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 fluid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폐결핵 환자의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 아형과 세포성 매개면역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mediated Immunity and Subtypes of Lymphocyte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어수택;차미경;이상무;김현태;정연태;우준희;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34-342
    • /
    • 1992
  • 연구배경 : Mycobacteria 감염에 의한 폐결핵은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이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는 바, 먼저 Mycobacteria가 흡입되면 T 임파구가 활성화되어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을 나타낸다. 결핵환자에서 tuberculin-purified protein derivative에 대한 피부 면역반응은 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는 양성반응을 나타내어야하나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도 음성반응(anergy)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폐결핵 환자에서 말초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액내의 임파구의 세포조성과 이들이 피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PPD에 대한 피부반응 검사상 음성으로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1명의 정상대조군, 20명의 활동성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PPD에 대한 피부 반응 검사 및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임파구의 아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는 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25.2{\pm}4.8$ vs $6.6{\pm}1.3%$, p<0.01), 단구세포(monocyte)는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69.6{\pm}5.7$ vs $89.2{\pm}1.4%$, p<0.05). 2) PPD에 대한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군과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군 사이의 기관지 폐포세척 세포 조성의 비는 차이가 없었다. 3) 환자군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 내의 $CD3^+$, $CD4^+$ 임파구의 조성비는 말초혈액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CD3^+$: $76.56{\pm}2.18$ vs $57.59{\pm}2.17%$, p<0.001; $CD4^+$: $51.24{\pm}2.33$ vs $35.20{\pm}2.32%$, p<0.005), $CD3^+IL-2R^+$, $CD3^+HLA-DR^+$ 임파구의 조성비도 말초혈액보다 증가되어 있었다($CD3^+IL-2R^+$:$2.41{\pm}0.57$ vs $0.93{\pm}0.16%$, p<0.005; $CD3^+$ HLA-$DR^+$: $16.92{\pm}3.89$ vs $3.94{\pm}0.70%$, p<0.005). 4) 환자군중 PPD에 대한 양성반응을 보인 군과 음성반응을 보인 군 사이에는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의 조성의 차이 및 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5) 환자군에서 PPD에 대한 피부반응과 기관지 폐포세척 세포의 조성비 사이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PPD에 대한 피부반응과 기관지 폐포세척액 및 말초 혈액내의 임파구아형의 조성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염증 세포와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을 알수 있었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지연성 피부 반응의 저하는 임파구의 구획에 의한 결과라는 것을 배제할 수 없었다.

  • PD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Alveolar Hemorrhage due to Strongyloidiasis Hyperinfection in an Older Patient

  • Kim, Eun Ji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00-203
    • /
    • 2018
  • Strongyloides stercoralis is an intestinal nematode that occurs sporadically in temperate areas like Korea. People who are in the immunosuppressed state, over the age of 65 or under the corticosteroid therapy are at risk for developing Strongyloides hyperinfection syndrom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with alveolar hemorrhage is a rare presentation of Strongyloides hyperinfection. A 78-year-old man had been irregularly injected corticosteroid on his knees, but did not have any immunosuppressive disease. He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ARDS and septic shock.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was bloody and its cytology revealed helminthic larvae identified as S. stercoralis. Results of Cytomegalo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neumocystis jirovecii PCR, and Aspergillus antigen testing of the BAL fluid were positive. The clinical progress quickly deteriorated with multiple organ failure, shock and arrhythmia, so he finally died. This is a rare case of ARDS in an older patient without any known immunosuppressive conditions, with alveolar hemorrhage and S. stercoralis being found via BAL.

Effects of Nano-sized Carbon Black on the Lungs of High Fat-diet Induced Overweight Rats

  • Lim, Cheol-Hong;Kang, Mingu;Han, Jeong-Hee;Yun, Hyo-I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8권
    • /
    • pp.14.1-14.9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nano-sized carbon black exposure results in greater damage in high fat diet-induced overweight rats than normal weight ones and to identify the possible causes of any differences. Methods Two groups of Sprague-Dawley rats allocated by body weight (normal and overweight) were exposed to aerosolized nano-sized carbon black for 6 hours a day, 5 days per week over a 4-week period. Differential cell counts,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ies and album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the lungs were evaluat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 (IL)-6 were measured in BAL fluid and supernatants of lipopolysaccharide(LPS)-stimulated lymphocyte culture. Results Rat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nano-sized carbon black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 <0.05) polymorphonuclear leukocyte number and LDH activity in the BAL fluid from both overweight and normal rats. Mil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normal rats irrespective of carbon black concentrations. However, severe histological scores were found in overweight rats ($1.75{\pm}0.46$, $2.25{\pm}0.46$, and $2.88{\pm}0.35$ after low,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 exposures).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of TNF-${\alpha}$ and IL-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pernatant of LPS-stimulated lymphocytes of overweight ra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L fluid between normal and overweight rats. Conclusions Inflammation and damage to lungs exposed to nano-sized carbon black was more severe in high fat diet-induced overweight rats compared to normal rats.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ytology in Lung Cancer

  • Binesh, Fariba;Pirdehghan, Azar;Mirjalili, Mohammad Reza;Samet, Mohammad;Majomerd, Zahra Amini;Akhavan,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201-204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ytology (BAL) using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ransbronchial biopsy specimens as the gold standard in diagnosis of lung carcinoma at our cente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total of 388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lung cancer and had undergone fiberoptic bronchoscopy in Shahid Sadoughi hospital from 2006 to 2011. Lung masses were proven to be malignant by histology. Results: Transbronchial lung biopsy (TBLB) identified malignancy in 183 of the 388 cases, including 48 cases (26.2%) with adenocarcinoma, 4(2.1%) with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47(25.6%)with squamous cell carcinoma, 34(18.5%) with well-diffentiated neuroendocrine carcinoma, 35(19.1%) with small cell carcinoma, 14 (7.6%) with non-small cell carcinoma, and 1 (0.54%) with large cell carcinoma. A total of 205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as negative. BAL was also performed in 388 patients; 86/103 cases were consistent with the final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188/285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as negative. The sensitivity of BAL was 46.9%(CI:41.9%, 51.8%)) and its specificity was 91.6%(CI:88.8%, 94.3%). BAL had a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83.4%(CI:79.7%, 87.1%)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65.8%(CI:61%, 70.5%). The overall accuracy of BAL was 70.5% and the exact concordance was 39%.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BAL cytology is not sensitive but is a specific test for diagnosis of lung carcinoma. I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s combined with bronchoalveolar lavage, the positive diagnostic rate will be further elevated.

폐결핵 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Adenosine Deamin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Adenosine Deaminase Activity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천선희;조철호;김병일;장상호;장준;김성규;한지숙;이원영;권오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1호
    • /
    • pp.16-24
    • /
    • 1991
  • Adenosine deaminase (ADA) is an enzyme which is essential for the differentiation of lymphoid cells, especially T-cells and ADA plays a role in the maturation of monocyte to macrophage. Therefore ADA levels are related to stimulation of cellular immunity. We have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of ADA activity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the patients with active and in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DA activity and corrected ADA activity from the BAL fluid in active tuberculosis group (Total Lavage ADA; $18.4{\pm}22.5\;mU$, Total Lavage ADA/Albumin; $2.45{\pm}1.61\;mU/mg$) were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ose in inactive tuberculosis (TL-ADA; $5.8{\pm}2.5\;mU$, TL-ADA/Alb; $1.83{\pm}O.53\;mU/mg$) and control (TL-ADA; $6.6{\pm}4.3\;mU$, TL-ADA/Alb; $1.62{\pm}0.60\;mU/mg$) groups. 2) The ADA activity and lavage ADA/serum ADA activity ratio in BAL fluid from the lesion site (TL-ADA; $42.9{\pm}42.3\;mU$, L-ADA/S-ADA; $0.53{\pm}0.32$) were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non-lesion site (TL-ADA; $12.5{\pm}11.2\;mU$, L-ADA/S-ADA; $0.29{\pm}0.12$)and normal side (TL-ADA; $12.7{\pm}11.0\;mU$, L-ADA/S-ADA; $0.34{\pm}0.27$) in active tuberculosis group. 3) The ADA activity in BAL fluid from far advanced group (TL-ADA; $62.5{\pm}30.3\;mU$) wa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mild group (TL-ADA; $10.5{\pm}7.5\;mU$) and moderate advanced group (TL-ADA; $13.2{\pm}11.7\;mU$) in active tuberculosis. 4) The albumin level from the BAL fluid was correlated with the ADA activity (R=0.89). 5) The ADA activity recovered from the BAL fluid was correlated with the recovered lymphocyte percentage (R=0.60). In conclusion, the ADA activity from the BAL fluid in active tuberculosis group wa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in inactive tuberculosis and control groups, especially from the lesion site. To evaluated the specificity of ADA determination for diagnosis of active tuberculosis, BAL must be done at lesion site of the diseased lung and the proper correcting material other than albumin must be chosen to correct the dilution factor of lavage fluid.

  • PDF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세포 검사 (Analysi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ells from the Patients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

  • 김효석;문수남;정성환;이광희;김현태;이상무;어수택;김용훈;박춘식;진병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604-615
    • /
    • 1994
  • 연구배경: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세포구성에 대한 분석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폐조직검사를 보완하거나 대신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며 폐포염의 성격을 가장 신속하게 알 수 있고,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감별진단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아직 기관지폐포세척세포에 대한 분석자료가 많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정상인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와 여러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를 비교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일차적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채취하여 세포를 염색하여 감별, 계수하였으며,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차이 및 정상군과 여러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의 백분율, 절대수치 및 분포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는 세척액회수율, 총세포수, 세척액 ml당 세포수, 임파구백분율 및 임파구수, 대식세포백분율 및 대식세포수, 호중구백분율 및 호중구수, 호산구백분율 및 호산구수, FEV1(%), FVC(%)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세포수는 교원성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임파구백분율은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대식세포는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호중구는 교원성 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그리고 호산구는 교원성 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질환별로 폐포염의 양상을 알 수 있었으나 각 질환간의 염증세포의 빈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세포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많은 ILD 증례에서 폐포염의 존재를 알 수 있으나 ILD의 감별진단에 응용하기는 어렵다.

  • PDF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었던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환자에서의 원인균 발견을 위한 소량 기관지폐포세척술의 진단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for Diagnostic Efficacy of Minibronchoalveolar Lavage in the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Antibiotics)

  • 문두섭;임채만;배직현;김미나;진재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21-330
    • /
    • 1999
  • 배경: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이하 VAP)의 원인균 동정의 표준적인 방법으로는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검체보호솔질법(protected specimen brush, 이하 PSB)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PSB가 고가이고 국내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VAP의 진단에는 PSB외에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이하 BAL)이 흔히 이용되나 호흡부전으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다량의 BAL을 시행하기 어렵고, 시술 후 환자 상태가 악화될 수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왕에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VAP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포함한 원인균의 동정 검사에 필요한 최소한의 BAL검체(25 ml) 만 채취하는 소량의 BAL(이하 miniBAL)을 시행하여 동일한 부위에서 시행한 PSB에 의한 세균 배양 검사 성적과 비교함으로써 miniBAL 검사의 진단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8월 31일까지 서울 중앙병원 성인 중환자실에서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연속적으로 VAP가 발생한 38명(41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61{\pm}14$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3.6:1 이었다. PSB는 단순 흉부사진상 병변이 심한 부위에서 시행하였고, 동일부위에서 miniBAL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였다. miniBAL은 생리식염수를 50 ml씩 투여하여 총 25 ml가 모일 때까지 세척을 반복하였다. VAP 원인균의 판정 기준은 PSB와 BAL을 통해 얻은 검체를 정량 배양법으로 배양한 뒤 PSB는 $10^3cfu/ml$ 이상, BAL은 $10^4cfu/ml$ 이상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25 ml BAL을 얻기 위해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주입한 생리 식염수의 양은 평균 $93{\pm}32ml$ 였다. PSB의 경우에는 총 41예 중 19예(46.3%), miniBAL의 경우 18예(43.9%)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 PSB와 miniBAL은 41예 중에서 35예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진단 일치율은 85.4%였다. VAP가 호전된 환자는 39명 중에서 19명(48.7%)이었고 miniBAL과 PSB를 통해 원인균이 발견된 환자들(12/19 명, 63.2%)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들(7/20명, 35%)에 비해 VAP 호전율은 높았으나 두 군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 검사 전, 검사 중 그리고 검사 후의 분당 평균 심 박동수는 각각 $111{\pm}22$회, $125{\pm}24$회, $111{\pm}26$회이었으며 동맥혈 산소분압은 각각 $97{\pm}3%$, $92{\pm}10%$, $95{\pm}3%$ 이었다. 검사 전파 검사 중의 심 박동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p<0.05) 검사 전과 검사 10분 후의 심 박동수는 차이가 없었다(p>0.5). 검사 전과 비교하여 검사 중과 (p<0.05) 검사 후의 (p<0.005)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검사 시행 중 저혈압 2예, 동맥 산소 분압의 저하 3 예의 부작용이 있었으나 검사 종료후 곧 회복되었고, 심방조동(atrial flutter)으로 l예에서 검사가 중단되었으나 8일 후에 문제 없이 miniBAL이 시행되었다. 결론: MiniBAL 배양검사의 결과는 PSB에 의한 결과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방법이므로 VAP 의 원인균 규명에 PSB와 고식적인 BAL을 대치할 수 있는 진단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기관지천식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기도염증정도의 연관성 (Relation of Interleukin-10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Airway Inflammation in Bronchial Asthma)

  • 이숙영;윤형규;신윤;이상학;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44-52
    • /
    • 1999
  • 연구배경: 기관지천식은 호산구성 기도내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데 호산구의 침윤에 관여하는 cytokine으로 T 림프구에서 분비되는 IL-3, IL-5, GM-CSF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한편 IL-10은 항염증성 cytokine으로 이러한 cytokine 분비를 억제할뿐만아니라, 호산구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자사(apoptosis)를 유도하고 조직내 첨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천식 환자에서의 기관지폐포세척액과 말초 혈액단핵세포에서 분비되는 IL-10을 정상대조군과 비교하고 기도내 염증반응정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기관지천식에서의 IL-10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기관지천식환자 23명, 정상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기관지폐포세척액내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고, 기도의 염증반응정도는 기관지세포세척액내 총세포수 및 호산구분율과 기관지 생검조직내 호산구 침윤정도, methacholine 기관지유발 검사에서 $PC_{20}$값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은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관지천식환자군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산구분율 및 기관지 조직내 침윤된 호산구수와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메타콜린에 대한 PC20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말초혈액내 호산구수나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기관지천식 환자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이나 기관지 조직내 호산구 침윤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정상대조군과 비교해서 IL-10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지천식에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IL-10이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사백산이 천식유발 백서에서 metrix metalloproteinase-9(MMP-9)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baek-san on the Metrix Metalloproteinase-9 in the Bronchial Asthma Mouse Model)

  • 이해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694-1698
    • /
    • 2004
  • We hop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baek-san for the bronchial asthma using assesment on the metrix metalloproteinase-9(MMP-9) after Sabaek-san was intravenously administered OVA-sensitized and -challenged mice. Seventy-two female mice, 8-10 weeks of age and free of murine specific pathogens, were used. Of the seventy-two mice, twenty-four mice were not sensitized and forty-eight mice were sensi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OVA. Of the sensitized mice, twenty-four mice didn't administrate Sabaek-san and twenty-four administrated Sabaek-san. Mice were sensitized on days 1 and 14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20 fig OVA. On days 21, 22 and 23 after the initial sensitization, the mice were challenged for 30 minutes with an aerosol of 1% OVA in saline. Sabaek-san administered 200㎎/㎏ in the tail of the mouse, one time per day, for 7 days, beginning 14 days after first sensitization. Bronchoalveolar lavage was performed 72 hours after the last challenge, and total cell numbers in the BAL fluid were count. Also, level of MMP-9 in the BAL fluid were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s and Western blot analysis. Enzyme immunoassay revealed that MMP-9 levels in the BAL fluids significantly increased 72 h after OVA inhalation compared with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fter administration of the Sabaek-san, the levels of the MMP-9 in BAL fluids 72 h after OVA inhalation reduced dramatically.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MMP-9 levels increased in the all mice which were challenge with OVA without administered Sabaek-san compared the normal mouse. However, in the groups of the administered Sabaek-san, the MMP-9 level markedly decreased. Sabaek-san might be effect the treatment of the bronchial asthma as a inhibition of the MMP-9.

시멘트 분진이 랫드의 폐장병변 및 폐포 macrophage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pulmonary lesions and the function of alveolar macrophage in the rats exposed to cement dust)

  • 강신석;강종구;정재황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56
    • /
    • 1998
  • Thes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ulmonary lesions and the function of alveolar macrophages in rats exposed to cement dusts. 1. The number of total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 increased remarkably in 1st month. As time goes by, tend to less and less in numbers. 2. The number of neutrophil and lymphocytes obtaining from the total cell of BAL increased remarkably in first month, but as time goes by, they tended to grow less and less in number. Macrophages decreased gradually after being temporarily augmentation. 3. Histipathologically, the thickening of alveolar walls, alveolar interstitial, and infiltrated macrophages containing cement du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