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RT 모델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Filtering Clinical BERT (FC-BERT): An ADR Detection Model for distinguishing symptoms from adverse drug reactions (Filtering Clinical BERT (FC-BERT): 증상과 약물 이상 반응 구분을 위한 약물 이상 반응 탐지 모델)

  • Lee, Chae-Yeon;Kim, Hy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549-552
    • /
    • 2022
  • 최근 소셜미디어 리뷰 데이터를 활용한 약물 이상 반응 탐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약물을 복용하기 전 증상과 약물 이상 반응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 이상 반응 탐지에서 약물 복용 전의 증상을 구분할 수 있는 Filtering Clinical BERT(FC-BERT) 모델을 제안하였다. FC-BERT 는 약물 복용 전 증상과 다른 약물에 대한 부작용 표현을 제거하기 위해 약물명이 나오기 전 모든 문장을 제거하는 필터링과 약물-부작용 쌍을 추출하는 모델을 사용했다. 성능 평가 실험을 위해 문장에 대한 ADE(Adverse Drug Event) 여부가 들어있는 ADE Corpus V2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SPARK NLP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ADE Pipeline 모델과 비교하여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필터링을 활용한 FC-BERT 모델이 기존 모델보다 정확도, 평균 정밀도, 평균 재현율, 평균 F1-score 가 모두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은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한 약물 부작용 시그널을 탐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inBERT Fine-Tuning for Sentiment Analysi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Datasets and Hyperparameters (감성 분석을 위한 FinBERT 미세 조정: 데이터 세트와 하이퍼파라미터의 효과성 탐구)

  • Jae Heon Kim;Hui Do Jung;Beakcheol Ja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4
    • /
    • pp.127-135
    • /
    • 2023
  • This research paper explores the application of FinBERT, a variational BERT-based model pre-trained on financial domain, for sentiment analysis in the financial domain while focusing 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suitable training data and hyperparameters. Our goal is to offer a comprehensive guide on effectively utilizing the FinBERT model for accurate sentiment analysis by employing various datasets and fine-tuning hyperparameters. We outline the architecture and workflow of the proposed approach for fine-tuning the FinBERT model in this study, emphasiz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datasets and hyperparameters for sentiment analysis tasks. Additionally, we verify the reliability of GPT-3 as a suitable annotator by using it for sentiment labeling tasks. Our results show that the fine-tuned FinBERT model excels across a range of datasets an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is a learning rate of 5e-5 and a batch size of 64, which perform consistently well across all datasets. Furthermore, based on the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FinBERT model with our Twitter data in general domain compared to our news data in general domain, we also express uncertainty about the model being further pre-trained only on financial news data. We simplify the complex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timal approach to the FinBERT model and provide guidelines for selecting additional training datasets and hyperparameters within the fine-tuning process of financial sentiment analysis models.

Korean Entity Linking based on KorBERT and Popularity (KorBERT와 Popularity 정보에 기반한 한국어 개체연결 )

  • Jeong Heo;Kyung-Man Bae;Soo-Jong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02-5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KorBERT와 개체 인기정보(popularity)를 이용한 개체연결 기술을 소개한다. 멘션인식(mention detection)은 KorBERT를 이용한 토큰분류 문제로 학습하여 모델을 구성하였고, 개체 모호성해소(entity disambiguation)는 멘션 컨텍스트와 개체후보 컨텍스트 간의 의미적 연관성에 대한 KorBERT기반 이진분류 문제로 학습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개체 인기정보는 위키피디아의 hyperlink, inlink, length 정보를 활용하였다. 멘션인식은 ETRI 개체명 인식기를 이용한 모델과 비교하였을 경우,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0312,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1106의 성능 개선이 있었다. 개체 모호성해소는 KorBERT 모델과 Popularity 모델을 혼용한 모델(hybrid)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Hybrid 모델에서의 개체 모호성 해소의 성능이 Acc. 0.8911 이고,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Acc. 0.793 이였다. 최종적으로 멘션인식 모델과 개체 모호성해소 모델을 통합한 개체연결 성능은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7617 이고,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6784 였다.

  • PDF

Sentiment Analysis System by Using BERT Language Model (BERT 언어 모델을 이용한 감정 분석 시스템)

  • Kim, Taek-Hyun;Cho, Dan-Bi;Lee, Hyun-Young;Won, Hye-Jin;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75-977
    • /
    • 2020
  • 감정 분석은 문서의 주관적인 감정, 의견, 기분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 미디어, 온라인 리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문서 내 텍스트가 나타내는 단어와 문맥을 기반으로 감정 수치를 계산하여 긍정 또는 부정 감정을 결정한다. 2015년에 구축된 네이버 영화평 데이터 20 만개에 12 만개를 추가 구축하여 감정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언어 모델로는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BERT 모델을 이용하였다. 감정 분석 기법으로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 기존의 기계학습 기법과 구글의 다국어 BERT 모델, 그리고 KoBERT 모델을 이용하여 감정 분석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KoBERT 모델이 89.90%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and Part-Of-Speech Tagging with LSTM-CRF based on BERT (BERT기반 LSTM-CRF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 Park, Cheoneum;Lee, Changki;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4-36
    • /
    • 2019
  • 기존 딥 러닝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Part-Of-Speech tagging)은 feed-forward neural network에 CRF를 결합하는 방법이나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방법 등의 다양한 모델들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자연어처리 태스크에서 많은 성능 향상을 보이고 있는 BERT를 기반으로 한 음절 단위 LSTM-CRF 모델을 제안한다. BERT는 양방향성을 가진 트랜스포머(transformer) 인코더를 기반으로 언어 모델을 사전 학습한 것이며,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코퍼스를 어절 단위로 사전 학습한 KorBERT를 사용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기존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연구들 보다 좋은 (세종 코퍼스) F1 98.7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Valid Conversation Recognition for Restoring Entity Ellipsis in Chat Bot (대화 시스템의 개체 생략 복원을 위한 유효 발화문 인식)

  • So, Chan Ho;Wang, Ji Hyun;Lee, Chunghee;Lee, Yeonsoo;Kang, Jaew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54-59
    • /
    • 2019
  • 본 논문은 대화 시스템인 챗봇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생략 복원 기술의 정확률을 올리기 위한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생략 복원 기술은 챗봇 사용자의 현재 발화문의 생략된 정보를 이전 발화문으로부터 복원하는 기술이다.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은 현재 발화문의 생략된 정보를 보유한 이전 발화문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은 BERT 기반 이진 분류 모델이며, 사용된 BERT 모델은 한국어 문서를 기반으로 새로 학습된 한국어 사전 학습 BERT 모델이다. 사용자의 현재 발화문과 이전 발화문들의 토큰 임베딩을 한국어 BERT를 통해 얻고, CNN 모델을 이용하여 각 토큰의 지역적인 정보를 추출해서 발화문 쌍의 표현 정보를 구해 해당 이전 발화문에 생략된 개체값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안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에서 유효하다고 판단한 이전 발화문만을 생략 복원 모델에 적용한 결과, 생략 복원 모델의 정확률이 약 5% 정도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Hypernews Detection using Sentence BERT Embedding (Sentence BERT 임베딩을 이용한 과편향 뉴스 판별)

  • Lim, Jungwoo;Whang, Taesun;Oh, Dongsuk;Yang, Kisu;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88-391
    • /
    • 2019
  • 과편향 뉴스 판별(hyperpartisan news detection)은 뉴스 기사가 특정 인물 또는 정당에 편향되었는지 판단하는 task이다. 이를 위해 feature-based ELMo + CNN 모델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문서 임베딩이 아닌 단어 임베딩의 평균을 사용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eature-based 접근법을 따르며 Sentence-BERT(SentBERT)의 문서 임베딩을 이용한 feature-based SentBERT 기반의 과편향 뉴스 판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ELMO, BERT, SBERT와 CNN, BiLSTM을 적용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고, 기존 state-of-the-art 모델보다 f1-score 기준 1.3%p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Sentiment Analysis BERT Models Challenge (좌충우돌 감성분석 BERT 미세조정 분석)

  • Park, Jung-Won;Mo, Hyun-Su;Kim,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3-15
    • /
    • 2021
  • 텍스트에 나타나는 감성을 분석하는 NLP task 중 하나인 감성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한국어와 외국어 데이터들에 대해 다양한 BERT 모델들을 적용한 결과를 고성능 순서로 정리한 사이트(Paper with code)와 Github를 통해 준수한 성능을 보이는 BERT 모델들을 분석하고 실행해보며 성능향상을 통한 차별성을 가지는 것이 목표이다.

  • PDF

The Cardinality Residual Connection Method Applied to Transformer Model combining with BERT Layer (BERT layer를 합성한 Transformer 모델에 적용한 Cardinality Residual connection 방법)

  • Choi, Gyu-Hyeon;Lee, Yo-Ha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7-3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BERT가 합성된 새로운 Transformer 구조를 제안한 선행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cardinality residual connection을 적용한 새로운 구조의 모델을 제안한다. Transformer의 인코더와 디코더의 셀프어텐션에 BERT를 각각 합성한 모델의 잔차연결을 수정하여 학습 속도와 번역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리고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는 실험으로 어텐션을 선택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원문의 언어에 맞는 BERT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IWSLT14 독일어-영어 말뭉치와 AI hub에서 제공하는 영어-한국어 말뭉치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의 모델이 기존 모델에 비해 더 나은 학습 속도와 번역 성능을 보였다.

  • PDF

Korean End-to-End Coreference Resolution with BERT for Long Document (긴 문서를 위한 BERT 기반의 End-to-End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 Jo, Kyeongbin;Jung, Youngjun;Lee, Changki;Ryu, Jihee;Lim, Joo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59-263
    • /
    • 2021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상호참조해결 대상이 되는 멘션(mention)을 식별하고, 동일한 개체(entity)를 의미하는 멘션들을 찾아 그룹화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최근 상호참조해결에서는 BERT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표현을 얻은 후,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진행하는 end-to-end 모델이 주로 연구되었으나, 512 토큰 이상의 긴 문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512 토큰 이하로 문서를 분할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문서에 대해서는 상호참조해결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512 토큰 이상의 긴 문서를 위한 BERT 기반의 end-to-end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긴 문서를 512 이하의 토큰으로 쪼개어 기존의 BERT에서 단어의 1차 문맥 표현을 얻은 후, 이들을 다시 연결하여 긴 문서의 Global Positional Encoding 또는 Embedding 값을 더한 후 Global BERT layer를 거쳐 단어의 최종 문맥 표현을 얻은 후, end-to-end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기존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테스트 셋에서 0.16% 성능 향상), GPU 메모리 사용량은 1.4배 감소하고 속도는 2.1배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