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I z scor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생의 골밀도와 영양소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 최순남;정남용;송창호;김상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1-847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n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Nutrient intake data were obtained by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to evaluate the usual diet of the subjects. BQI(bone quality index)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an Quantitative Ultrasound (QU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height, weight, BMI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 were 173.3 cm, 68.5 kg, 22.7; 161.4 cm, 54.2 kg, 20.8, respectively. The BQI and Z-score of the subjects were 99.50, -0.69 in male student group, and 82.6, -1.15 in female student group, respectively.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percentage by bone status were 73.8%, 24.9%, 1.3% in male student group, and 39.8%, 57.6%, 2.6% in female student group, respectively. Energy intake of male and female group were 71.7%, 79.1% of EER(estimated energy requirement) respectively. Fiber, Ca, Vit $B_2$, niacin, folic acid, Vit C intake were less than RI(recommended intake) and protein, phosphorus intake were higher than RI in subjects. Nutrient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BQI in male and female groups generally.

서울지역 채식.비채식 대학생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Bone Density and Related Factors of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 정남용;최순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6-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채식, 비채식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하고 신체계측, 식습관, 운동 등의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채식남학생은 33명(44.0%), 여학생은 34명(25.2%), 비채식군남학생 42명(56.0%), 여학생 101명(74.8%)이었으며 평균신장과 체중은 채식남학생 172.61cm, 62.42kg, 비채식남학생은175.38cm, 72.52kg, 채식여학생은 160.47cm, 55.76kg, 비채식여학생은 161.77cm, 56.34kg이었다. 2. 평균 BQI은 남학생군에서 채식군과 비채식군 각각 101.73, 107.43이었고, 여학생군에서는 각각 84.15, 89.64이었다. Z-score는 채식남학생 -0.16, 비채식남학생 0.15, 채식여학생은 -1.07, 비채식여학생은 -0.73이었고, T-score는 채식남학생 -0.28, 비채식남학생 0.03, 채식여학생 -1.07, 비채식여학생은 -0.77이었다. 3. 조사대상자의 골밀도 상태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3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골밀도가 정상인 경우는 채식남학생 75.8%, 비채식남학생 83.3%, 채식여학생은 44.1%, 비채식여학생은 60.4%이었다. 골감소증은 채식남학생 24.2%, 비채식남학생 16.7%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각각 55.9, 37.6%로 채식군의 골감소증 비율이 높았다. 조사대상자에서 골다공증은 비채식여학생군에서 2명(2.0%)이었다. 4.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영양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6.7%, 비채식남학생 54.8%, 채식여학생 58.8%, 비채식여학생 44.6%이었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75.8%, 비채식남학생 50.0%이었고, 채식여학생은 44.1%, 비채식여학생 34.7%으로 채식군의 비율이 높았다. 육식과 채식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비율은 비채식남학생 83.3%, 비채식여학생 87.1%이었으며, 아침을 매일 먹는 채식남학생은 78.8%, 비채식남학생은 33.3%, 채식여학생 47.1%, 비채식여학생 39.6%이었다. 또한 식사의 양은 과식한다는 응답이 채식남학생 24.2%,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29.4%, 비채식여학생 40.6%으로 비책식군의 과식율이 높았다. 5. 식품 섭취빈도는 두부 및 콩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54.6%, 비채식남학생 16.7%, 채식여학생은 38.2%, 비채식여학생이 16.8%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6.1%, 비채식남학생 33.3%,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은 21.8%이었으며, 녹차, 커피 등 차를 마시지 않는다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9.7%,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29.4%, 비채식여학생 25.7%이었다. 인스턴트 식품을 매일 섭취한다는 응답율이 채식남학생 9.1%, 비채식남학생 21.4%, 채식여학생은 17.7%, 비채식여학생은 14.9%이었다. 6. 운동, 체중 조절 등에 대한 조사 결과 항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 18.8%이었으며 운동시간은 $1{\sim}2$시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8.8%, 비채식여학생은 17.8%이었다. 체중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면 채식남학생 57.6%, 비채식남학생 23.8%,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은 15.8%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체중 조절 경험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채식남학생 3.0%, 비채식남학생 31.0%,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 31.7%이었다. 7. 골밀도 BQI값과와 몇가지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때, 채식남학생은 영양보충제의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해조류의 섭취정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채식대학생의 경우 골밀도와 여러 요인과는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채식여학생은 식사규칙성에서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식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채식여학생군에서도 비채식남학생군과 같이 전반적으로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어 버전 청소년의 체중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Scale of Impact of Weight on Quality of Life in $Kids^{(C)}$)

  • 김정현;천성수;최한식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25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27-item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Weight on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IWQOL-Kids^{(C)}$: Korean Version). Methods: This instrument was administered to 872 adolescents (mean z-BMI: 2.61, mean $age{\pm}SD$: $13.9{\pm}1.2$, male: 51.9%). Reliability was tested by internal consistency method and item analysis, validity test was performed by index of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Sensitivity was tested by ANOVA and t-test.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18.0. Results: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Body esteem' consisted of 9 items with 35.9% of variance (social life: 6 items, 10.23%, physical comfort: 6 items, 8.21%, family relations: 6 items, 7.0%). Four factors explained 61.34%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ranged from .766 to .929 for scales on 27 items and equal to .920 for total score for both the 26-item and 27-item tool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to test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more than .5(C.R<1.965) on all paths after deletion of item PC1 (avoid stairs). The average variances extracted were more than .50 and the construct reliabilities were more than .70. The average variances extracted were stronger than the squares of correlation coefficient of inter-latent variabl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IWQOL-Kids^{(C)}$: Korean Version with a 26-item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in Korean obese adolescents.

  • PDF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ethnic minority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mountainous areas of Vietnam and its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behavior

  • Truong, Duong Thuy Thi;Tran, Trang Huyen Thi;Nguyen, Tam Thanh Thi;Tran, Van Hong Th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658-672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children of ethnic minority groups are experiencing a transition from a predominance of undernutrition to overnutrition, there is little evidence of a dual-malnutrition burde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among school-aged ethnic minority children living in mountainous areas and its association with their diets. SUBJECTS/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March 2020 in 3 mountainous areas of Northern Vietnam among 1,556 ethnic minority school-aged children. The prevalence of under-nutrition (stunting and thinness) and over-nutrition (overweight and obesity) were measured using the WHO 2006 child growth standards (height-for-age and BMI-for-age Z-score). Nutritional practices were evaluated by the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 based on a 4-level scale. RESULTS: The percentage of children with stunting and thinness were 14.0% and 5.4%, respectively, while the figure for overweight/obesity was 9.4%. The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nting were living in a family with more than 2 children or being Muong/other ethnicities compared to the Tay ethnicity. Children who consumed fish/shrimps/crabs or milk weekly/daily were less likely to be undernourished compared to those who never consumed these foods. By contrast, children who never consumed foods rich in vitamin A precursors and vitamin A and fruit or consumed daily snacks/junk food were more likely to be overweight/obese. CONCLUSIONS: Undernutrition remains a common issu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of ethnic minority groups, while over-nutrition exists simultaneously. Public health nutrition programs promoting adequate diets and positive lifestyle changes related to nutrition are essential to tackle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among ethnic minority children.

서울지역 대학신입생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Bone Density and Relat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 정남용;최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8-47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남ㆍ여 대학신입생 177명을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하고 신체계측, 식습관, 운동 등의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남학생 20.1세, 여학생 20.4세이었고, BMI는 남학생 22.5, 여학생 21.7, 체지방율은 남학생 17.4%, 여학생 28.2%이었다. 2. 조사대상자들의 골밀도는 BQI값은 남학생 110.25, 여학생 90.64, T-score는 각각 0.18, -0.68, Z-score는 각각 0.38, -0.69이었다. 신체측정치와 골밀도 BQI값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 신장, 체중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유의적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조사대상자의 골밀도 상태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3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골밀도가 정상인 경우는 남학생 84.4%, 여학생은 65.2%이었으며, 골감소증은 남학생 15.6%, 여학생 34.1%로 여학생군이 남학생군과 비교하였을 때 골감소증이 높게 나타났으며 골다공증은 여학생군에서 1명(0.7%)이었다. 4.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남ㆍ여학생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는 남학생 55.6%, 여학생은 39.4%이었으며, 육식 위주 식사는 남학생 15.6%, 여학생 9.1%이었다. 아침을 매일 먹는 남학생은 44.4%, 여학생은 43.9%이었고, 과식한다는 응답이 남학생 37.8%, 여학생 36.4%이었다. 5. 조사대상자의 식품의 섭취빈도를 나타낸 결과 두부 및 대두 식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남학생 33.3%, 여학생이 22.0%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 섭취는 매일 섭취한다고 하는 경우가 남학생 24.4%, 여학생은 15.9%이었고, 해조류를 일주일에 0~2회 섭취한다는 응답율은 남학생 62.2%, 여학생 56.8%로 나타났다. 육류 및 육가공품 섭취는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남학생 31.1%, 여학생 19.0%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6. 조사대상자의 운동 빈도를 보면 항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남학생 33.3%, 여학생 20.5%로 나타났으며(p<0.001)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하여 운동량과 운동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남학생 40.0%, 여학생은 13.6%가 만족한다고 하였고(p<0.001) 체중조절의 방법에 있어서는 운동으로 한다는 응답이 남학생은 64.4%, 여학생은 43.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7. 조사대상자의 골밀도 BQI간과 제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운동시간, 식사의 규칙성, 콩식품, 육류, 차 등의 섭취빈도, 편식과 다이어트 및 우유, 해조류, 인스턴트 식품 섭취 등의 요인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영양 보충제의 경우 남학생군에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대학신입생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시기는 여전히 골질량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건강한 골격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균형된 식사, 적정 체중의 유지 및 골격에 하중을 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개개인의 노력과 관심이 중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