-1}$ 범위내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평균값은 $0.60{\pm}0.353qL^{-1}$였다. 해역별 평균 삼중수소 농도는 동해안에서 $0.54{\pm}0.30 BqL^{-1}$ 남해안에서 $0.48{\pm}0.35 BqL^{-1}$. 서해안에서 $0.77{\pm}0.32 BqL^{-1}$의 농도분포를 각각 나타내었으며, 해역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시료채취지점이 매우 좁은 위도범위내에 한정되어 있어 위도에 따른 삼중수소 농도의 체계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표층해수 중 삼중수소 농도 준위는 일본 근해에서 조사된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태평양지역에서의 삼중수소 농도에 비해서는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