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SU bal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강화 운동이 엄지발가락 가쪽휨증을 가진 20대 성인의 엄지발가락 가쪽휨증 각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a Bosu® Ball on the Hallux Valgus Angle, Rear Foot Angle, Balance, and Pain of Hallux Valgus Patients in Their 20s)

  • ;정범철;유경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9-77
    • /
    • 2022
  • PURPOS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ervative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s using a Bosu® ball or taping, on the hallux valgus angle and the pain of hallux valgus patients in their 20s. METHODS: The hallux valgus angle, balance, and pain after measuring the hallux valgus were measured to select suitable subjects. In the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ASG) a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using a Bosu® ball was performed for two sessions weekly for four weeks and the taping group (TG) was given Kinesiotaping® for two sessions weekly, two days per session, for four week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 footprint was us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hallux valgus angle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was used to measure pain. RESULTS: An evaluation of the post-experiment changes in the hallux valgus angle and pai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both ankle strengthening exercises and Kinesiotap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allux valgus angle and pain.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강화 운동과 테이핑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20대 환자의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BOSU ball and taping on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in their 20s with hallux valgus)

  • ;정범철;유경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81-91
    • /
    • 2021
  • 본 연구는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근력 강화 운동과 테이핑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 환자의 정적과 동적 발바닥 압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지고 있는 20대 남녀 26명이며, 테이핑군(Taping group, TG; n=13)과 발목 강화 운동군 (Ankle strengthening group, ASG; n=13)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고, 각 군은 총 4주에 걸쳐 해당 중재를 실시하였며, 중재 전과 후에 정적, 동적 발바닥 압력을 측정하였다.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의 사전-사후값의 측정값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하였다. 발의 전체 체중에 대한 비율(Foot)은 왼쪽 발의 ASG가 T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발의 표면적(Surface area)에서는 오른쪽 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발의 엎침 운동의 정도(MP/change ratio)는 오른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발의 힘(Force)에서는 왼발의 TG가 ASG에 비해 집단 내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집단 간의 변화에서는 TG의 변화량이 ASG의 변화량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 강화 운동과 테이핑은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환자에게 효과적인 변화를 주기에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 Both Sides Utilized Bal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ase Study

  • Sim, Yon-ju;Kim, Jeong-soo;Yi, Chung-hwi;Cynn, Heon-seock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9-86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trunk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Four children with ambulatory spastic diplegia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using a Both Sides Utilized (BOSU) ball, 30 minutes a day, two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Outcome variables included the pediatric balance scale, trunk control movement scale and multifidus thickness using ultrasound image. After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diatric balance scale, trunk control movement scale and multifidus thickness. However, individual outcomes were observed with some positive changes. Balance, trunk control movement, and thickness of multifidus were found to be improv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 BOSU ball could improve trunk control and increase the thickness of multifidus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evaluate subjects according to type of cerebral palsy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control and gait.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 및 하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Muscle Activation in Trunk and Low-limbs during Squat Exercise on Various Instability Surface)

  • 최남영;장희승;신윤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05-514
    • /
    • 2015
  • 이 연구는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과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10명의 피험자가 안정면, 불안정면인 스타빌리티 블루와 블랙, 보수에서 75% 1RM의 강도에서 스쿼트 동작을 실시하였다. 체간근육으로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및 다열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였고, 하지근육으로는 대둔근, 중둔근, 대퇴이두근, 대퇴직 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 가지미근, 전경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여 스쿼트 동작의 상승과 하간구상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안정면과 불안정면에서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heffe를 이용하였다. 하강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내측광근, 다열근, 대둔근과 중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승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대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이 체간근육과 둔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지근육의 활성도는 불안정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릎 밴드를 이용한 EMS와 High-intensity Circuit Training의 대퇴근육 활성화 효과 (Use of an Electric Muscle Stimulation Thigh Band and High-intensity Circuit Training to Activate the Thigh Muscle)

  • 박한나;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2호
    • /
    • pp.39-5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ively improve the thigh muscles of adult women working from home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ten adult women working from home performed 1) an electromyography test, 2) a static balance test on a balance board, and a 3) dynamic balance test by squatting on a Bosu ball four times: before electric muscle stimulation (EMS), after EMS, after high-intensity circuit training (HICT), and after EMS plus HICT. For this test, EMS was attached to a medical knee support to manufacture an EMS knee band that could be easily worn regardless of the location. For the experiment,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 was attached to the medical knee protector to manufacture an EMS knee band that can be easily worn regardless of location, and was measured based on the right foot.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n all tests (electromyography test, static balance test on the balance board, and dynamic balance test by squatting on a Bosu ball), thigh strength improved in the order of treatment before EMS, after EMS, after HICT, and after EMS plus HICT. The study showed that people working from home or with activity restrictions due to COVID-19 had better exercise effects when wearing the EMS knee band and performing HICT, even in a small space.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d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 김유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20-7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의 적용과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근육의 근전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2.3±2.1세; 신장, 173.89±4.51cm; 체중, 72.61±4.13kg; 신체질량지수, 24.03±1.31kg/m2), 필라테스 브릿지는 소도구 적용(도구 없음, 링, 짐볼)과 발의 불안정성(기본 바닥, 폼롤러, 보수볼) 차이에 따른 9가지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우측의 상복직근, 하복직근, 외복사근, 장내전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및 대퇴이두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효과적인 소도구로 검증되었고,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근육의 근활성도에 가장 높은 발의 불안정성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과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 근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필라테스 브릿지 운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