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PM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9초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SCM 부문에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Analysis of Business Process in the SCM Sector Using Data Mining)

  • 이상영;이윤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9-67
    • /
    • 2006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도구인 BPM을 SCM 부문에 적용하면 효율적인 프로세스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BPM은 SCM을 구성하는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SCM 프로세스의 진행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스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프로세스의 개선에 대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BPM을 SCM 환경에 도입한다 아울러 SCM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통합 실행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방안을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제시한다.

  • PDF

비즈니스 프로세스 질의 언어의 도입 가이드라인 (A Guideline for incorporating business process query language)

  • 김민수;김훈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50
    • /
    • 2006
  • BPM 시스템의 활용이 확대되고 BPM 표준의 채택이 일반화되어가면서, 차츰 BPM 시스템의 관리와 유지보수 및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질의 언어의 표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질의 언어는 마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SQL처럼 BPM 시스템에 대한 표준적인 접근 및 개발이 가능하게 해주며, 궁극적으로는 BPM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표준화에 대한 명시적인 결과물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질의 언어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어떠한 설계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할지를 제시하고, 이를 BPM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참조 아키텍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MDM 기반 BPM 시스템 도입에 대한 고찰 (Efficient Multicasting Mechanis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 송종철;문병주;류지웅;김석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07-708
    • /
    • 2012
  • 급변하는 내외부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스터데이터관리모델과 BPM을 이용하여 내외부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BPM을 포함하여 프로세스의 변화도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 PDF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BPM 소개와 철도공사의 BPM 모델링 (BPM Introduction for work efficiency improvement and BPM Modeling of Korea Railroad)

  • 김동범;안수관;김봉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8-1275
    • /
    • 2005
  • The computerization works and environment have been changed from simple transaction and data process request to system connection request, from data computerization to application work automation and process computerization through IT development and Internet spread. Recently,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concept has been widely propagated. It is expanding interest of business subject. Korea Railroad is operating trai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5 regional headquarters and organiz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each regional headquarter. But integrate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ommunication each department, work flow management and resources of depot equipment and materials have to need a lot of effort and time in huge organization as Korea Railroad. Therefore, this article realized Web Based BPM Group Ware. This article will define Korea Railroad organization and business process in using this Group Ware. And it will introduce Korea Railroad computer manage system of this Group Ware and efficient Korea Railroad Business Process through modeling and operating department work and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Railroad.

  • PDF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위한 Trigger mode 투시영상 획득 시 호흡 속도에 따른 정확성 평가 - Phantom Study (Evaluation of the Accuracy and usability of Trigger mode in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 박제완;김민수;엄기천;최성훈;송흥권;윤인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3권
    • /
    • pp.25-33
    • /
    • 2021
  • 목 적 : 본 연구를 통해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시 환자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QUASARTM 호흡 움직임 팬텀에 3 mm의 기준 표지자(Fiducial marker, gold marker)를 삽입하여 본원 한달 동안 환자의 평균 호흡인 20 bpm(Breath per minute)을 기준으로 4DCT 촬영 후 정중앙(Median)에 위치한 표지자에 윤곽 묘사(Contouring)를 하였다. OBI(On Board Imager)가 장착된 Truebeam STxTM를 이용해 방사선조사 구간인 Gating window를 Lower threshold는 2.0 mm로 모든 측정 조건에서 고정시키고, Upper threshold를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로 바꿔가며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평균 호흡 속도인 20 bpm을 기준으로 10 bpm, 30 bpm, 40 bpm, 50 bpm, 60 bpm 호흡속도를 바꿔가며 방사선이 끊기는 순간인 'Once at beam off'로 5회 촬영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3일간 반복 촬영 후 각 속도 별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 기준 호흡 속도 20 bpm에서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 Upper threshold에서 Trigger mode의 beam off시 차이는 3일간의 평균값으로 0.68±0.05 mm, 0.91±0.03 mm, 1.23±0.03 mm, 1.42±0.04 mm, 1.66±0.06 mm이다. 기준 호흡 속도(20 bpm)대비 호흡 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는 최대 절대차이(Absolute Difference)의 경우 1일차, 2일차, 3일차 모두 3 mm Upper threshold에서 평균 0.81±0.08 mm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호흡 속도와 절대차이의 편차(Variation)에 대한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결정계수 R2는 3일 평균 수치로 각각 0.838, 0.887, 0.770, 0.850, 0.906로 확인되었다. 3일간의 Threshold 모든 변수에서 p-value는 설정 유의수준 0.05 이하로 차이유의를 확인하였다. 결 론 :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Trigger mode를 이용하여 영상유도를 할 경우 기준 호흡 속도(20 bpm)에서의 Trigger mode의 오차율이 평균 ±0.04 mm 값으로 정확성과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호흡 속도에 따른 부정확성(Uncertainty) 또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준 호흡 속도 대비 느려지는 경우(< 20 bpm)보다 빨라지는 경우(> 20 bpm) 영상획득에 대한 부정확성은 커졌다. 따라서 사전 모의치료시의 호흡을 선별하고 호흡을 유지하기 위한 호흡교육과 치료 중 적극적인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지속적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6시그마와 BPM 통합 모형 (Integration of Six Sigma and BPM for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

  • 윤지현;정재윤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5
    • /
    • 2017
  • 6시그마는 지난 20여 년간 제조 및 서비스 등의 산업에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하여 꾸준히 적용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시그마는 Define 단계에서 의미있는 프로젝트를 계속 발굴하기 힘들고 Control 단계에서 지속적인 측정 및 통제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통제와 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되며,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시스템이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운영 및 분석에서 누적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지속적 프로세스 개선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6시그마와 BPM의 통합 모형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하여 상호 데이터기반으로 프로세스를 분석, 개선,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6시그마와 BPM의 장점을 결합하여, 지속적으로 업무를 개선하고 관리함으로써 전사적인 경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BPM 기반의 협업허브 2.0 설계와 구현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llaboration Hub 2.0 based on BPM)

  • 김보현;정소영;최헌종;이성진;장진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414-423
    • /
    • 2011
  • The collaboration hub has been developed since 2004 as an online collaboration space, which supports the various collaborative works among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sing information sharing, collaboration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history management. Because of the change of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t should be evolved from the existing version called Collaboration Hub 1.0. Recently, a lot of manufacturing enterprises know the importance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BPM) and start to introduce BPM systems. Our research group has developed the new version of Collaboration Hub 1.0 called Collaboration Hub 2.0 which contains the BPM concept, the consistent product data management, and the specialized functions overcoming the various variation of manufacturing. This study scrutiniz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Collaboration Hub 2.0 and introduces an application study of it to the value chain of automobile module development consisted of a leading company and subcontractors. The case study covers the definition, execution and monitoring of collaboration process, the specialized functions overcoming the manufacturing variation and the key performance index of collaboration business.

끊임없는 업무 프로세스 개선의 도구로서 BPM;L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BPM as a tool supporting continuous business process innovation;A case of L Electronics)

  • 채명신;박송미;전켄트
    • 벤처창업연구
    • /
    • 제1권1호
    • /
    • pp.157-178
    • /
    • 2006
  • 2003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진행 중인 L전자의 BPM 구축은 한국에서는 최초의 전사적 BPM 구축으로 다른 기업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L전자는 세계 TOP 3의 Global Brand을 이룬다는 목표 하에 기업 업무 혁신(process Innovation)을 가동하였다. 끊임없이 가속화되는 세계화나, IT의 발전 등으로 인한 기업 경영 환경의 변화는 전략의 변화에 따른 업무 처리 절차, 방식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사례는 L전자가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을 이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BPM을 통한 혁신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BPM 기반의 지식경영시스템 도입 개념과 기대 효과 (The Introductory Concept and Expected Effectiveness for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BPM)

  • 김태한;황두원;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9-863
    • /
    • 2007
  • 대부분의 건설기업은 지식기반의 무한경쟁시대에 맞추어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지식경영에 관심을 가지고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세계적 정상권과 부합되는 지식경영 흐름을 이어가지 못한 채 단순한 지식축적으로만 지식경영시스템을 운영하여 낮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탈피하여 업무 프로세스 기반의 지식경영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업무 프로세스 관리와 지식경영시스템을 고찰하였고, 업무 프로세스 기반의 지식경영시스템 도입을 위한 개념과 구축에 구성되는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도출하였다.

  • PDF

Container Flow Management in Port Logistics Based on BPM Framework

  • Nisafani, Amna Shifia;Park, Jaehun;Bae, Hyerim;Yahya, Bernardo Nugroho
    • 정보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12
  • To promote proces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t is necessary that port logistics employ automated equipments for handling containers. There exists a system for automatically managing the container flow, called Control Module. However, it has limitation to assign the execution order to the machine and monitor the container flow in real time process.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provides a suitable and effective framework to address this problem includ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flow of each container. Since the nature of container handling process is different with the common process in BPM that is conducted by human perform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BPM framework in the domain of port logistic management. This study presents a BPM framework corresponds with both human-based and machine-based activit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ort process flow including container flow. This framework is introduced as an integrated approach and mechanism of BPM application into the container handl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port logistics process auto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