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SS loading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흡수성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오수처리 특성 및 효율 (Sewage Treatment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ies of Absorbent Biofilter Systems)

  • 전기설;권순국;김성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131-139
    • /
    • 2004
  • In this study, on-site sewage treatment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Absorbent Biofilter System (ABS) under different hydraulic loading rates to examine its treatment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ies and to determine its feasibility as a small on-site sewage treatment system in a rural area. Results showed that the removal rates of BOD and SS were satisfactory at hydraulic loading rates of 100~150 cm/day, meeting the Korean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riparian zone (10 mg/L). In the case of nutrients (N, P), however, the system did not perform well, necessitating further improvement for nutrient removal. A compar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as a small on-site sewage treatment system, the ABS would be more suitable than other treatment systems in terms of performance stability, maintenance requirement, and cost-effectiveness and could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system in Korean rural areas.

강우시 위생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거동 (The Behaviour of Leachate by Rainfall in Sanitary Landfill Site)

  • 배일상;정권;김동일;신재영;정일현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148-157
    • /
    • 1998
  • Leachate is a result of the percolation of precipitation, uncontrolled runoff, and irrigation water into the landfill and can also include water initially contained in the waste as well as infiltrating groundwater. Behaviour of leachate by rainfall was studied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leachate generation and contaminants by rainfall in Sudokwon Landfill from January 1998 to October 1998. The quantity of leachate generated was measured with a flow meter, and the concentrations $BOD_5$, CODcr, T-N, $NE_3-N$, SS of leachate were also measured. Principal outcome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quantity of leachate generated was the highest on August, the highest leachate generation volume in this period was 11,913㎥ and the lowest was $6,261m^3$. Although the similar amount of precipitation of 80mm applied to the two samples, there were difference in leachate generation due to precipitation duration, precipitation frequency, wet condition of solid wastes.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r) between the quantity of leachate generated and precipitation were 0.823, 0.976 between $BOD_5$ and CODcr, 0.992 between T-N and $NE_3-N$. As the quantity of leachate generated increased 48%, the concentration of $BOD_5$ and CODcr decreased 51% and 50%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showed that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leachate were diluted by precipitation. The concentrations of $BOD_5$ and COBcr in the rainy season were 2000~4000mg/1, 4000~6000mg/1 respectively, and 1000~3000 mg/1, 3000~5000 mg/l in the dry season. The loading of SS, $BOD_5$, CODcr(kg/month) on July was increased by 2.9 times, 2.8 times, 2.2 times with a basis on March. Therefore countermeasure of treatment facilities according to increase of loading by rainfall in summer is necessary.

  • PDF

오염하천 정화를 위한 호기성 인공습지의 운영인자 평가 (Parameter Estimation of the Aerated Wetland for the Performance of the Polluted Stream Treatment)

  • 김둘선;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5권4호
    • /
    • pp.302-310
    • /
    • 2019
  • 호기조와 혐기/무산소조를 직렬로 연결한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크게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였다. 호기조는 자연 공기 배출 시스템을 통하여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호기성 상태가 유지되었다. 인공습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영향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체류시간을 다르게 한 5개의 파일럿 플랜트를 사용하였다. 호기조에서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와 COD (chemical oxygen demand)의 제거율은 1차 반응 속도식을 나타내었고, COD 제거 속도 상수는 BOD보다 약간 낮았다. 온도 의존성은 COD (θ = 1.0079)와 BOD (θ = 1.0083)제거에 대한 값이 거의 동일했으나 T-N 제거의 온도 의존성(θN)은 1.0189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SS제거율은 98%로 높았고 수력학적 부하 속도(Q/A)가 증가함에 따라 제거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혐기/무산소조에서 BOD와 COD 제거의 주요 메커니즘은 호기조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혐기/무산소조에서 COD와 COD는 생물학적 탈질을 위한 탄소원으로 공급되었고 T-P는 혐기/무산소조 내의 orthophosphate와 자갈 사이의 양이온 교환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습지는 여과된 고형물에 의해 막힘 없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었고 고형물들은 매우 빠르게 연속적으로 분해되었다.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유출오염부하량 원단위 산정 (Pollutants Unit Loadings of the Stormwater Runoff in Industrial Complex)

  • 이준호;방기웅;최종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55-36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단지의 개별공장 및 유사한 공장이 밀집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수를 분석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업종별 유출오염부하 원단위를 산정하는데 있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청주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산정된 조사지점별 EMC 범위는 $BOD_5$, COD, SS, TKN, TP, HEM, $NO_3-N$, $PO_4-P$, Cr, Pb, Cu, Fe에 대해 각각 11~176mg/L, 40~502mg/L, 23~633mg/L, 1.04~20.9mg/L, 0.22~7.51mg/L, 12.7~548.7mg/L, 0.06~2.66mg/L, 0.12~3.39mg/L, 0.01~0.50mg/L, 0.02~0.42mg/L, 0.01~0.15mg/L, 1.29~11.51mg/L로 산정되었다. 또한,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유출하는 년평균 오염부하 원단위는 $BOD_5$, COD, SS, TKN, $NO_3-N$, $PO_4-P$, TP, HEM, Cr, Pb, Cu, Fe에 대해 각각 374.4 kg/ha/yr, 924.1kg/ha/yr, 983.6kg/ha/yr, 48.8kg/ha/yr, 8.1kg/ha/yr, 9.7kg/ha/yr, 17.8kg/ha/yr, 943.0kg/ha/yr, 0.7kg/ha/yr, 0.9kg/ha/yr, 0.3kg/ha/yr, 28.9kg/ha/yr로 산정되었다.

  • PDF

질소 및 인 함유 폐양액 처리를 위한 최적 인공습지 시스템 선정 (Selection of Optimum System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the Hydroponic Waste Solution Containing Nitrogen and Phosphorus)

  • 박종환;서동철;김성헌;이충헌;최정호;김홍출;이상원;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4-771
    • /
    • 2012
  • 질소 및 인 함유 폐양액 처리를 위한 최적 인공습지 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해 처리조의 연결방식을 달리하여 최적 system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최적조건하에서 폐양액 부하량에 대한 적응성을 평가하였다. 현장 폐양액처리장에서 시스템별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system A의 BOD, COD, SS, T-N 및 T-P의 처리효율은 각각 88, 77, 94, 54 및 94%로서 다른 시스템에 비해 가장 높은 정화효율을 보였다. 현장 폐양액처리장에서 폐양액 부하량별 수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system A의 BOD, COD, SS, T-N 및 T-P의 처리효율은 폐양액 부하량에 따라 별 차이 없이 각각 87-89, 76-79, 93-94, 52-55 및 91-94%로 전반적으로 높고 안정적으로 처리되었다. 하지만 T-N의 처리효율은 55% 정도 수준으로 폐수배출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하기 위해서는 질소처리효율을 좀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 시스템에 의한 오염물질 저감 및 저수지의 수질개선효과 산정 (Estim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Influent Pollution by Installation of Water Treatment System Filled with Bio-stone Ball)

  • 최선화;김흥섭;정세웅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5호
    • /
    • pp.471-4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 오염도가 높은 국내 하천 및 호소의 수질정화를 위해 바이오스톤 볼 담체를 이용한 수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기술의 오염물질 제거효율 및 저수지 수질개선효과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매화저수지에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였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시스템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BOD 70.3%(47.2~97.4%), COD 45.3%(26.1~64.7%), TOC 19.2%(8.5~50.0%), SS 82.8%(73.1~92.7%), Chl-a 80.4%(57.2~91.8%), TN 23.2%(6.4~39.5%), TP 51.8%(-1.1~80.1%)로 나타나 BOD, SS, Chl-a에서 평균 70~80% 이상의 매우 높은 정화효율을 나타내었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시스템을 저수지 평시 유입량 설계기준으로 설치하였을 경우의 유입 오염물질 저감량 및 저수지 수질개선효과를 산정하였다. 저감되는 COD 부하량은 13,658 kg으로 연간 39.2%가 저감되고, TP 부하량은 297 kg으로 연간 16.8%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의 연간 수질개선효과는 TOC $5.3{\rightarrow}4.5mg/L$(14.5%), COD $7.9{\rightarrow}6.8mg/L$(14.5%), Chl-a $42.3{\rightarrow}37.0mg/m^3$(12.5%), T-P $0.201{\rightarrow}0.150mg/L$(25.1%)가 평균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스톤 볼 수처리시스템은 유기성 오염도가 높은 국내 하천 및 호소의 유입수 오염물질 제거 및 수질정화를 위한 수처리 시설로서 현장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장(下水處理場)에서 반송수(返送水)의 성장(性狀)과 영향(影響) (The Sidestream from WWTP;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n the Main Process)

  • 최의소;이호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3-241
    • /
    • 1993
  • 도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반송수의 성상과 처리계통에서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각 단위 공정별 반송수의 유량과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물질수지를 작성한 뒤 반송수의 특성을 결정하였으며 실험실 완전혼합 활성슬럿지 반응조를 현장 운전 조건과 유사한 방법으로 운전하여 반송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반송수의 유량은 유입원수량에 대해 1.2-1.8%로 적은 양이지만 높은 농도로 인하여 유기물과 영양소 부하량은 평균 부하시 20-30% 정도로 증가되고 있었으며 충격부하시는 40-70 %까지 증가되고 있었다. 혼합하수의 침전효율은 BOD 30%, SS 45%를 나타내고 있으나, 반송수에 의한 부하증가로 인해 BOD의 제거효율은 원수 기준시 10% 미만으로 떨어져 포기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반송수의 평균부하가 포기조에 유입되는 경우 반송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 비해 10%의 BOD 제거효율이 저하되었고 충격부하시는 80% 이상의 BOD 제거효율을 얻을 수 없었으며 50% 이하의 질산화율에 불과하였다.

  • PDF

주암호 유역의 강우사상에 따른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A Study of Comparison of outflow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by rainfall event of forest area near Juam lake basin)

  • 김남종;신대윤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4호
    • /
    • pp.87-10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oad of pollutants caused from the forest area among non-point pollutants within the Juam lake. The surveyed forest area was classified into broad-leaved, conifer, mixed and herbage area by forest tree type. Water quality and flux were investigated under rainfall and non-rainfall, respectively. Then, pollutant loading was evaluated by using the values of unit pollutant loading factor of each point and area of forest zon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of runoff by forest tree types were as follows. - Annual BOD, $COD_{Mn}\;and\;COD_{Cr}$ concentration of runoff in conifer area was high, and particle and biological recalcitrant compounds were flowed highly. - SS, T-N and T-P concentration was high in runoff from broad-leaved area, and biological degradable compounds was flowed. - Water quality of water from valley was maintained good under non-rainfall and could be utilized as fresh drinking water. Through water quality standard investigation, a countermeasure establishment was necessary to secure a good quality of drinking water - BOD, $COD_{Mn},\;and\;COD_{Cr}$ concentration of Bo-sung river was higher 1.5 times than other 2 streams, and because of high T-N, and T-P concentration in Songgwang stream, the management for this was necessary.

인공습지 오수처리시설의 처리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 윤춘경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96-105
    • /
    • 2000
  •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August 1996 to December 1999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in rural area.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was installed in Konkuk University and the effluent from septic tank of school building was used as an influent to the treatment basin. The treatment basin was composed of sand bed with planted reed. From August 1996 to June 1998 the hydraulic loading rate was fixed with about 15.63cm/day and theoretical detention time was 1.38 days, and from July 1998 to December 1999 the hydraulic loading rate was about 6.25cm/day and theoretical detention time was 3.5days. It worked continuously even during winter time, and the sewage flowed without freezing even when average daily air temperature was below -1$0^{\circ}C$. Average removal rate of BOD , COD, and SS was about 70%, T-P removal rate was about 50.8% , and T-N removal rate was 23.9%. The reason for poor T-N removal might be due to high influent concentration and short retention times. At the later years BOD and COD removal rates were increased , and SS and T-P removal rat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 but T-N removal rates were decreased. The effluent of the wetland system often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sewage treatment plant, therefore, further treatment would be required if the effluent need to be discharged to the public water. Wetland system involves relatively large land area and could be suitable for rural area. Therefore, utilization of reclaimed sewage for agricultural purpose or subsequent land treatment is recommended as a ultimate disposal of sewage for agricultural purpose or subsequent land treatment is recommended as a ultimate disposal of sewage in rural area.

  • PDF

낙동강수계에서 섬유염색 및 가공 업체에 대한 공정별 원단위산정 및 분석 (Unit Mass Estimation and Analysis from Fiber Dyeing and Finishing Facility Nearby Nakdong River Basin)

  • 구정은;나동훈;이승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65-774
    • /
    • 2009
  • 섬유염색 및 가공산업은 용수요구량이 매우 높은 편이며 다양한 난분해성 염료의 사용으로 인해 폐수발생량의 기여도가 높은 전형적인 오염 유발 산업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수계에서 산업폐수 발생업체 중 섬유염색 및 가공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SS, $BOD_5,\;COD_{Mn},\;COD_{Cr}$, TN 그리고 TP와 같은 수질 항목에 대해서 발생원 단위 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발생원단위 부하량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산업을 대표하는 오염원 발생원단위의 산정을 위해 낙동강 수계에 산재한 섬유염색 및 가공업체 중 세 개 업체를 선정하였다. BOD 기준 유입수와 유출수에서의 원단위 값은 90%이상 감소하였지만 원수에서의 높은 유기물 부하량으로 인해 원단위값 자체는 섬유제조시설에서 얻어진 값과 유사하였다. 유수의 생분해도는 유출수에 비해 세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건평, 제품생산량 및 원료사용량을 기준으로 한 주요 수질 항목 (SS, $BOD_5$, COD, TN and TP)에서 단위공정(본 연구에서 산정한 값)의 오염원 발생원단위 결과값이 통합공정(국립환 경과학원에서 산정한 값)의 오염원 발생원단위 결과 값과 유사하였지만 다른 인자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커다란 차이를 보여주었다. 섬유염색 및 가공업체에서 도출된 오염원 발생원단위 인자는 낙동강 수질 오염총량제 도입과 함께 수질오염 부하량 처리비용을 산정 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러한 오염원 발생부하량 도출과 함께 낙동강 수계에서의 효과적인 수질오염제어와 관리를 위해서는 각 산업별 폐수처리시설의 유출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질오염항목을 특성화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