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I (Body Mass Index)

검색결과 1,769건 처리시간 0.03초

$\beta$-II, III Adrenergic Receptor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20대 한국여성의 식이 섭취량, 비만도 및 체성분의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Obesity by $\beta$-II, III, Adrenergic Receptor Gene Polymorphism in Korean Young Females)

  • 홍정미;김중학;박윤신;최선미;윤유식;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8호
    • /
    • pp.870-87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besity and state of dietary intake of 216 young Korean females, and the influence of $\beta$-II, III Adrenergic receptor (AR) gene polymorphism upon obesity and dietary intake. The average weight, h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160 cm, 54 kg, and 20.9 kg/$m^2$, respectively. The average triceps skinfold thickness,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WHR were 21.7mm, 73.1cm, 93.3cm and 0.7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using bioimpedance method, average body fluid, body protein, mineral mass and body fat were 29.271, 7.22 kg, 6.79 kg and 19.16 kg, respectively. A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24-hour recall method. Average calorie intake was 1621 ㎉, which is 81% of Korean RDA. We detected 182 (84.3%) Gln27 (QQ) homozygotes and 34 (15.7%) Gln27Glu (QE) heterozygotes for $\beta$-II AR polymorphism. For $\beta$-III AR polymorphism, we detected 163 (75.5%) Trp64 (WW) and 53 (24.5%) Trp 64Arg (WR). The results of comparing of obesity by $\beta$-II AR gene polymorphism, obesity index and BMI of QE typ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QQ type. For $\beta$-III AR gene polymorphism, the mean BMI, obesity index, fat mass and percent body fat (%) of the WR typ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WW type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enetic variability in the human $\beta$-III AR is associated with obesity among young Korean females. We also evaluated the effect of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he $\beta$-II AR and $\beta$-III AR polymorphism on obesity. We found that the BMI and obesity index of the mutant type in both $\beta$-II AR and $\beta$-III 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ype that has only one gene mutation or has no mutation (p < 0.05), indicating a synergistic effect of $\beta$-II AR and $\beta$-III AR polymorphism on obesity.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beta$-II Ad or $\beta$-III AR polymorphism and dietary intake.

Valproate 치료를 받는 간질환아에서 체중증가와 영향을 주는 인자 (Valproate-associated weight gain and potential predictors in children with epilepsy)

  • 장국찬;김은영;노영일;문경래;박상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84-488
    • /
    • 2007
  • 목 적 : VPA치료를 받는 소아 청소년기 간질환자들에서 체중증가의 비율과 체중증가에 관련되는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VPA 치료를 받기 시작한 8세에서 17세까지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기준은 치료 시작후 6개월 이내 치료가 중단된 경우, 체중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병합한 경우 등이었다. VPA 치료 시작시와 치료 시작 후 한번이상 재방문시에 체중과 신장이 측정되어 두 시점에서 BMI를 측정한 후 대상 환아들을 백분위수에 따라 4가지의 BMI군으로 분류하여 BMI군의 상승여부를 조사했으며 체중증가율을 의미하는 BMI difference를 계산하였다. 또한 체중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회귀분석 하였다. 결 과 : 전체 36명중 총 8명의 환아가 VPA 치료전보다 최소 한 단계 이상의 BMI군의 상승변화를 보였으며 대상환아의 72.2%에서 체중증가(BMI difference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신경정신 발달(P=0.017), 간질 형태(P=0.001), 투약기간(P=0.03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 VPA는 간질 환아에서 체중증가를 유발하며 정상 신경정신 발달, 전신 발작형 간질, 12개월 이상의 투약기간이 체중증가의 예측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VPA 치료를 받는 소아 간질환자에서는 치료 시작 전에 VPA로 인한 체중증가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치료 받는 중 BMI의 지속적인 감시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만과 전립선암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rostate Cancer)

  • 윤창준;문기학;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199-210
    • /
    • 2005
  •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이로 인한 다양한 만성질환의 증가가 중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최근 여러 종류의 암들도 비만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과 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양한 스테로이드와 펩타이드 호르몬 그리고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전립선암 역시 호르몬 의존성의 종양이므로 남성 비만 환자에서의 증가된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와 교감 신경계의 활성화 등 비만과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는 전립선암과도 상당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비만과 전립선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임상연구들은 대부분 서구인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 또한 서로 상반되게 발표되고 있어 명확한 연관성을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만과 전립선암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2000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비뇨기과에서 임상적으로 전립선암이 의심되어 경직장초음파유도하 전립선생검(transrectal ultrasound guided prostate biopsy)을 시행한 286명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나이, 키, 몸무게, BMI, PSA, DRE, TRUS, 경직장초음파유도하 전립선생검, Gleason 점수, 임상적 병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BMI와 전립선암 발병률과는 연관성을 확인 할 수 없었으며, BMI와 임상적 병기와는 다소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러한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비만의 기준에 따라서 큰 차이가 유발될 수 있으며, 비만 환자의 경우 전립선암 진단 및 치료 방법 등에 있어서 다양한 편견 및 오류가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비만과 전립선암과의 명확한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와 호르몬 측정 및 BMI 이외의 여러 가지 비만 지수 등의 측정을 포함한 대규모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노인의 체질량지수에 관련된 요인 연구: 미국, 일본, 한국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BMI) Among Older Adults: A Comparison Study of the U.S., Japan, and Korea)

  • 염지혜;김정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79-1500
    • /
    • 2009
  • 노인들의 체질량지수는 노후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요인 들이 이와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일본, 한국 노인들의 체질량 지수의 분포가 어떻게 다른지 고찰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세 국가 노인들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관계가 세 국가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는 미국 (LSOA II, N=8,589), 일본 (NUJLSOA, N=2,888), 그리고 한국의 고령화연구패널 (KLoSA, N=2,397)을 사용하였으며, 기술적인 분석과 체질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일본과 한국 노인들의 체질량지수 분포는 매우 유사했지만, 일본 노인들의 체질량지수가 한국 노인들의 그것에 비교하여 좀 더 가벼웠으며 분포의 오른쪽 상단인 비만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더 낮은 비율을 보였다. 한국과 일본의 체질량 지수 분포는 미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빈값에서 덜 퍼져있음이 밝혀졌다. 체질량지수와 사회경제적인 변인의 관계는 한국 노인들에 비해서 미국과 일본 노인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한국의 경우 기존연구와 달리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사회경제적 변인이나 건강행태보다 인구학적 변수들이 체질량지수에 좀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의 경우 세 가지 건강행태가 모두 체질량지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미국, 일본, 한국에서 노인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관계의 방향성은 다르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이한 국가에서 노인들과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노인병 의사, 간호사, 양로원의 책임자, 사회복지사 등이 노인들로 하여금 적절하게 몸무게를 조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인이 중요한지 파악할 수 있게 해주고 구체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그 정책적인 함의가 있다.

A Korean-American Comparative Study of 3D Scanned Female Anthropometric Data

  • Yi, Kyonghwa;Cynthia, L. Ist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3호
    • /
    • pp.74-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useable data for application in American and Korean apparel company. This data was developed by analyzing information of Korean and American body sizes obtained from "Size USA Project" and "Size Korea Project". The Subjects were 6,306 American females and 1,988 Korean females over 18 years old. 30 measurements and 14 computed values were chosen that were considered critical in making garments. And descriptive analysis, percentile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measurements and computed valu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 were larger and bigger than Korean women in all measurements and computed values, except for Shoulder Slope. Based on BMI values, we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 had a distinct tendency towards being overweight. Through the comparison of drop values (i.e. the difference between Hip and Bust Girths or Hip and Waist Girths), ratio values (i.e. waist height divided by h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s figures were shapelier than Korean women's. American women had higher hip heights and longer leg lengths for their height compared to Korean woman. Furthermore, the back shapes of Korean women were flatter than American women and BMI values indicated American women were relatively more overweight than Korean women.

임신부 체중증가와 신생아 체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Birth Weight and the Bod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of Women in the Taegu Area)

  • 정효지;김은정;최봉순;최경호;신정자;윤성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22-529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of women and infant birth weight. The inform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egnancy outcomes of the 506 women who had a delivery during Jan to Dec, 1997 in a hospital at Taegu area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9 years old and the average prepregnancy weight was 52.75kg. They gained 13.51kg of weight during the pregnancy. Th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as higher in prepregnancy BMI<20kg/m$^2$, the infant weight was heavier in groups that had over 14kg of weight gain during the pregnancy than other groups. The prepregnancy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weight gain during pregnancy(r=0.2825),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number of pregnancy(r=0.2146), number of living delivery(r=0.1409), and infant weight(r=0.1250). The bab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weight gain during pregnancy(r=0.1392) and Apgar score(r=0.1627).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pregnancy BMI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may b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fant weight, thus we need to develop the specific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status of prepregnancy weight.

  • PDF

비만의 질병지위 획득 메커니즘 (A Mechanism how Obesity to Attain A Status of Disease)

  • 박혜경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65-198
    • /
    • 2014
  • 이 연구는 비만(obesity)이 어떻게 독립적인 질병지위(status of disease)를 획득하게 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질병 탄생의 메커니즘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96년과 1997년에 "비만은 분명히 치료가 필요한 병"이라고 경고하였다. 그러나 그 이전까지 비만은 비(非)표준 비(非)정상의 신체 상태로 분류되었고 질병의 범주에 속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비만이라는 질병의 탄생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비만의 역사적 질병 담론 형성 과정과 병리학적 역학적 실재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계가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를 조정하고 정상 신체 범주를 좁히는 한편, 치수차별주의(sizism)를 제도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의료계가 비만의 신체 상태를 고혈압, 당뇨병 등 의료비 지출이 큰 만성적 고위험 질병과 결부(結付)짓는 비만공포증(fatphobia)을 유포함으로써 비만에 독립적인 질병지위를 부여하는 강력한 의료적 통제관리 메커니즘을 형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비만과 같은 비(非)감염성 질병은, 실재의 병리학적 요인보다 문화적 사회경제적인 비(非)의료적 요인이 더 강력하게 개입하여 탄생할 수 있다는 함의를 발견하였다.

  • PDF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Medical Care Use and Costs - Cerebrovascular Diseases, Ischemic Heart Disease,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

  • Kim, Kyung-Ha;Noh, Jin-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2호
    • /
    • pp.14-2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obesity with medical care use and costs according to overall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CVD), ischemic heart disease (IHD), hypertension (HTN) and diabetes mellitus (DM). The final sample was a group of persons who were free of diseases mentioned above and were not underweight. Their baseline screening program data and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data were connected with a 7-year medical claim database.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aseline BMI into normal, overweight, obese, and severely obese groups. Given the disease type, the total costs of DM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in each obesity group in both males and females. Also, the pharmacy costs for DM were more relevant than any other type of service to the obesity level.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relevantly increased medical care use and costs, there is a need for reduction in medical costs through obesity prevention efforts.

아동의 성별에 따른 체중 조절 실태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Weight Control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hildren: A Gender-based Approach)

  • 김유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13-1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eight control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attempts to control weight. The study subjects were 319 elementary school children. First, the average body height and weight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somewhat larger in boys and similar in girl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body shape of Korean children. More boys were classified as overweight than girls, based on BMI. Both boys and girl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and especially the girls showed higher dissatisfaction rate than the boys did. Almost half of the children were concerned about weight control and girls had higher concern than boys. Of the children, 38.8% had controlled their weigh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ir sex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ho had and had not experienced weight control in the following variables: stress caused by obesity, body satisfaction, BMI, subjective body shape perception and concern about weight control. Therefor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scrimination of thes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critical factor was BMI in the boys and concern about weight control in the girls. This finding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of weight control programs for children i.e., boys should be encouraged to perceive correctly their own body shape and to control weight by maintaining a well-balanced diet and moderate exercise ove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by skipping meals, while girls should be inspired with sound values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body shape, rather than provided with the concrete information on how to control weight.

12주간 체중기반 복합운동이 여성노인들의 신체구성과 심혈관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Weight Based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Factors in Elderly Women)

  • 박혁;김대열;김도형;국두홍;조성채;김석환;김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6-65
    • /
    • 2019
  • 본 연구는 12주간 여성노인이 체중을 이용한 복합운동(저항운동 30분, 유산소운동(30)) 참여가 그들의 신체구성(체중, 체지방률, 제지방, 신체질량지수, 근육량)과 심혈관요인(상완-발목 맥파속도, 동맥협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32명으로 운동그릅 16명, 통제그룹 16명으로 무선할당하였다. 운동집단은 주3회 60분씩 복합운동을 실시 하였으며, 통제그룹은 같은 기간 동안 평소와 동일한 환경에서 생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모든 사전 변인들에 t-검증을 실시하였고 동질성이 확보되서 분산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운동에 참여한 운동그룹과 통제그룹간에 신체구성에 대한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심혈관계 요인 중 복합운동 그룹의 상완-발목맥파속도 오른쪽(baPWV-Right(p=.001)), 상완-발목맥파속도 왼쪽(baPWV-Left(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통제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65세이상 여성노인이 12주간 체중을 이용한 복합운동에 참여하면 맥파속도(baPWV-Right)가 감소하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