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five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용수(農業用水)와 농업생산기반조성사업투자(農業生産基盤造成事業投資)의 미곡생산기여도(米穀生産寄與度) 분석(分析) (An Analysis of Contribution Rates of Irrigation Water and Investment for Farmland Base Development Project to Rice Production)

  • 임재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2호
    • /
    • pp.135-148
    • /
    • 2004
  • Rice is not only main food but also key farm income source of Korean farmers. In spite of the above facts, rice productivity was decreased on account of drought in every 2 or 3 years interval owing to the vulnerability of irrigation facilities throughout Korea in the past decades. As an context of the first five 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ll weather farming programme including 4 big river basi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nd large and medium sized irrigation water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successfully. Therefore the area of irrigated paddy were increased from 58% in 1970 to 76.2% in 1999. In the past decades, the Government had invested heavy financial funds to develop irrigation water but as an factor share analysis, the contribution rates of irrigation water and investment for farmland base development project have not been identified yet in national agricultural economic level. It is very scarce to find out the papers concerned to macro-economic factor share analysis or contribution rates of water and investment cost to rice production value in Korea considering the production function of the quantity of irrigation water and investment cost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ly this paper covered and aimed at identifying (1) derivation of rice production function with the time serial data from 1965 to 1999 and the contribution rates of irrigation water and total investment cost for farmland base development project. The analytical model of the contribution rates was adapted the famous Cobb-Douglass pro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model analysis, the contribution rate of irrigation water to rice production in Korea was shown 37.8% which was equivalent to 0.28 of the production elasticity of water. The contribution rate of farmland base development project cost was revealed 22% and direct production cost of rice was contributed 60% in the growth of rice production and farm mechanization costs contributed to 18% of it respectively. The two contribution rates comparing with the direct production cost were small but without irrigation water and farmland base development, application of high-pay off inputs and farm mechanization might be impossible. Considering the food security and to cope with the frequent drought, rice farming and investment for the irrigation water development should be continued even in WTO system.

  • PDF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 고은주;윤선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59-80
    • /
    • 2004
  •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과병의원 운영실태 연구: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의 인구를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operation condition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used public data : focus on popula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 유수빈;송봉규;양병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8호
    • /
    • pp.613-629
    • /
    • 2016
  • This study assayed regional distribution of dental hospital & dental clinics, the number of population &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operation condition & duration. This study used public data that display from 1946 years(the first dental clinic open in republic of korea) to 2016 years. We collected present condition of 21,686 dental hospital and clinics available in public data portal site on 28. Feb.2016. Data were classified by scale, location, permission year, operation duration of dental hospital & clinic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Surveyed on Feb. 2016. Best top 10 regions of permission dental clinics are (1) Gangnam-gu, Seoul(1,337), (2) Seongnamsi, Gyeonggi-do(555), (3) Songpa-gu, Seoul(491), (4) Yeongdeungpo-gu, Seoul(472), (5) Suwon-si, Gyeonggi-do(443), (6) Seocho-gu, Seoul(428), (7) Nowon-gu, Seoul(417), (8) Goyang-si, Gyeonggi-do(413), (9) Jung-gu, Seoul(380), (10) Yongin-si, Gyeonggi-do(353). Whereas best top 10 regions of operating dental clinics are (1) Gangnam-gu, Seoul(581), (2) Seongnamsi, Gyeonggi-do(415), (3) Suwon-si, Gyeonggi-do(382), (4) Seocho-gu, Seoul(320), (5) Changwon-si, Gyeongsangnam-do(303), (6) Songpa-gu, Seoul(295) (7) Goyang-si, Gyeonggi-do(290), (8) Bucheon-si and Yongin-si, Gyeonggi-do(262), (9) Jeonju-si, Jeollabuk-do(224). Average population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by regional local government are 3,120 people. Best five region of population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are (1) Sejong-si(5,272), (2) Gangwon-do(4,653), (3) Chungcheongbuk-do(4,513), (4) Gyeongsangbuk-do(4,490), (5) Chungcheongnam-do(4,402). Average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by regional local government are 1,316 households. Best three region of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are (1) Sejong-si(2,126), (2) Gangwon-do(2,057), (3) Gyeongsangbuk-do(1,946). From 1946 to 1986, permission and operating dental hospital and clinics was steadily increasing. On 1986-1990, 1991-1995, permission, operation and closure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increase rapidly. From the 2011-2015 to 2016(present), permission, operation and closure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is decreasing. Average operating duration of closured dental hospital and clinics are 14.054 years. We need to map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for open and operation of one, base on analyzed results. In an era of 30,000 dentist, we should to be concerned about operation of dental clinics in the light of past operating condition.

  • PDF

소집단 실험활동에 나타난 중학생 질문 - 응답의 유형과 빈도 (Types and Frequencies of Questions - Answer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mall Group Activities During School Experiments)

  • 이명숙;조광희;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7-286
    • /
    • 2004
  •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학생간 질문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여자중학교 1학년 학생 5명의 실험수업을 관찰하고 관찰학생을 면담하였다.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학생간 질문을 분석한 결과, 사고형 질문보다 정보형 질문의 빈도가 높았다. 정보형 질문의 대부분은 실험과정이나 결과를 묻는 절차질문이었다. 사고형 질문의 대부분은 결과를 해석하면서 잘 이해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요구하는 이해질문이었다. 드물게 변칙발견질문이 제기되었으나 학습을 위한 토론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2인1조로 활동을 한 경우에 5인1조의 경우보다 응답률이 높았고, 도움을 받는 질문의 비율도 높았다. 2인1조 활동에서는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이 질문하고 성취도가 높은 학생이 응답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구성원의 성취도 차이가 큰 조에서는 질문의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성취도 차이가 적은 조에서는 성취도에 따라 질문 유형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제기되는 학생간 질문은 사고형 질문보다 정보형 질문의 빈도가 높으며, 구성원의 수가 적을 때 응답을 통해 도움 받는 질문의 비율이 높았다.

당뇨식 잔반 감량을 위한 영양서비스 개선 활동의 효과 (Effects of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for Reducing Plate Waste of the Diabetic Mellitus Diet in a General Hospital)

  • 손정민;염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1
    • /
    • 2008
  • Hospital malnutrition could be caused by not completing the food served in the hospital. This has been a big problem since it delays the recovery of the patient and extends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duce the plate waste for the DM diet by performing several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The study was performed in a general hospital with 900 be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taken by 39 DM patients to obtain their aspec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systems and the quality of the meal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amounts of foods served in the hospital kitchen and returned were measured by weigh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measurement of the plate waste was performed again for comparison. The average percentage of plate waste for the DM diet was 23.2%. The survey showed no difference by sex, age or duration of admission in plate waste. However, this food wastage percentage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having a chance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diet therapy (12.21%) and not having one (26.06%) (p < 0.05).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the quality of food by its taste was 2.49 (1: very poor, 5: excellent), the temperature score was 3.56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amount of food served score was 2.95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preference score was 3.13 (1: very dislike, 5: very like). Nutritional care improv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adjusting seasonings, developing new menus, and standardizing cook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eal quality. The dietitian's inpatients care protocol was adjusted to expand the nutritional counseling chance for the DM patien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average plate waste was reduced to 14.6%, and the satisfaction of food taste and preference increased to 3.21 (p < 0.001), and 3.36 (p < 0.05) correspondingly.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rapeutic diet patients, food intake could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food service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meal quality and clinical nutritional service activities.

전염병관리 관련법령의 변화 추이분석 및 향후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The amendment tendency analysis of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a recommendation for the next amendment)

  • 황창용;오희철;이덕형;박기동;이종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540-563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make a recommendation for the next amend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kind of notifyable disease. Korean, Japanese, German, U.S, English and French acts on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were reviewed, compared with and analized in regards of numbers and kinds of notifyable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tendency of amendments. An criteria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validity of diseases to be designated in the act. Four items, the fatality (greater than 10% or not), the possibility to make a big epidemic, the availability of efficient vaccination and the usefulness of isolation, are used in the assessment. This index is applied to the diseases in Korean and other countrie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on Act has a unique way of classifying the notifyable infectious disease, that i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class. But the author cannot find the basis of classification. No other countries reviewed have the similar classification. 2. The ten diseases, cholera, plague, yellow fever, diphtheria, typhoid fever, poliomyelitis, rabies, tetanus, malaria, and meningococcal meningitis are designated as the notifyable diseas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Germany, United States, England and france. 3. Thirty seven diseases including small pox, Lassa fever, anthrax, influenza, German measles, Legionellosis, infection with E. coli O157:H7, Q-fever, brucellosis, Lyme disease are designated as legal disease at least one of the above mentioned countries. 4. The Korea has been coped with the change of the infectious disease occurrence for last fifty years in amend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5. Japan has a special infectious surveillance system composed of 3,880 clinics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6. Germany has classified infectious diseases in five categories which are based on seriousness of disease. Any confirmed death, cases and suspected cases in class I should be reported within 24 hours. But only confirmed death and cases in class II, but not suspected cases, are reportable in Germarny. 7. Plague, bacillary dysentery, pertussis, mumps, Japanese encephaltis and Korean hemorrhagic fevers are diseases with high credits validity index among Korean legal disease. 8. German measles, anthrax, E. coli O157 : H7 infection, Lassa fever, Q-fever, brucellosis are high in validity index among those which are not designated in Korea but designated in other countries. In conclusion, the Kore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has well been coped with the changes of infectious disease occurrence for last fifty years, but the classification basis and the validity of diseases to be designated as legal diseases is worth reevaluating.

  • PDF

CT(Cultural Technology)로서의 감성공학

  • 지상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 /
    • 제9권3_4호
    • /
    • pp.27-35
    • /
    • 2005
  • 문화컨텐츠의 개발과 관련된 일체의 기술을 CT라고 한다. CT는 문화컨텐츠시장을 둘러싼 여건들의 변화와 더불어 같이 변화해야 한다. 문화컨텐츠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는 다섯까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화상품 소비자들의 취향이 감각적으로 변하고 있다. 둘째, 문화상품 소비 경험이 늘어나면서 상품의 인지적(cognitive) 특성에 둔감해지고 있다. 셋째, 소비자들의 문화적 안목의 성장이 공학적 기술의 발전속도를 추월하고 있다. 넷째, 문화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컨텐츠 개발의 목표가 "성공하는 상품"에서 "실패하지 않는 상품"으로 변하고 있다. 다섯째, 문화적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변화는 문화상품 개발자와 소비자들 간의 감성 차이를 크게 만들어 커다란 감성적 괴리를 만든다. CT에서 감성공학은 이런 문제에 대한 중요한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다 감성공학은 체성 감성과 심미적 감성의 배후 원리와 응용기술을 연구하는 분야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감성의 생리적 혹은 심리통계적 지표를 통한 감성측정과 감성을 유발하는 지각적 속성의 파악이 기본이 된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하려 노력한다. 문화컨텐츠 산업에 대한 몇 가지 오해 가운데 하나는 이들 분야가 반짝이는 아이디어 나 어느 개인의 재능 하나로 승부를 걸 수 있는 분야라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문화컨텐츠 산업을 면밀히 관찰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자본이 들어가거나 세련된 마케팅 기술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에게는 부족한 요소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가 감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감성공학은 외국과 견주어 아직까지 나름의 경쟁력을 갖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 PDF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 공간특성요소에 관한 연구 - 2010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Modern Bookstore Space in the Concept of "Third Space" - Focused on Cases from 2010 Onwards -)

  • 우리;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99-512
    • /
    • 2020
  • 경제와 인터넷 환경의 발전은 오프라인 서점에 큰 영향을 미쳤고, 오프라인 서점 역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변모하며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3의 공간 개념을 토대로 하는 현대서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대서점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현대서점의 특징과 발전방향을 탐구하여 향후 현대서점의 발전에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자는 제3의 공간 개념과 라이프스타일 숍 이론을 기반으로 그 이론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의 귀납적 정리를 통해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에 부합하는 특성요소를 도출하고, 2010년 이후 대형 상업시설 내에 개설된 5개 서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현대서점은 점차 도서판매라는 단일한 형태에서 벗어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형태로 전환하며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변신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의 소비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서점공간에 맞춤형 디자인을 진행하여 현대서점공간의 가치를 업그레이드 하였다. 이로써 현대서점은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탐색하는 동시에 소비자 수요의 변화에 발맞추어 선순환을 실현하였다.

상업시설 공간구성의 실시간 시선추적에 나타난 소비자 시지각 정보획득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Visual-Percep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in Commercial Facilities in Regard to its Construction of Space from Real-Time Eye Gaze Tracking)

  • 박선명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3-14
    • /
    • 2018
  •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업시설에서는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공간표현이 요구되고,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상품의 배치나 공간구성은 곧 마케팅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람의 눈은 가장 많은 정보를 획득하는 감각기관으로 시각정보에 대한 분석은 <공간과 사용자>의 상호간의 시각적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데, 그간 연구에서는 실험이미지를 통해 정지된 화상에 대한 분석이 대다수 이며, 상업공간의 이동영상을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시선정보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업시설의 이동경로를 촬영한 동영상을 실험에 사용함으로써 공간분석에 있어 사실감이 부여된 공간 사용자 시선정보를 통한 감성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동동선의 직선구간을 분석구간으로 설정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5개의 주시강도 범위에 대한 구간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동동선의 시작점인 A구간(직선구간-1)에서는 주시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B구간(직선구간-2)에서 가장 높은 주시강도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피험자들의 B구간부터 안정적인 공간 탐색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실험영상에 대한 적응시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주시집중구역에 대한 공간특성을 살펴보면, 6개 구간 중 4개 구간에서 우측매장의 진열방식에 대한 시선의 집중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시선이 높게 머무른 요소는 소품위주로 시선이 유도되었으며, 매장 내 쇼케이스 같은 진열형식에 시선정보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시선이 선호하는 상품진열방법, 상품요소 배치 등 직접적인 디자인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게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OT 기반 건축물 유지관리 플랫폼 구축(S-LCC) 방안 : 기능구성과 계측 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념 모델을 중심으로 (A Plan for Establishing IOT-based Building Maintenance Platform (S-LCC): Focusing a Concept Model on the Function Configuration and Practical Use of Measurement Data)

  • 박태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11-618
    • /
    • 2020
  • 건축물의 LCC 분석 결과의 신뢰성은 정확한 분석 절차와 불확실성이 제거된 데이터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측하고 DB화 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도구인 IOT를 활용하여 설비시스템의 전기에너지 소모량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들을 활용하여 설비시스템의 효율적 운전이 가능한 S-LCC 플랫폼의 개념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념 모델은 기존의 유지관리 시스템(BLCS)에 IOT를 융합하여 모델링되었으며, 이것은 시설물관리모듈, LCC분석모듈, 에너지사용량 관리모듈, 상태효율분석모듈, 유지보수기준재설정모듈 등 5개의 세부 모듈로 구성되어야 업무프로세스가 효율화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도출하는 LCC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설비시스템의 노후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설비의 보수율과 교체주기, 수명 등에 관한 기준들을 재설정하고, 신규설비의 유지관리기준을 새롭게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S-LCC 플랫폼이 구축될 경우, LCC 분석의 신뢰성 증대, 자료입력을 위한 노동력 절감, 정확성 제고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버려졌던 데이터를 잠재가치가 큰 빅 데이터로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