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X and BCL-2 expression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2초

Involvement of p53-Mediated Mitochondrial Stress in the Apoptosis Induced by Flavonoids Purifi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in Human Osteosarcoma Cells

  • Chung, Song-Woo;Lee, Seung-Ah;Park, Jong-Sun;Ryu, Kwon-Woo;Jang, Mun-Ju;Park, Song-Soo;Lee, Choon-Bong;Kim, Jong-Ghee;Jeon, Young-Mi;Lee, Jeong-Ch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07
  • Dietary flavonoids have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effects. Rhus verniciflua Stokes (RVS) is a flavonoid-rich herbal medicine and has long been used as a food additive and an antitumor agent in Korea.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a purified flavonoid fraction prepared from RVS, herein named RCMF (the RVS chloroform-methanol fraction), exhibited growth inhibi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uman osteosarcoma(HOS) cells. This study evaluated if p53-mediated pathway is associated with the RCMF-induced apoptosis in HOS cells. RCMF was shown to be capable of inducing apoptosis of the cells, as expected, and transparently increased p53 expression in the cells. However, the RCMF-induced cytotoxicity was suppressed by transfecting the cells with antisense p53 oligonucleotide, which also inhibited the decrease of Bcl-2 and the increase of Bax in mitochondria,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This finding suggests that p53-mediated mitochondrial stress is required for RCMF-induced apoptosis in HOS cells.

Vitamin $K_1$의 첨가가 돼지 체외 수정란의 발달과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tamin $K_1$ on the Developmental and Survival Rate of Porcine In Vitro Fertilized Embryos)

  • 박흠대;주역진;박용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81
    • /
    • 2014
  • 돼지 수정란의 체외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배발생율과 더불어 고품질의 배를 조기에 선별해야 한다. 체외 배 발생율에 대한 보고는 많지만, 고품질의 배를 선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난포란 유래 수정란의 체외배양에 있어서 배반포로의 배 발달과 생존에 미치는 Vitamin $K_1$(vit $K_1$) 첨가 농도, 시기 및 시간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1.0{\mu}M$, $3.0{\mu}M$$6.0{\mu}M$ vit $K_1$을 배양 1일째 24시간 첨가한 결과, 배반포 발달율이 시험군이 $14.5{\pm}4.3$, 0.0 및 0.0%로써 대조군의 $35.5{\pm}3.2%$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p<0.05), 배반포의 생존율도 대조군이 $31.8{\pm}2.6%$로써 시험군의 $22.2{\pm}2.9$, 0.0 및 0.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상기 첨가 농도에서 첨가 시간을 달리한 결과, $1.0{\mu}M$ 농도에서 6시간 처리군의 배반포 발달율과 생존율이 각각 $26.5{\pm}2.9%$$47.2{\pm}2.8%$로써 가장 높았고 특히, 12시간 처리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0{\mu}M$ 농도에서는 대조군의 배발달율이 $36.4{\pm}3.1%$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은 3.0시간 첨가군이 $41.7{\pm}3.2%$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6.0{\mu}M$ 농도에서도 배발달율은 대조군($32.0{\pm}2.8%$), 생존율은 0.5시간 첨가군($42.9{\pm}1.8%$)이 가장 높았다. 각각의 vit $K_1$ 첨가 농도와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배양 시기에 첨가한 결과, $1.0{\mu}M$ 6시간 첨가군에서는 배반포 발달율은 배양 4일째 첨가군, 생존율은 배양 2일째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한편, $3.0{\mu}M$ 3.0시간 및 $6.0{\mu}M$ 0.5시간 첨가군에서는 배양 4일째 첨가군의 배반포 발달율($59.5{\pm}4.1%$$50.0{\pm}3.6%$)과 생존율($72.7{\pm}5.4%$$79.2{\pm}4.0%$)이 대조군과 다른 시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vit $K_1$ 첨가에 따른 배반포의 세포 수를 조사한 결과, 첨가군($1.0{\mu}M$ 6시간 배양 2일째, $3.0{\mu}M$ 3.0시간 배양 4일째 및 $6.0{\mu}M$ 0.5시간 배양 6일째)이 $53.4{\pm}5.8$, $49.4{\pm}3.8$$51.5{\pm}4.5$개로써 대조군의 $40.2{\pm}2.3$개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p<0.05). 그러나 사멸세포 수는 시험군이 $3.2{\pm}0.9{\sim}3.7{\pm}2.1$개로써 대조군의 $4.2{\pm}1.2$개보다 적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세포 사멸 유도 유전자인 Bax mRNA 발현은 처리군과 대조군은 비슷하였으나, 세포 사멸 억제 유전자인 Bcl-xL mRNA 발현은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특히, $6.0{\mu}M$ 0.5시간 배양 4일째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 미성숙 난포란 유래 수정란의 체외 배양에 vit $K_1$의 첨가는 배반포의 생존율과 세포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밝혀져야 되겠지만, 고품질의 배반포 조기 선발에는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항암제와 한약재의 병용투여 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문헌고찰 (A Review on Experimental Research about Anticancer Drug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for Killing 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in Korea.)

  • 이지은;최진용;한창우;최준용;박성하;김소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1-412
    • /
    • 2017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searched the experimental research about combined treatment of anticancer drug and herbal medicine for killing 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searched in OASIS and KIS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mental research paper about anticancer drug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Methods : We collected the research paper including killing 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in OASIS and KISS using keyword anticancer drug with herbal medicine, tumor suppressor with herbal medicine, inhibition of Cancer with herbal medicine and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Assorting by cancer cells, we analyzed experimental results cancer cell viability, anticancer drug dosage, tumor weight and survival rate. Also, we checked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cancer and additive effect reducing side effect of anticancer drug. Results : Total 45 studies were selected. 38 studies reported combined treatment of anticancer drug and herbal medicine was more effective than only anticancer drug. The death of cancer cells was synergistically induced by the cotreatment of anticancer drug and herb extracts. The studies suggest that the cotreatment of anticancer drug and herb extracts could reduce side effect of anticancer drug. In addition, some studies reported cotreatment mechanism like apoptotic death signal processes. In combined treatment of anticancer drug and herb extracts, The expression of Fas/Fas L, Bax, Bcl2, Caspase-3 etc.. was markedly increased in cancer cells.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anticancer drug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could be efficient for killing 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However, this paper had some limitation as follows: First, collected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ly for korean journal. Second, results of research and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are not collected objectively. To solve these problems, more objective and balanced studies should be performed.

Fimasartan attenuates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by modulating inflammation-related apoptosis

  • Cho, Jang-Hee;Choi, Soon-Youn;Ryu, Hye-Myung;Oh, Eun-Joo;Yook, Ju-Min;Ahn, Ji-Sun;Jung, Hee-Yeon;Choi, Ji-Young;Park, Sun-Hee;Kim, Chan-Duck;Kim, Yong-Lim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6호
    • /
    • pp.661-670
    • /
    • 2018
  • Fimasartan, a new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reduces myocyte damage and stabilizes atherosclerotic plaque through its anti-inflammatory effect in animal studie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fimasartan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IRI) in a mouse model of ischemic renal damage. C57BL/6 mice were pretreated with or without 5 (IR-F5) or 10 (IR-F10) mg/kg/day fimasartan for 3 days. Renal ischemia was induced by clamping bilateral renal vascular pedicles for 30 min. Histolog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poptosis assays were evaluated 24 h after IRI.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R-F10 group. IR-F10 kidneys showed less tubular necrosis and interstitial fibrosis than untreated kidneys. The expression of F4/80, a macrophage infiltration marker,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decreased in the IR-F10 group. High-dose fimasartan treatment attenuated the upregulation of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in ischemic kidneys. Fewer TUNEL positive cells were observed in IR-F10 compared to control mice. Fimasartan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aspase-3 activity and the level of Bax, and increased the Bcl-2 level. Fimasartan preserved renal function and tubular architecture from IRI in a mouse ischemic renal injury model. Fimasartan also attenuated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decreased apoptosis of renal tubular cells. Our results suggest that fimasartan inhibited the process of tubular injury by preventing apoptosis induced by the inflammatory pathway.

시안산에 의한 신경아교종세포의 자멸사 (Cyanate Induces Apoptosis of Rat Glioma Cell Line)

  • 최혜정;이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7-274
    • /
    • 2017
  • 본 연구는 말기 신부전 환자의 체내에서 증가되는 시안산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시안산 처리에 따른 신경아교종 세포인 C6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시안산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자멸사 관련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및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검색하기 위하여 cDNA 유전자 미세배열분석을 하였다. 시안산의 처리 농도가 0, 1, 5, 10, 20, 40 mM 증가할수록 신경아교종 세포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세포자멸사에 주된 역할을 하는 caspase-8는 증가되었고 procaspase-3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caspase-8에 의해 활성화되는 Bax 단백질은 시안산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caspase-8의 증가에도 감소하였고, 세포자멸사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Bcl-2와 IAP은 명확히 확인할 수 없었다. cDNA 유전자 미세배열 분석 결과, 총 1,099 종의 유전자 중에서 934 개의 유전자가 감소하였고 증가된 것은 165 개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유전자에서도 감소한 것은 16 개였고, 증가된 6 개 유전자 가운데 heat shock 70 kD protein 1A가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안산은 신경아교종 세포에서 caspase-8 및 caspase-3와 관련된 세포자멸사를 유발시키며, 신경아교종 세포의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체내에서 증가된 시안산이 신경아교종 세포에 영향을 미쳐 말기 신부전 환자의 뇌병증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간암 세포주에서의 Indole-3-Carbinol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주기 억제 기전 (Inhibitory Mechanisms of Cell Cycle Regulation Induced by Indole-3-carbino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동우;이광수;김민경;조율희;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우수한 항암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indole-3-carbinol을 HepG2세포주에 시간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cell growth inhibition을 확인하였으며, $IC_{50}$ 값은 48시간배양에서 $446\mu$M 72시간 배양에서 444$\mu$M로 나타났다. $400\mu$M의 I3C을 투여하고, 24, 48, 72시간에 HePG2 세포주의 cell cycle pattern을 분석한 결과, G1 phase에서 P21의증가와 함께 Cdk 6와 cyclin D의 확연한 감소와 Pb protein의 hypo-phosphorylation을 확인하였다. 반면 G2 phase에서는 I3C의 직접적인 억제로 인해 24시간 후부터 Cdc2와 cyclin B1가 급격히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Flow cytomery 분석결과 I3C 처리 24시간 뒤 G2 arrest (25%)가 발생하였으며, 72시간이 지난후 G1 arrest (53%)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I3C의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의 cell cycle arrest가 apoptosis를 유발하는지를 알고자 caspase 3 Bcl2 Bax prote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무런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즉 I3C은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못한다는것을 확인하였따. 결론적으로 I3C은 HepG2 세포주에서 G1와 G2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는 발생시키나, 특이적으로 apoptosis 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HeLa 암세포주에 대한 국산 프로폴리스의 독성 효과 및 단백질 발현 변화 (Cytotoxic Effect and Protein Expression by Korean Regional Propolis on HeLa Ovarian Cancer Cell Line)

  • 김성국;우순옥;한상미;김세건;방경원;김효영;최홍민;문효정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5-254
    • /
    • 2019
  • 꿀벌에 의해 생산되는 프로폴리스는 이미 항균,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그리고 항종양 등의 기능성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공적으로 생성된 화합물이 아닌 자연에서 얻어진 천연물이라는 점에서 특히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류에게 대표적 난치병 질병 중의 하나인 암에 대한 항종양 특징은 화학적 예방 요법이라는 측면에서 중요성과 활용도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가 가지는 항종양 같은 현상적인 효과라던가 프로폴리스 구성 성분의 특징에 대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암세포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분자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에 대해서 프로폴리스가 나타내는 구체적인 분자기전을 제시함으로써 어떤 메커니즘으로 의해 프로폴리스가 항암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암세포에 대해서 확실한 항암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프로폴리스의 세포 사멸 농도를 확인하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단백질 분자의 발현 양상 또는 분자 기능의 활성화 등을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수많은 단백질들이 암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세포 내부의 모든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하기엔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포의 분열과 사멸에 관련된 기본적인 단백질과 더불어 암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화 등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면 프로폴리스가 암세포에 대해서 항암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100 ㎍/mL의 농도에서 비로소 세포 사멸 현상을 나타낼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암세포 내부의 수많은 단백질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국내의 지역에 따라 수집된 프로폴리스의 항암 효과가 암세포 내부에서 작용할 때는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결과로서 각 지역에 식재된 밀원수에 따라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이 달라지는 것이며 그에 따라 프로폴리스의 기능성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는 의미이다. 이는 프로폴리스가 가지는 기능에서 항암뿐만이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그리고 항균 작용에서도 지역별로 구성된 식물상에 따라 기능성의 차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역으로 추적해서 각 지역에서 나타난 프로폴리스의 기능성 차이를 확인하고 해당 지역의 식물상을 분석한다면 질병 또는 특정 기능성을 가진 프로폴리스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프로폴리스의 성장저해 효과는 확인했지만 아직도 확인해야 할 기전은 매우 다양하다. 세포는 내부의 신호 체계가 매우 복잡하고 단일 신호 체계가 아닌 다중 신호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로폴리스에서 항암 효과가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암세포는 다른 방향으로 anti-apoptitic signal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신호 체계에 대한 암세포 내 단백질 발현에 대한 변화를 확인해야 하며, 추가로 단백질의 phosphorylation, acetylation, protein folding 그리고 mutation과 같은 기능성을 검증해야 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프로폴리스의 구체적인 세포 신호 경로를 확인해야만 항암과 관련하여 약물을 제조할 때 손쉽게 표적 특이적인 신약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암은 조직별로 그 특성을 다르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조직 특이적인 맞춤형 약제의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별 프로폴리스의 항암 분자 기전 분석에 더하여 해당 지역의 밀원수 분석 및 세포 내 단백질 변화추적을 기반으로 앞으로 더 많은 종류의 암세포 저해 기전을 밝힌다면 대표적 양봉 산물인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특정 암에 대한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