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DAEGAN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2초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4
  •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05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악산국립공원에 속하는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6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 굴참나무-소나무-신갈나무군집 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조록싸리와 잣나무, 쇠 물푸레나무와 진달래 , 고로쇠나무와 병 꽃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노린재나무와 쇠물푸레,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9066\~1.0821$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다.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백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78
    • /
    • 2002
  • 백두대간 태백산지역의 백천계곡에 대해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5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기법을 활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락(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 당단풍-신갈나무군락(III), 박달나무-당단풍군락(IV), 그리고 층층나무군락(V)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 분석을 통하여 식생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백천계곡의 임령은 소나무림이 50~75년. 신갈나무림이 40년 내외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11.1$\pm$2.2종, 평균출현개체수는 74.6$\pm$28.1주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포함한 이상의 결과로 식생천이를 예측한 결과 백천계곡은 소나무에서 신갈나무를 거쳐 층층나무, 박달나무 등의 활엽수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Jilmoi Wetlands to the Donghae Observatory, Baekdudaegan Mountains

  • Choi, Jin-Woo;Kim, Kyung-Won;Yeum, Jung-Hun;Hwang, Won-Seo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0-26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sectin stretching between the Jilmoi wetlands and the Donghae Observatory and to set the criteria for the basic data for a management plan including restoration afterwards. 12 plots($10m{\times}40m$, $20m{\times}20m$) were set up to analys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ordination by DCA, importance percentage and property,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growth increments of major woody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l analyzed. Veget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ommunity III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The P. densiflora community declined when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an understory layer in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both canopy and understory layers in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 P. densiflora declined and it was assumed to succeed to F. rhynchophylla or T. amurensis through Q. mongolica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of small and middle sized trees. The age of P. densiflora was between 47 to 51 years old and Q. mongolica was 61years old. T. amurensis was 61 years old and the growth of Q. mongolica slowed a little. As the result of Shannon's index of species diversity, community I ranged from 0.9578 to 1.1862, community II ranged from 0.7904 to 1.2286 and community III ranged from 0.8701 to 1.032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were low compared to uncultivated mountain soil and it were analysed to be inappropriate for tree growth.

백두대간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n Sobaeksan National Park in the Baekdudaegan)

  • 윤주완;정성철;구교상;이중효;윤충원;주성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0-637
    • /
    • 2010
  •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09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 청시닥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1개 군락군, 5개 군락, 4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식생단위 분포는 해발고와 지형에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한 등산로 훼손요인 분석: 고루포기산~생계령 대상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king Trail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cus on Golupogisan~Saenggyelyeong)

  • 최태헌;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78-4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을 선정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백두대간 고루포기산~생계령 구간 내 표본지 총 123개소이며 등산로 훼손, 임상, 하층식생, 수관밀도와 FGIS를 통해 얻은 경사, 토성, 암석노출 총 7가지 정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등산로 훼손 발생지 43곳과 미발생지 80곳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으로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총 4가지를 선정하였다. 경사도와 하층식생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암석노출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토성은 미사 비율이 낮고 모래 비율이 높은 토성일수록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등산로 훼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4가지 자연환경요인들을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Vascular plant diversity of the Gogunsan Archipelago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Jung-Hyun;An, Ji-Hong;Nam, Gi-Heum;Park, Hwan-Joon;Kim, Jin-Seok;Lee, Byoung Yoon;Lee, Kyeong-Ui;Chang, Yeon-S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36-159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ix islands belonging to the Gogunsan Archipelago (i.e., Sinsi-do, Seonyu-do, Munyeo-do, Yami-do, Bian-do, and Duri-do) in the Korean Peninsula. As results of five field surve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6, we have identified 575 total taxa, representing 527 species, five subspecies, 42 varieties, and one hybrid, placed in 358 genera and 118 families. Of these 575 taxa, four are endemic to Korea, six taxa are listed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67 ar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74 are invasive alien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species richness among the islands, and find that the larger the islands, the higher the species richness. In the case of habitat affinity types, forest specie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farmland, seacoast, bare ground and wetland species. From similarity analyse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vascular plants, each island did not exhibit either local specificity or unique diversity. On the contrary, the proportion of invasive alien and ruderal species may increase by human activities. Investigations and analyses of island flora such as this are important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flora, predict future vegetation patterns and the spread of the alien species, and establish managment plans of plant diversity.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subalpine broad-leaved tree species, Betula ermanii Cham. under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 Shin, Sookyung;Dang, Ji-Hee;Kim, Jung-Hyun;Han, Jeong 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246-254
    • /
    • 2021
  • Subalpine and alpine ecosystem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temperature increases. Betula ermanii Cham. (Betulaceae) is a dominant broad-leaved tree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and is designated as a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B. ermanii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 conditions in South Korea using the MaxEnt model.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howed an excellent fit (AUC=0.99). Among the climatic variables, the most critical factors shaping B. ermanii distribu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ximum temperature of warmest month (Bio5; 64.8%) and annual mean temperature (Bio1; 20.3%). Current potential habitats were predicted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nd Mt. Hallasan, and the area of suitable habitat was 1531.52 km2, covering 1.57%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global warming, future climate scenarios have predicted a decrease in the suitable habitats for B. ermanii. Under RCP8.5-2070s, in particular, habitat with high potential was predicted only in several small areas in Gangwon-do, and the total area suitable for the species decreased by up to 97.3% compared to the current range. We conclude that the dominant factor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B. ermanii is temperature and that future temperature rises will increase the vulnerability of this species.

해변취의 실체: 큰각시취/각시취와의 관계 (Taxonomic entity of Saussurea taquetii (Asteraceae) compared with S. japonica and S. pulchella)

  • 선은미;윤선아;김승철;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8-385
    • /
    • 2021
  • 제주도에서 보고된 해변취는 일반적으로 큰각시취의 이명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한반도의 큰각시취와는 다른 식물이라는 견해가 상존한다. 큰각시취는 총포편의 선단에 옅은 보라색의 건막질 부속체가 있는 이년생 초본으로 취나물속의 깃분취아절(sect. Theodore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 유사한 분류군인 각시취와 함께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변취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도의 해변취 자생지와 일본 규슈의 큰각시취 자생지에서 채집 및 조사를 하였다. 형태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채집된 표본과 국립수목원(KH), 전남대학교 표본실(CNU), 토쿄대학 표본실(TI) 소장 큰각시취 및 각시취 표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해변취는 일본 규슈의 큰각시취와 형태적 및 생태적으로 구별되지 않아서 큰각시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식물종의 분포에 있어서 기존 견해와 달리 한반도에는 각시취만 분포하며, 제주도에는 큰각시취만 분포한다.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of the endangered Siberian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Rodentia: Sciuridae)

  • Lim, Sang Jin;Kim, Ki Yoon;Kim, Eui Kyeong;Han, Chang Wook;Park, Yung 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163-169
    • /
    • 2021
  • Background: Understanding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iberian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is the first step in conserving and managing the forests it requires for nesting, gliding, and feeding.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characterized the habitats of P. volans using GIS analysis of 411 forest sites in South Korea where fecal droppings were found. Results: Fecal signs of P. volans were found in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Baekdudaegan Mountains. GIS analysis with six environmental layers (vegetation type, wood-age class,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crown density, elevation, and distance from stream) revealed that fecal signs of P. volan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42%) located 200-399 m above sea level (43.1%) and 0-199 m from the nearest stream (53%), with 5th class wood-age (35.3%), middle size class DBH (51.1%), and high crown density (71%).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iotic and abiotic characteristics of P. volans habitats. In South Korea, the fecal droppings of P. volans were found predominantly old deciduous broadleaf fores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reveal whether the more frequent occurrence of P. volans dropping in broadleaf forests may be due to a particular preference of this species for the forests or to a simple reflection of the area of the broadleaf forests occupying a much larger area than other forest typ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