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AMSA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입암산과 백암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Ibamsan Mt. and Baekamsan Mt.)

  • 선은미;손현덕;박성배;김우남;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55
    • /
    • 2020
  • 전라남도 장성군과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에 위치한 입암산과 백암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1990년 이후 채집되어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에 수장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입암산과 백암산에서는 116과 403속 687종 16아종 58변종 8품종의 총 7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로는 매미꽃, 변산바람꽃 등 총 24분류군이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애기천마, 노랑붓꽃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II급 식물인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14종의 적색목록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멸종위기(endangered species, EN) 범주의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애기천마와 취약(vulnerable, VU) 범주의 백양꽃, 노랑붓꽃, 꼬마은난초, 꼬리말발도리가 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V등급종인 노랑붓꽃 등 4분류군, IV등급종인 털조장나무 등 9분류군, III등급종인 산꽃고사리삼 등 28분류군, II등급종인 피나물 등 22분류군, I등급종인 홍지네고사리 등 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과 미국쑥부쟁이를 포함하여 총 14과 35속 37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 민진홍;류진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1
    • /
    • 2013
  • 국내 자연환경의 효모 균총을 확인함으로써 유용한 효모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전 계족산, 충남 오서산 그리고 전북 백암산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이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전의 계족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에 속하는 1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충남의 오서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의 효모들 17균주를 분리하였다. 또한 전북 백암산의 야생화로부터 모두 24종에 속하는 38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계족산, 오서산, 그리고 백암산에서 모두 발견된 효모는 Cryptococcus 속, Pseudozygoma 속, Rhodotorula 속, Sporobolomyces 속에 속하는 9종의 효모들이었다. 특히 3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화들로부터 Cryptococcus 속에 속하는 Cryptococcus aureus만이 모두 분리되었는데, 이 결과는 각 지역마다 독특한 효모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낙동정맥 성시골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 이수동;김동욱;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8-388
    • /
    • 2011
  • 낙동정맥 구간 중 성시골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9km 구간을 대상으로 $10m{\times}10m$($100m^2$) 방형구34개소를 설치하여 주요 환경인자 및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낙동정맥 성시골 지역의 식물군락은 소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단위면적($100m^2$)당 군락별 평균 출현 종수는 8.5~10.5종이었고, 출현 개체수는 평균 27.5~175.6개체이었다. 종다양도지수는0.6061~0.8736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이 가장 낮았고 박달나무군락이 가장 높았다. 유사도지수는 10.03~39.72로비교적 낮았으며 소나무군락 및 신갈나무군락과 일본잎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