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G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2초

INTERVAL-VALUED FUZZY BG-ALGEBRAS

  • Saeid, Arsham Borumand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4권2호
    • /
    • pp.203-215
    • /
    • 2006
  • In this note the notion of interval-valued fuzzy BG-algebras (briefly, i-v fuzzy BG-algebras), the level and strong level BG-subalgebra is introduced. Then we state and prove some theorems which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notions and BG-subalgebras. The images and inverse images of i-v fuzzy BG-subalgebras are defined, and how the homomorphic images and inverse images of i-v fuzzy BG-subalgebra becomes i-v fuzzy BG-algebras are studied.

  • PDF

흑염소와 약용식물 복합 증탕추출액 및 증류액이 조골세포 증식과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and distillate from the mixture of black goat meat and medicinal herb on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 송효남;임강현;권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2호
    • /
    • pp.157-166
    • /
    • 2015
  • 골기능 개선용 흑염소 액상제품을 개발하기 기초연구로서 흑염소 및 약용식물 복합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 및 마우스 골수세포 유래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흑염소 원료육의 일반성분, 휘발성 염기질소, 무기질함량,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 등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흑염소에 첨가할 약용식물의 종류와 배합을 달리한 두 그룹의 한약재 첨가군에 대해 증탕추출액과 증류액을 제조하여 총 6개 시료군 (흑염소육 (BG-E, BG-D), 6종 한약재 첨가군 (BG-E6, BG-D6) 및 8종 한약재 첨가군 (BG-E8, BG-D8)을 대상으로 골강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식품공전상 식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원료 중 황기, 홍화씨, 당귀, 황정, 속단, 우슬 각각 2/2/2/2/1/1의 배합비를 지닌 한약재 6종 첨가군 및 동일배합에 녹용과 녹각을 각각 0.3/1.2 로 추가배합한 한약재 8종 첨가군을 사용하였다. 조골세포 MG-63의 증식 촉진 활성에 대해 시료별 및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약재 무첨가 흑염소군보다 6종 및 8종 등 한약재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증탕추출액과 달리 증류액은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조골세포의 골석회화 촉진활성시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 처리군에서 칼슘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MG-63 세포의 석회화 결절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BG-E6는 대조군에 비해 석회화 형성을 170.3% 증가시켰고, 증류액인 BG-D와 BG-D6는 각각 168.5% 및 159.8%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시료별 차이에 있어 한약재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높았고, 증탕추출액이 증류액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의 칼슘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증탕추출액에서 활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BG-E6와 BG-E8은 각각 615.5%와 628.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증류액은 BG-D6의 1/10 농도군외에 효과가 없었다. 마우스 골수세포 유래 파골세포의 증식억제 실험결과 TNF-${\alpha}$ 만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군이 TRAP활성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BG-D 및 BG-E6, BG-E8은 유의하게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흑염소육을 비롯하여 황기, 홍화씨, 당귀, 황정, 속단, 우슬, 녹용 및 녹각 등 한약재의 복합추출물은 골 기능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기능성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solation of Citrobacter sp. Mutants Defective in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by Transposon Mutagenesis

  • Jang, Moon-Sun;Lee, Young-Mi;Park, Yong-Lark;Cho, Young-Su;Lee, Young-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39-142
    • /
    • 2004
  • To identify genes involved in the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we isolated random mutants generated by transposon insertion in brilliant green-decolorizing bacterium, Citrobacter sp. The resulting mutant bank yielded 19 mutants with a complete defect in terms of the brilliant green color removing ability. Southern hybridization with a Tn5 fragment as a probe showed a single hybridized band in 7 mutants and these mutants appeared to have insertions at different sites of the chromosome. Tn5-inserted genes were isolated and the DNA sequence flanking Tn5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se with a sequence database, putative protein products encoded by bg gen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bg 3 as a LysR-type regulatory protein; bg 11 as a MalG protein in the maltose transport system; bg 14 as an oxidoreductase; and bg 17 as an ABC transporter. The sequences deduced from the three bg genes, bg 2, bg 7 and bg 16, showed no significant similarity to any protein with a known function, suggesting that these three bg genes may encode unidentified proteins responsible for the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STABLE SPLITTINGS OF BG FOR GROUPS WITH PERIODIC COHOMOLOGY AND UNIVERSAL STABLE ELEMENTS

  • Lim, Pyung-Ki
    • 대한수학회보
    • /
    • 제26권2호
    • /
    • pp.109-114
    • /
    • 1989
  • This paper deals with the classifying spaces of finite groups. To any finite group G we associate a space BG with the property that .pi.$_{1}$(BG)=G, .pi.$_{i}$ (BG)=0 for i>1. BG is called the classifying space of G. Consider the problem of finding a stable splitting BG= $X_{1}$$^{V}$ $X_{1}$$^{V}$..$^{V}$ $X_{n}$ localized at pp. Ideally the $X_{i}$ 's are indecomposable, thus displaying the homotopy type of BG in the simplest terms. Such a decomposition naturally splits $H^{*}$(BG).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the classification theorem in stable homotopy theory for groups with periodic cohomology i.e. cyclic Sylow p-subgroups for p an odd prime and to calculate some universal stable element. In this paper, all cohomology groups are with Z/p-coefficients and p is an odd prime.prime.

  • PDF

COMPLEX BORDISM OF CLASSIFYING SPACES OF THE DIHEDRAL GROUP

  • Cha, Jun Sim;Kwak, Tai Keu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5권2호
    • /
    • pp.185-193
    • /
    • 1997
  • In this paper, we study the $BP_*$-module structure of $BP_*$(BG) mod $(p,v_1,{\cdots})^2$ for non abelian groups of the order $p^3$. We know $grBP_*(BG)=BP_*{\otimes}H(H_*(BG);Q_1){\oplus}BP^*/(p,v_1){\otimes}ImQ_1$. The similar fact occurs for $BP_*$-homology $grBP_*(BG)=BP_*s^{-1}H(H_*(BG);Q_1){\oplus}BP_*/(p,v)s^{-1}H^{odd}(BG)$ by using the spectral sequence $E^{*,*}_2=Ext_{BP^*}(BP_*(BG),BP^*){\Rightarrow}BP^*(BG)$.

  • PDF

점토에 대한 2개 염기성 염료 RB5와 GB4의 경쟁 흡착 (Competitive Adsorption of Two Basic Dyes RB5 and GB4 on a Local Clay)

  • Elaziouti, A.;Derriche, Z.;Bouberka, Z.;Laouedj, N.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0-114
    • /
    • 2010
  • 알제리에서 출토되는 소듐-교환된 Maghnia 점에 대한 2개 염기성 염료인 RB5와 BG4의 흡착평형을 조사한 결과, 최대 흡착능은 각기 465.13 와 469.90 mg/g 으로 나타났다. ADMI 방법을 사용한 BR5 and BG4의 동시 흡착 실험에서 3개 다른 초기 농도비R (R=$C_{(BR5)}/C_{(BG4)}$) 2.5/1, 1/1, 1/2.5 을 사용하였다. 염료혼합물로부터 등온흡착 여부를 조사하여 경쟁 흡착인지를 알수 있다. 점토 표면 위 흡착 활성자리를 위한 BR5 and BG4 간 매우 강한 상호작용(R = 1/1)이 관찰되었다. RB 5 와 BG 4의 흡착능의 비율 R' (R'=$Qe_{(mixture)}/Qe_{(single)}$)은 초기 농도 비율 R (R=$C_{(BR5)}/C_{(BG4)}$)이 2.5/1, 1/1 and 1/2.5 인 경우에 대해 각기 0.86, 0.74 and 0.84 로 얻어졌다. Langmuir 와 Freundlich 모델이 각기 염료 뿐만 아니라 염료 혼합물의 흡착 거동에 잘 들어 맞음을 알 수 있었다.

hCG가 TeBG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CG on TeBG)

  • 성호경;김우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4권1호
    • /
    • pp.7-13
    • /
    • 1980
  • In the previous experiment, authors have shown that during the latter half of estrous cycle there was an increase in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the rats stimulated with hCG. To determine the physiologic significance of elevated plasma testosterone, changes of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eBG and testosterone following hCG stimulation were analyzed in the rats having a regular 5 day cycle.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the rats stimulated with single hCG on the day of proestrus and stimulated with hCG throughout the entire cycl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once a day for an estrous cycle and analyzed for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using ammonium sulphate precipitation method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by means of radioimmunoassay. Followings were the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in peripheral blood during the estrous cycle of the control rats. 2) No cyclic variation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was observed in the rats stimulated with single hCG on proestrus. although the levels tended to be higher in the rats with stimulation than in the control rats. 3) Continual stimulation of hCG produced a marked increase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especially on the day of metaestrus. 4) The changes in the plasma level of testosterone followed the same basic pattern seen in the TeBG binding capacity. 5) From abov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 hCG related increase of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is probably secondary to a modest increase in estrogen as well. b. hCG related increase of plasma testosterone in female rats is not entirely due to excess production rather in part due to decreased metabolism induced by the rise in TeBG. c. It seems likely that most of elevated testosterone shown in the rat stimulated with hCG is bound to TeBG and only small portion is unbound form which influence cellular activity. It is rather possible that an increase in TeBG could augment estrogen activity.

  • PDF

GM 유채에 도입된 β-glucosidase 1 (AtBG1)의 단회투여독성시험 (Single-dose Oral Toxicity Study of β-glucosidase 1 (AtBG1) Protein Introduced into Genetically Modified Rapeseed (Brassica napus L.))

  • 이순봉;정광주;장경민;김성건;박정호;김신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4-201
    • /
    • 2017
  •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beta}$-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정성 평가는 작물의 역사적 사용과 과학적 증거를 기초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AtBG1이 도입된 형질전환 유채의 급성투여독성시험을 통하여 암수 마우스 각각에서 한계투여 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급성독성의 권고안에 따라 AtBG1 단백질을 암수 각각 5마리의 ICR 마우스에 몸무게 1 kg 당 2,000 mg을 부형제에 녹여 강제구강투여 하였다. 투여일부터 14일 동안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를 측정하였고 마지막 14일에는 안락사 후에 부검을 통해 AtBG1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AtBG1 단백질이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 및 부검 결과에서 대조구와 실험구, 두 그룹간의 특이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tBG1 단백질은 급성독성의 측면에서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며, 한계허용치 용량이 2,000 mg을 상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차후 AtBG1 도입 유채의 인체위해성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피도박테리움 CBT BG7, BR3, BL3의 진세노사이드 전환능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Bifidobacterium CBT BG7, BR3 and BL3)

  • 최지원;권창;김종원;정명준;윤종현;임상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95-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와 홍삼을 발효하여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인 compound K (CK)로 생물전환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19종의 유전체 분석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에서 CK로 전환에 관련된 β-glucosidase는 19종 모든 균주에서 확인되었고, α-arabinofuranosidase 유전자는 3종의 균주, β-xylosidase는 6종 균주, α-rhamnosidase는 8종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이 중 B. longum CBT BG7는 Rb1으로부터 CK까지 전환시켜, CK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B. breve CBT BR3와 B. lactis CBT BL3은 Rb1을 Rd로 전환시켰다. 균체를 파쇄 또는 미파쇄하여 진세노사이드 전환 반응을 비교했을 때 미파쇄물이 F2와 CK로의 높은 전환량과 수율을 보였다. CBT BG7 + BL3와 BG7 + BR3 혼합균주는 CBT BG7 단독보다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CBT BG7과 α-amylase 효소를 함께 반응하였을 때에 F2 함량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인 CBT BG7, BR3, BL3와 홍삼을 함께 섭취할 경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인 CK의 생산을 확인하였다. 추후 부탄올 등 다양한 추출용매를 활용하여 생물전환 효율 및 CK로의 전환율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ginseng extract in high fat diet-fed mice

  • Lee, Mi Ra;Kim, Byung Chan;Kim, Ran;Oh, Hyun In;Kim, Hyun Kyoung;Choi, Kang Ju;Sung, Chang Ke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308-314
    • /
    • 2013
  • Black ginseng is produced by a repeated steaming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ginseng ethanol extract (BG-EE) in high fat (HF) diet-fed mice. Two groups were fed either a normal control (NC) diet or a HF diet (45% kcal fat). The other three groups were given a HF diet supplemented with 1% BG-EE, 3% BG-EE, and 5% BG-EE for 12 wk. The anti-obesity effects of the BG-EE supplement on body weight, the development of fat mass, and lipid mechanisms were assessed in obese mice. HF-induced hyperlipidemia,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white adipose tissues were reduced after BG-EE supplementation. Total fecal weight and the amount of fecal fat excretion also were increased after BG-EE supple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G-EE may be useful to ameliorate HF-induced obesity through the strong inhibition of fat dig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