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 Model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초

2.45GHz 대역 RTLS 트래픽 모델 및 eTDOA 기법을 이용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raffic Model and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with eTDOA Scheme in 2.45GHz Band RTLS)

  • 정승희;이현재;고봉진;오창헌;임춘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5-1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45GHz 대역 RTLS 시스템 환경에서 다수의 태그가 동작할 경우의 트래픽을 모델링하고 다중 태그간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RTLS 다중태그 환경하의 고정밀 위치측정(ranging)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가우스 잡음과 페이딩 환경 하에서 동시접속 태그 수에 따른 RTLS 시스템의 BER 성능은 다중태그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하되며, 페이딩 지수 m=15인 경우 RTLS 규격인 $10^{-5}$의 BER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동시접속 태그의 수가 40개 이하로 제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250m{\times}250m$의 탐색범위에서 개선된 TDOA 기법을 적용하여 태그의 위치를 추정하였을 경우 리더의 수가 3~8개일 때 sub-blink가 2개 이상 수신되면 RTLS 규격인 3m 이내 오차거리가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 PDF

움직임 정보 피드백이 가능한 응용을 위한 BER모델을 이용한 고속 분산 비디오 복호화 기법 (Fast Distributed Video Decoding Using BER model for Applications with Motion Information Feedback)

  • 김만재;김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4-24
    • /
    • 2012
  •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법은 우수한 비트율-왜곡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패리티 비트 제어용으로 피드백 채널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분산 비디오 부호화기법에서 매우 높은 복호화 지연을 야기한다. 실시간 환경에 구현하고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고속 복호화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되어 오고 있다. 실시간 구현의 한 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복호화기에서 부호화기측으로 움직임 정보와 같은 부호화 통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법을 다룬다. 즉, 본 논문에서는 보조 정보 생성시에 얻어지는 움직임 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복호화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고속 분산 복호화 방식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식은 기존의 고속 분산 복호화 방식들 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블루투스 무선 Ad-hoc망에서 ACL/SCO 패킷 데이터의 성능 (Performance of ACL/SCO Packet Data in Bluetooth Wireless Ad/hoc Network)

  • 김도균;노재성;조성언;조성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9-32
    • /
    • 2001
  • This paper has simulated the PER(Packet Error Rate), ratio of received packet and payload BER of Bluetooth system with packet types of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 and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 over wireless Ad-hoc environment.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nd Rayleigh fading are considered as channel model,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baseband model of Bluetooth system. In terms of PER and ratio of received packet, performance of DM1 packet is almost same as those of HV1, HV2 and HV3 packets, the performances of the other packets depend on the packet types. In terms of payload BER performance,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HV2 packet of SCO link and DM1, DM3, DM5 packets of ACL link. Moreover,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HV3 packet of SCO link and DM1, DM3, DM5 packets of ACL link, too.

  • PDF

Spectrum Sensing for Cognitive Radio based on RVM

  • Shi, Shangkun;Yan, Jiao;Joe, Inwhee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6-88
    • /
    • 2019
  • In a complex geographical environment, communication quality of communication equipment is being seriously challenged. Secondary Users(SUs) must make the best possible use the idle spectrums that Primary Users(PUs) do not use and change spectrum frequently. Using the relevance vector machine(RVM) to establish a signal noise Ratio(SNR) Model for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bit error rate(BER). Through the model and real-time interference information, the minimum channel SNR meeting the BER requirements of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predicted, and we can also calculate the minimum transmitted power.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is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for selecting available channel and restraining interference.

16-QAM 시스템에서 HPA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사전왜곡기의 설계 및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distorter to Compensate HPA Nonlinearity in 16-QAM System)

  • 장경수;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948-953
    • /
    • 2017
  • 초고속 통신을 위해 HPA(High Power Amplifier)를 사용할 때, HPA의 비선형 특성은 전력 효율 및 BER(Bit Error Rate) 성능 및 스펙트럼 효율 등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초고속 통신을 위한 충분한 송신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HPA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사전왜곡기를 사용하여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해주기 위한 용도의 사전왜곡기를 HPA의 앞단에 사용하여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여, 이를 성좌도, 스펙트럼, BER 성능 등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전왜곡기를 사용하여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해줌으로써 이상적인 선형 증폭기와 비슷한 수준의 BER 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스펙트럼 마스크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i-analyti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우스 및 원단누화 잡음환경에서의 디지털가입자라인의 BER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igital Subscriber Line in Gaussian and Far-end Crosstalk Noises Environment Using Semi-analytic Simulation)

  • 채윤식;강영홍;이정식;김용환;조평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90-39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twisted-pair 채널특성을 이용하여 가우스 및 원단누화 잡음환경에서의 디지털가입 자라인의 BER 성능평가를 Semi-analytic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감쇄가 없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이론치보다 E$^{b}$ /N$^{0}$ 면에서 0.5dB 이내의 열화를 보석 시뮬레이션의 타당성을 보인다. 전송거리가 5000m로 길어지면 BER=l0$^{-7}$ 에서 E$^{b}$ /N$^{0}$ 는 약 4dB, 일정거리에서 나이퀴스트 주파수가 512kb/s로 높아지면 약 2dB 정도 열화한다. 또한 원단누화 잡음에 의한 영향은 전송거리면에 있어서는 원단누화 잡음 감쇄정수 k=$10^{-10}$ 이상일 때, 나이귀스트 주파수면에서는 k=$10^{-14}$ 이상일 때 크게 나타난다. 본 해석의 결과는 향후 국내외 디지털가입자라인의 표준화 제정에 기본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High-Performance Time-Code Diversity Scheme for Shore-to-Sea Maritime Visible-Light Communication

  • Kim, Hyeongji;Sewaiwar, Atul;Chung, Yeon-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5호
    • /
    • pp.514-520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hore-to-sea maritime data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ime-code diversity, using visible light in maritime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s. The proposed system is primarily comprised of existing LED-based lighthouses and maritime transceivers (marine beacons, buoys, etc.), and thus is considered cost-effective in terms of implementation. We first analyze maritime visible-light communications on the basis of the unique properties of a maritime environment, i.e. sea states (wave height, wind speed, etc.), plus atmospheric turbulence, using the Pierson-Moskowitz (PM) and JONSWAP (JS) spectrum models. It is found that the JS model outperforms the PM model, and that the coverage distance depends on the LED power and sea states. To combat maritime fading conditions that significantly degrade performance and coverage distance, we propose a time-code diversity (TCD) scheme in which the delayed versions of the original data are retransmitted using orthogonal Walsh codes. This TCD scheme is found to be superior, in that it offers three orders of magnitude in terms of BER performance, compared to a conventional (non-TCD) transmission scheme. The proposed scheme is robust and efficient in overcoming the effect of impairments present in maritime environments with a BER of approximately $10^{-5}$and a data rate of 100 Kbps at a distance of 1 km.

IEEE 다중경로 채널에서 다중접속 M진 변조 초광대역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Rake 수신기 (Advanced Rake Receiver for Multiple Access M-ary Modulation UWB System in the IEEE Multipath Channel)

  • 안진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2호
    • /
    • pp.12-1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다중사용자 간섭이 존재하는 M-ary TH-PPM 시스템에서 확률분포 모델에 기반하는 개선된 초광대역 Rake 수신기법이 연구되었다. Rake 수신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다중사용자 간섭과 잡음의 혼합 분포를 유연하게 근사할 수 있는 확률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라플라스분포와 첨두치 정합(kurtosis matching) 기법이 적용된 일반화된 정규 라플라스 모델이 고려되었다. 각 확률분포에 기반하는 Rake 수신기의 성능이 IEEE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평가되었고 종래의 Rake 수신기와 비교 되었다. 제안된 접근법은 종래의 Rake 수신기보다 더 우수한 BER 성능을 보인다.

개선된 QIM과 SVM을 이용한 공격에 강인한 다중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Robust Multiple Audio Watermarking Using Improved Quantization Index Modula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

  • 서예진;조상진;정의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3-6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파워에 따라 적응적 스텝 사이즈를 갖는 개선된 QIM(Quantization index modulation)과 SVM(Support vector machine) 디코딩 모델을 이용한 다중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워터마크는 주파수 크기 응답과 주파수 위상 응답에 QIM을 이용하여 삽입한다. 이는 주파수 크기 응답과 위상 응답에 강인한 공격이 다르기 때문에 양쪽 모두 삽입하여 강인성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검출시에는 SVM 디코딩 모델을 사용하여 검출된 워터마크가 워터마크로서의 기능이 애매모호한 경우를 개선하여 검출 비율을 향상시킨다. 강인성 검증을 위해 11개의 공격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SVM 디코딩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기존의 다중 오디오 워터마킹 방법보다 훨씬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특히 PSNR은 최대 7dB의 개선 효과를, BER은 10%의 개선 효과를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률 향상 기법 (Data Transmission Rate Improvement Scheme i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for Smart Grid)

  • 김요철;배정남;김윤현;김진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B호
    • /
    • pp.1183-1191
    • /
    • 2010
  • 본 논문은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적응형 OFDM CP 길이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수신단의 CP controller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과 지연된 동일 데이터 프레임을 상관 처리를 취함으로써 채널 지연 정보를 계산한 후, 즉시 그 정보를 송신단에 피드백 한다. 그 다음, 송신단에서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CP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Impulsive noise 모델로서, Middleton Class A 간섭 모델을 사용하였고, 성능은 패킷 전송률과 누적 패킷 전송률, 비트 오류율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패킷 수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감소된 비트 양)이 커지지만, branch 수($N_{br}$)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 폭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_{br}$ 이 3, 5, 10인 경우, 적응형 CP 길이 알고리즘과 고정된 CP 길이 기법의 BER 성능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고정 CP 길이 기법과 비교하여 BER 성능 감소 없이 데이터 전송률 증가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