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based Collabor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개방형BIM기반 2D도면 자동 생성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to Generate 2D Drawings in Automation using Open BIM Technologies)

  • 김인한;이민재;최중식;김구택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17-425
    • /
    • 2016
  • Especially for resolving BIM data compatibility issue, as one of recently raised BIM technology issues, has also been improved by using open BIM, representatively using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format. As shown in many case studies, usefulness of BIM technology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IFC-based open BIM technology is essential in recent AEC projects where the productive collaboration is of importance. One of current problems in actual projects is tha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conventional ways and newly developed BIM ways. Using both conventional and new technologies leads construction workers to having more work loads, consequently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on-site workers have been decreased. Thus, it is strongly necessary to facilitate 3D BIM models to extract and generate 2D precision drawings in automation, especially using open BIM technologies. Some native BIM authoring tools have limitations in there automatic generation of 2D drawings, and there is no standardized mechanism to generate 2D drawings from heterogeneous applications. For this reason,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automated stand-alone program to generate 2D drawings in automation using IFC file, totally independent from various BIM authoring tools. By using the application described in this paper, any type of general drawings such as plan, section and elevation can be extracted without additional efforts. The development approach describ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open BIM technologies, has a strong impact to the current process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enhancing productivity when we need to find out a trade-off in-between conventional and new approaches.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dvanced Sensor-bas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s of the Project Lifecycle)

  • 조민우;손효주;김창민;이주혁;김창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7-17
    • /
    • 2012
  •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를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활용하는 것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 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효과적인 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도구로써 BIM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계획 설계에서 유지관리 단계까지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잦은 설계변경, 기존 도면의 분실 등으로 인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정확한 정보를 포함한 BIM의 획득이 어려워 시공 및 운영 단계에서 BIM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BIM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건설프로젝트 전반에서 BIM을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현장정보를 포함하는 BIM 구축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에 대한 필요성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BIM 활용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 BIM 활용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제안하였으며,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doption of Virtual Technology to the Development of a BIM based PMIS

  • Suh, Bong-Gyo;Lee, Ghang;Yun, Seok-Heo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3-340
    • /
    • 2013
  • As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bigger, PMIS is being used as a project collaboration tool for project participants, owners, designers, inspectors and contractors. As the data type used in PMIS is usually text and most PMIS have no standard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with data usability, such as the capacity for data search and analysis. BIM uses Objects and Properties, and this information might be used for relating with other construction information. As such, BIM technologies can be used with PMIS to enhance the data usability. The web environment is very convenient for multiple users, but the problem is that the data transfer speed is low for big files such as BIM model file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Virtual Technology (VT) applicati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BIM data exchange in PMIS, and tested and analyzed its efficiency when it is used to integrate BIM and PMIS in the web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T can be us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BIM data exchange in the web environment.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 기술을 활용한 중소규모 설계사의 BIM 사용자 별 데스크탑 자원 할당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Architectural Design Firm BIM Environment based o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이규협;신중환;권순욱;박재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8-88
    • /
    • 2016
  • 최근 국내에서는 BIM 적용을 의무화하는 프로젝트의 증가로 인하여 BIM 기술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지만, 중소설계사무소에서는 관련 제도 미비, 인프라 구축비용, 상이한 프로세스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로 인해 BIM 확산이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중에서 BIM 운영관리를 위해 필요한 인프라 구축 및 유지비용 절감 방안으로 타 산업에서 최근 적용이 모색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중 하나인 VDI 시스템을 BIM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절차로는 중소설계사무소의 BIM 기반 환경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타 산업에서 VDI의 활용 요소가 BIM 환경의 저해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지 분석한 후, 건설 산업에 적합한 VDI 시스템 적용 방안을 모색하여 Server 규모산정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IM 인프라 환경에 적용하여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BIM 환경에서 성공적인 VDI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

건설 엔지니어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API)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Using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or Improv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Engineering)

  • 박기백;정영호;함남혁;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9-38
    • /
    • 2013
  •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larger in size, and its shape is more complex. As a result,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tasks are difficult to manage in a way that conventional 2D-based exchange of information. BIM technology was introduced as a solution for this. But BIM only provides a very limited set of features such as Constructability review, clash detection in reality. and duplication of work and a lot of iterations occurs in BIM process. Thus, it takes quite a lot time to work. We studied how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connecting API to business processes. Using the API in the integration process by automating repetitive tasks, reduce a significant amount of work time Using API (Automation, Optimization, Interoperability, Analysis) can solve the task problem that does not solved by the basic features, If we make good use of the combined API will be improved productivity.

ISO 19650 기반의 한국형 공통데이터환경(CDE) 개발을 위한 CDE 워크플로우와 정보컨테이너 체계 수립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DE Workflow and Information Container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Common Data Environment (CDE) Based on ISO 19650)

  • 이일곤;김현민;안준상;최재웅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4-84
    • /
    • 2023
  • Modern construction projects have stakeholders from various construction field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The expanding scop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particularly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sector, necessitates a Common Data Environment (CDE). However, applying foreign commercial CDE solutions within the domestic context is challenging due to the difficulty of aligning them with the uniqu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prevalent in the country. Furthermore, the information review and approval processes specified by ISO 19650 often fail to harmonize adequately with the domestic design procedures, limiting the full utilization of CDE advantages. This study endeavors to develop a Korean CDE collaborative platform based on ISO 19650, with a focus on adapting workflows and information container systems to the domestic context. Building upon the requirements of ISO 19650-based CDE workflows and information containers, this research involves an in-depth analysis of information generation, sharing, review, and approval processes within domestic design organizations, offering tailored CDE workflows and information container systems that align with the specific needs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READINESS OF NIGERIAN BUILDING DESIGN FIRMS TO ADOPT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TECHNOLOGIES

  • Mu'awiya Abubakar;Yahaya Makarfi Ibrahim;Kabir Bal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40-647
    • /
    • 2013
  •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has become the new international benchmark for efficiency in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t is the platform that bring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project stakeholders and improvement of project outcomes. With all its potentials, not much of the impact of BIM technologies has been felt in the Nigerian construction industry. This research aimed at assessing the readiness of the Nigerian building design firms to adopt BIM technologies. The research was exploratory in nature.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structured questionnaire, self administered to a sample of building design consultancy firms (architectural, structural, M&E, quantity surveying, and multi-disciplinary design firms) within Abuja and Kaduna. The questionnaire sought the perception of the responding firms on the factors affecting BIM adoption in the Nigerian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ir level of readiness to adopt BIM technologies in their practices based on the four categories of readiness-management, people, process and technology. 42.26% response rate was achieved and used for analysis. ANOVA and DUNCAN post-hoc tests were used to establ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groups of firms, wh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to establish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IM adoption in Nigeria. The survey revealed that all the groups of Nigerian design firms are appreciably ready for the adoption of BIM technologies in their practice, with slight variations in their respective levels of readiness. 'Lack of awareness of BIM technology among professionals' and clients and 'lack of knowledgeable and experienced partner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barriers of BIM adoption in Nigeria; while the most significant drivers are 'availability of well trained professionals' and 'cooperation and commitment of professional bodies to the adoption'. Education and training of building design professionals and cooperation of all stakeholder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upply chain were recommended as part of measures to ensure successful adoption of BIM in the Nigerian construction industry.

  • PDF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데스크탑 가상화 기반의 BIM 설계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BIM Design Environment based o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VDI)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 신중환;이규협;권순욱;최규성;고형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8-128
    • /
    • 2015
  • BIM 기술은 현재 빠르게 건설 산업 전반에 적용 및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고비용의 BIM 인프라, 법령의 부재, 운영 프로세스 등의 문제로 도입 초기의 기대와 달리 그 활용도면에서 만족할 만한 기대치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BIM 기술 기반의 협업 설계 인프라 구축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를 위한 필수 요소로 볼 수 있다. 현재 BIM은 클라우드 컴퓨팅기술과 결합하여 드로잉, 3D 모델링, 객체 데이터, 속성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들이 파생되고 있으며 설계 인프라를 위한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은 VDI 시스템 환경 설정 및 구축을 통해 BIM 모델링, Viewing, 모델 체크, 마크업 등 BIM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인프라 서비스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VDI 성능 시스템 테스트를 통하여 BIM 설계 환경에 필요한 가상 머신 리소스를 산정하고 배분하는 방식을 제안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BIM 설계 및 BIM 설계정보를 활용 프로젝트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공단계 BIM 활용을 위한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 개발 - MEP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odel Requirements Checklist for Utilizing BIM in Construction Phase - Focused on the MEP -)

  • 김우진;박진호;차용운;현창택;한상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2-31
    • /
    • 2019
  • 국내 외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되는 정보의 관리 및 통합이 가능한 BIM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BIM을 시공단계에 활용할 경우 공기단축, 재시공 감소, 협업능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국내 BIM 지침서 정의수준 부족, 설계 기준의 미비 때문에 시공단계에 BIM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설계 단계에 비해 시공단계에서는 MEP 분야는 그 중요성이 훨씬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공단계의 MEP 분야에서 BIM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공 BIM MEP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하여 국내 외 BIM 지침서 및 시공 BIM이 적용된 민간 공공 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지침서 및 사례를 토대로 작성객체 31개, 속성기준 31개, 총 62개의 시공 BIM 모델 요구조건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62개의 요구조건을 활용목적과 필요사항으로 구분하여 시공 BIM MEP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체크리스트를 실무에서 활용한다면 시공단계 MEP BIM 모델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문적인 측면에서 시공단계 BIM 모델의 표준화된 지침서 개발에 활용될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IFC 기반 GIS와 BIM 프로젝트 통합관리 및 상호 운용성 강화 (Enhancing Project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GIS and BIM Based on IFC)

  • 김태희;김태현;이용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89-102
    • /
    • 2024
  • 최근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으로 GIS와 BIM의 융합이 도시 계획 및 건설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융합은 정보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여 원활한 정보 교환에 기여하지만,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표준화와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FC 기반 프로젝트의 통합 관리를 위한 GIS와 BIM의 상호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최신 IFC4 버전을 기준으로 IFC 스키마와 데이터 구조를 심층 분석하고, 기준점 좌표 및 좌표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에서 사용하는 EPSG:5186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가상이동원점 좌표를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BIMvision을 통해 BIM 모델의 형상과 오류 점검 좌표의 이동 결과를 검토한 결과, 기준점 좌표가 이동된 만큼 오류 점검 좌표도 일관되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네이버지도 및 도로명주소에서 사용되는 EPSG:5179와 카카오맵에서 사용되는 EPSG:5181로 좌표계를 변경해도 BIM 모델의 형상과 좌표가 변형 없이 일관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IFC 파일에 EPSG 코드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젝트 간 좌표계 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와 BIM의 정보 공유, 자동화 프로세스, 협업 강화, 지속 가능한 개발 등을 위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간 호환성을 높이고, 여러 프로젝트에서 정보 일관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