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PI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울산 연안 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공간 변동 및 저서건강도 평가 (Spatio-temporal Variation and Evaluation of Benthic Healthiness of Macro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on the Coast of Ulsan)

  • 정봉근;신현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223-235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enthic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on the coast of Ulsan, located on the southern East Sea of Ko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at 15 stations, four times seasonally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2016. From the coast to the outer sea, surface sediments turned into fine grained sediments. There were complex coarse-grained sedimentary facies in various forms in the coastal zones while those with mud facies were found in the offshore zone. Organic matter content (LOI) and sulfide amount (AVS) recorded extremely high values, and increased from the coast to the outer sea, showing a similar trend to mud content with depth.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revealed a mean density of $525ind./m^2$, and the total species number of species was 84. The major dominant polychaetous species were Magelona japonica, Lumbrineris longifolia and Heteromastus filiformis throughout the four seasons. Magelona japonica was concentrated predominantly in shallow coastal areas, but was present in all the regions of the survey area. Lumbrineris longifolia showed higher density in offshore regions more than 30 m deep, whereas H. filiformis showed higher density in coastal areas less than 30 m in depth.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ecological areas according to species composition, such as the northern coastal area between Ulsan PortOnsan Port, the southern area around Hoeya River and the outer sea area. Benthic environments in the study area, as determined by AMBI and BPI index, maintained a healthy condition in all four seasons with the AMBI at a level above GOOD and BPI at a level above FAIR. As organic matter accumulation continues to take place in the Ulsan coastal area, it is essential that detailed research activities continue to be carried out and ongoing monitoring be maintained.

해양환경 평가지수를 활용한 환경영향평가서 및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개선 방안 연구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 Impact Survey Reports Using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 이어진;김태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2호
    • /
    • pp.61-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진행되는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수들을 비교·검토하였다. 해양수질 분야에는 수질평가지수(WQI), 해양저질 분야에는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HC), 부영양화 정화지수(CIET), 농축계수(EF), 해양저서생물 분야에는 저서건강도지수(BHI), 저서오염지수(BPI)를 선정하였다. 개발사업에서 관측된 자료를 각각의 평가지수에 적용하여 평가지수의 특성 및 효용성을 파악하였다. 수질평가지수,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 저서건강도지수가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통합적인 환경영향 분석이 가능하였다. 동 연구에서 제시된 지수이외에도 해양환경을 평가하는 다양한 지수가 있으며, 사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지수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Comparison of the Biopsychosocial Features of Myofascial Pain to Local Myalgia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Choi, Hee Hun;Kim, Mee-Eun;Kim, Hye-Kyo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3호
    • /
    • pp.117-12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biopsychosocial features of myofascial pain (MFP) differ from those of local myalgia (LM)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Methods: Patients with TMD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using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MD. All patients completed a series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pain severity and pain interference (Brief Pain Inventory, BPI), pain disability (Graded Chronic Pain Scale, GCPS), psychological distress (Symptom Check List-90-Revised, SCL-90R), pain cognition (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mong all the TMD diagnoses, muscle pain was classified into the MFP group and LM group. Results: This study included 917 patients with myalgia (MFP: 266, LM: 65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emale ratio (78.9% for MFP, 60.9% for LM, p<0.001) and the mean pain duration (MFP: 25.3 months, LM: 15.8 months,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Patients with MFP exhibited higher pain severity (p=0.003) and pain interference (p<0.001) of BPI than those with LM. Furthermore, the global scores of the PCS (p<0.001) and PSQI (p<0.001) were higher in the MFP group than in the LM group. The MFP group had higher global symptom index (p=0.017) and five subscales of the SCL-90R than the LM group. Compared with the LM group (33.4%), the greater proportion of high disability of GCPS was observed in the MFP group (44.9%) (p<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x (p=0.002), pain duration (p=0.019), pain disability (p=0.010),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p=0.008)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FP presents a higher biopsychosocial burden than LM in TMD.

상완 신경총 손상에서 자연 회복과 신경 재건술간의 비교 (Comparison of Spontaneous Recovery and Nerve Surgery in Brachial Plexus Injury)

  • 백구현;정문상;서중배;박진수;박용범;전득수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5권1호
    • /
    • pp.137-146
    • /
    • 1996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1985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치험하였던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한 8개월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자연 회복을 기다렸고, 수상 후 8개월에서 10개월까지 3개월마다 반복된 근전도 검사상 회복이 없거나 경미한 31명에 대하여 신경 복원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 회복은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47명(46%)에서 일어났으며, 자연 회복된 환자의 3분의 2(31명)에서 근전도 검사상의 변화가 3개월에서 9개월 사이에 처음 발견되었고, 나머지 3분의 1(16명)의 환자에서 9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발견되어, 평균 7.8개월에 시작됨을 보여주었다. 수정된 AMA score상 내원 당시 14.8점에서 최종 추시 관찰시 39.8점으로 개선되었다. 2) 신경 복원술을 실시한 31명 중 52%가 기능적 호전을 보여주었고 수정된 AMA score상 술전 21.5점에서 술후 36.3점으로 14.8점이 개선되었다. 3) 양군에서 기능적 호전을 보인 비율은 유의한 수준이 아니지만, 기능적 호전의 정도는 25점과 14.8점으로 자연 회복군이 신경 복원술을 실시한 군보다 통계적으로 더 우수한 기능적 호전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p<0.05). 4) 결국 저자들은 현재까지 손상의 부위와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상태에서 이론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기껏해야 근력 3 내지 4등급의 회복을 위해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결과가 확실하지도 않은 수술을 하는 것보다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 및 이에 따른 많은 변종을 가진 상완신경총 손상 환자에게 일단 회복이 되면 더 많은 기능 회복을 줄 수 있는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며 자연 회복을 기다리는 것이 났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자연 회복이 수상 후 평균 7.8개월에 시작됨으로 자연 회복을 기대하며 1년간 기다려 본 후 1년이 경과하여도 자연회복이 되지 않는 경우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 PDF

공공행정 서비스 업무의 통합을 위한 전자정부 시스템의 개선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d Business Processes of e-Government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Civil Affairs and Suggestions Services)

  • 박동아;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52-1064
    • /
    • 2016
  •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ocessing for civil affairs, online public services are in operation in ever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links in each government departmental business processes on e-Government system, the satisfaction of the civil petitioners has not improv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business process for the implementation of one-stop integrated civil affairs and suggestions services on e-Government system to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processing civil affairs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ervices by cutting down the cost and time.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through redesigning civil affairs processing in the light of integrated system for the civil affairs and its suggestion.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평가

  • 최진우;이우진;유옥환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81-106
    • /
    • 2002
  •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 (44.8 %), 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3.6 %), Sigambra tentaculata (1.7 %)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군집분석결과 7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양만의 서부해역은 종조성이 다양한 군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저서오염지수(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에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적인 상태에 있었지만, 광양만 입구지역에서는 유기물오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었다.

  • PDF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저서환경

  • 현상민;이태희;최진성;우한준;최동림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46-50
    • /
    • 2002
  • 광양만의 저서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양만 표층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입도분석결과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 분포는 사질퇴적물과 점토질 퇴적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을 포함하는 퇴적물은 주로 POSCO 우측해역과 남해도 사이의 수로 중앙부분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외 지역에서는 점토질 퇴적물이 주를 이룬다. 유기물(TOC) 함량은 약 0.2-2.1%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C/N비에 근거한다면 육지에서 공급된 유기물과 현장에서 생성된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저질의 건강상태를 검토하기 위해 퇴적물중의 황화수소(H$_2$S)을 측정한 결과 최고 301 ppm에서 최소 0.7 ppm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묘도안 쪽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으로 오염된 저서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조사된 중형 저서생물의 개체수(species abundance)에 대한 공간분포면화를 조사해본 결과 묘도안쪽에서 낮은 개체수(species abundance)와 종수(species richness)를 보이고 있어 황화수소가 높게 나타나는 지역과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보인다. 추후 저서생물의 다양도나,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 BPI)등과 퇴적물증의 유기물이나 황화수소값이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 PDF

A Lossless Data Hiding Scheme for VQ Indexes Based on Joint Neighboring Coding

  • Rudder, Andrew;Kieu, The Duc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8호
    • /
    • pp.2984-3004
    • /
    • 2015
  • Designing a new reversible data hiding technique with a high embedding rate and a low compression rate for vector quantization (VQ) compressed images is encouraged. This paper proposes a novel lossless data hiding scheme for VQ-compressed images based on the joint neighboring coding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a current VQ index and its left and upper neighboring VQ indexes to embed n secret bits into one VQ index, where n = 1, 2, 3, or 4.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the embedding rates of 1, 2, 3, and 4 bits per index (bpi) with the corresponding average compression rates of 0.420, 0.483, 0.545, and 0.608 bit per pixel (bpp) for a 256 sized codebook. These results confirm that our scheme performs better than other selected reversible data hiding schemes.

Synthesis of Conjugated Copolymers with phenothiazine and Azomethine Units and their Electro-Optic Properties

  • Seo, Hyeon-Jin;Jang, Byeung-Jo;Chang, Jin-Gyu;Park, Lee-Soon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2권4호
    • /
    • pp.8-14
    • /
    • 2001
  • Three types of conjugated polymers, poly(PZ-Pi), poly(PZ-BPI) and poly(PZ-NPI) were synthesized by Schiff-base reaction. These new conjugated polymers exhibited improved solubility in common organic solvents due to the presence of alkyl side chains as well as azomethine groups, Double layer LEDs made with the synthesized polymers as emitting layer and $Alq_3$, as electron transporting layer exhibited enhanced EL emission and efficiency compared to those of single layer LEDs. Double layer LEDs exhibited gradual shift in the emission peak th the single layer LED, made of only $Alq_3$ as the emitting layer as the thickness of $Alq_3$ layer increased.

  • PDF

적응 전류 이득 변환 방법을 이용한 스핀들 모터의 제어 성능 향상 방법 (Adaptive Current Gain Swit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Spin Control Accuracy in HDD)

  • 김진석;오경환;이병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7-328
    • /
    • 2010
  • 1980년초 미국 실리콘 밸리 소재 시게이트사에 의해 5메가 바이트 용량의 개인 컴퓨터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가 처음 소개된 이후, HDD 개발 기술은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였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으로 엄청나게 많은 정보저장용량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정보저장기기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에 부합하고 있는 기기중의 하나가 HDD이다. 드라이브에서 스핀들 모터의 제어는 주된 읽기 쓰기 동작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제반 여건이며, 단위 면적당 데이터(BPI)가 증가함에 따라서 스핀들 모터의 제어 성능은 드라이브 성능과 직결되는 더욱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해 스핀들 모터의 출력 이득을 조정하여 제어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