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AG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3D Simul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Using Locally Variable Time-Step Finite-Difference Method

  • Kang, Tae-Seob;Baag, Chang-Eob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18
    • /
    • 2003
  •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simul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is performed using a locally variable time-step (LVTS) scheme matching with discontinuous grids. Discontinuous grids in three directions and extension of the discontinuous grids' boundary to the free-surface in the LVTS scheme minimize the cost of both the computational memory and the CPU time for models like the localized sedimentary basin. A simplified model of sedimentary basin is dealt to show the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LVTS scheme. The basin parameters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n ground-motion response in the basin. The results show that the seismic energy is concentrated on a marginal area of the basin far from the source. This focusing effect is mainly due to the constructive interference of the direct S-wave with the basin-edge induced surface waves. The ground-motion amplification over the deepest part of the basin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above the shallow basin edge. Therefore the ground-motion amplification may be more related to the source azimuth or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waves into the basin rather than the depth of it.

  • PDF

A Study on the Seismic Damage Estimation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서울시 모델 구역 지진피해 추정 연구)

  • Yoon, Eui-Taek;Ryu, Hyeuk;Kang, Tae-Seob;Kim, Jae-Kwan;Baag, Chang-Eob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9 no.6 s.46
    • /
    • pp.41-52
    • /
    • 2005
  • The seismic damage assessment due io the postulated earthquake was attempted for the buildings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The model district was selected to represent the typical structural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Seoul City. The buildings in the model district were classified into 11 structural types. For each structural type, the capacity and fragility curves were constructed with parameters presented in HAZUS. The ground motions due to the postulated earthquakes were artificially generated and ground response analyses were done for three kinds of soil profiles classified with respect to the depth of surface soil layer. The probability of damage state of each structural type was calculated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and fragility curve. Finally, the calculated results were translated into GIS database and mapped to evaluate the seismic damage in the model district.

Imaging of Seismic Sources Using Time Reversal Wave Propagation (지진파 역행 전파를 이용한 지진원 영상화)

  • Sheen, Dong-Hoon;Baag, Chang-Eob;Hwang, Eui-Hong;Ryoo, Yong Gyu;Youn, Yong-Hoo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81-186
    • /
    • 2006
  • An imaging method of seismic sources using time-reversal wave propagation is presented. The method is based on the time-reversal invariance and the spatial reciprocity of the wave equation. Time-reversal wave propagation has been used to image anomalous features of a midium in medical imaging, non destructive testing and waveform tomography. Seismogram is the record whose energy is propagated from the seismic source. If time-reversed seismogram propagates back into the medium, seismic energy is concentrated at the origin time of the event and at the source location. In this work, a staggered-grid finite-difference method of the elastic wave equation is parallelized for 3-D wave propagation simulation. With numerical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time-reversal imaging will enable us to explore the spatio-temporal history of complex earthquake.

  • PDF

Synthetic Seismograms of Non-geometric S* and P* Waves Using the Reflectivity Method (반사도 기법에 의한 비기하적 S* 및 P* 파의 합성 계산)

  • Hong, Dong Hee;Baag, Chang Eob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3 no.4
    • /
    • pp.393-409
    • /
    • 1990
  • Synthetic seismograms and deduced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the non-geometrical $S^*$ and $P^*$ waves are presented. These waves are excited on the free surface or an interface between two different media by an inhomogeneous P wave from a point source nearby, and propagate as homogeneous waves in the media. Synthetic seismograms are computed using an extended reflectivity method designed for buried source and receiver. An efficient computational procedure for propagator matrices of layers is devis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and the RAM memory siz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flectivity method. Radiation patterns are obtained from the particle motions of the four types of the "*" waves, i.e., the $S^*$ wave generated near the free surface, and the reflected $S^*$, transmitted $S^*$ and transmitted $P^*$ waves generated near an interface. Some patterns show polarity changes of displacements and others reveal monotonic or non-monotonic variation of amplitude depending on the velocity structure. The decaying trend of amplitude with increasing epicentral distance are also shown for the head wave type of the "*" waves.

  • PDF

Aeromagnetic Interpretation of the Southern and Western Offshore Korea (한국 서남근해에 대한 항공자력탐사 해석)

  • Baag Czango;Baag Chang-Eob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2 no.2 s.3
    • /
    • pp.51-57
    • /
    • 1994
  • Analysis of the aeromagnetic data aquired by US Navy in the year 1969 permits us to predict a new sedimentary basin, Heugsan Basin, south of the known Gunsan Basin in Block Ⅱ. The basin appears to consist of three sub-basins trending NNW-SS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provide not only an independent assessment of the Gunsan Basin, but also new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tectonic origin and mechanism for the two basins as well as for the entire region. The basin forming tectonic style is interpreted as rhombochasm associated with double overstepped left-lateral wrench faults. From the magnetic evidence, a few NE-SW trending major onshore faults are extended to the study area. We also interpreted the nature of the faults to be left-lateral wrenches. This new gross structural style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ecent Yeongdong Basin analysis by Lee. The senses of fault movement are also supported by the paleomagnetic evidence that the Philippine Sea had experienced an 80-degree clockwise rotation since the Eocene. Based on a 2 $\frac{1}{2}$ model study the probable maximum thickness of the sediments in the Gunsan Basin is approximately 7500 meters. We believe that the new Heugsan Basin was left unidentified because a high velocity layer may be overlying the basin. Because the overall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Heugsan Basin appears to be favorable for hydrocarbon accumulation, a detailed airborne magnetic survey is recommended in the area in order to verify the magnetic expression of this thick basin. A detailed subsequent marine gravity survey is also recommended in order to delineate the sedimentary section and to acquire supplemental data to the magnetic method only if an overlying high velocity layer is confirmed. Otherwise a high energy source seismic survey may be more effective.

  • PDF

Interpretation of Aeromagnetic Anomal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Belt, Korea (옥천대 남서지역의 항공자력자료해석)

  • Baag Chang-Eob;Kang Taeseob;Lee Jung Mo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4 no.1_2 s.5
    • /
    • pp.20-26
    • /
    • 1996
  • In order to uncover the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in the southwestern rim of the Ogcheon Fold Belt including the Cretaceous Neungju Sedimentary Basin, we analysed and interpreted the aeromagnetic anomalies over the region. The study area belongs to Muan-gun, Yeongam-gun, Gangjin-gun, Jangheung-gun, and eastem Haenam-gun.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modeling of the reduced-to-the-pole magnetic anomalies, following things are revealed or suggested; Even though the porphyry of higher susceptibility is not crop out in the Donggang Myeon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t is supposed to have intruded the Precambrian gneiss and the Cretaceous Bulgugsa granite of lower susceptibility. Two-dimemsional modeling of profile data across the sedimentary basin of Neungiu Group reveals that the northern part of the basin is deeper than the southern part, and that the maximum depth of the basin is supposed to be $3\cal{km}$ below the surface. The western flank of the basin bottom is steeper than the eastern flank. The high susceptibility value of the Neungju Group sedimentary rocks indicates that the rocks comprises large amount of volcanic materials. This fact implies that it is hard to expect hydrocarbon reservoir in the sedimentary rocks of the Neungiu Basin.

  • PDF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by inverting the travel times of first-arrivals from large explosions (대규모 발파자료 초동주시 역산을 통한 한반도 지각 속도구조 연구)

  • Kim Ki Young;Hong Myung Ho;Lee Jung Mo;Moon Woo Il;Baag Chang Eob;Jung Hee Ok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03-107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elocity structur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xploded seismic signals were recorded for 120 s along a 294-km WNW-ESE line and 150 s along a 335-km NNW-SSE line in 2002 and 2004, respectively. Velocity tomograms were derived from inverting first arrival times. One-dimensional velocity models derived by joint analyses of teleseismic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 wave dispersion at several stations near the profiles were uesd to build initial models. The raypaths indicate several midcrust interfaces including ones at approximate depths of 2.0 and 14.9 km with refraction velocities of approximately 6.0 and 7.1 km/s, respectively. The deepest significant interface varies in depth from 30.8 km to 36.1 km. The critically refracting velocity varies from 7.8 to 8.1 km/s along this interface which may correspond to the Moho discontinuity. The velocity tomograms show (1) existence of a low-velocity zone centered at 6-7 km depth under the Okchon fold belt, (2) extension of the Yeongdon fault down to greater than 10 km, and (3) existence of high-velocity materials under the Gyeongsan basin whose thickness is less than 4.2 km.

  • PDF

새송이버섯의 절임전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 특성

  • 황성희;이예경;윤광섭;김순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17.1-117
    • /
    • 2003
  • 새송이 버섯은 맛과 향이 좋고 영양적으로 우수하여 성인병 예방과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재배농가의 급증으로 인한 가격하락과 집중출하로 신선도의 하락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새송이 버섯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버섯류 가공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절임식품을 응용한 새로운 버섯류 장류절임 가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절임 전 처리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먼저 절임 전처리 조건으로 블랜칭처리, 적정 염농도와 처리시간 및 탈염법을 개발하고 건조 등의 전처리에 따른 품질 평가는 수분함량, 염도, 색상, 조직감, 관능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새송이 버섯을 전처리하기 위한 블랜칭 처리조건은 7$0^{\circ}C$에서 10분간 처리한 구가 조직감이 우수하고 갈변이 적었으며 염 침지시간은 침지 72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증가하지 않았고 4$0^{\circ}C$에서 탈염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여 전처리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중량변화는 블랜칭 처리가 약 10% 정도 중량이 더 많았으며 이 영향은 건조 후에도 지속되었다. 수분함량도 블랜칭 처리가 높았으며 염도 또한 건조 처리에 따라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블랜칭 처리를 병행했을 경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의 강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전처리를 함에 따라 많은 힘이 소요되어 질긴 조직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관능평가 결과 블랜칭 처리를 단독으로 실시한 B(B)처리구가 관능적 특성치 모두 높은 값을 보여 전처리 방법으로는 가장 우수한 전처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저온 장시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지만 약간의 증감 경향을 보이다가 고른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산소 농도는 저온 장시간 처리 직후 급격히 저하된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저장 7일 후에는 4$0^{\circ}C$ 3시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처리 직후부터 저장 7일 후까지 고른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에틸렌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는 처리 직후 그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였다가 저장 1일 후부터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와는 달리 저장 1일 후부터 그 농도가 다소 상승되었다가 다시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열처리하여 냉각시킨 직후 및 저장1주 후 사과의 pH, 산도, 당도, 경도, 과육의 갈변도 등을 조사하였던 바 대조구 및 처리구간에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

  • PDF

최소가공 과일의 갈변저해를 위한 저해제의 탐색

  • 박연주;최소영;김영언;문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19.1-119
    • /
    • 2003
  • 단체 급식의 증가와 더불어 편의식품을 선호하는 소비 경향에 맞추어 최소가공한 과일의 갈변저해를 위한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과일은 배와 감으로 각각 박피하여 속심을 제거한 후 배는 8조각으로 절단하고 감은 1~2cm 두께로 slice 하였다. 저해제는 1% ascorbic acid, citric acid, NaCl, MgCl$_2$, CaCl$_2$, oxalic acid, EDTA, raffinose, salicylic acit, sporix를 사용하였다. 또한 열수 추출한 오약, 계피, 황기, 당기, 건칡, 진피, 천궁, 감초 등도 저해제로 사용하였다. 최소가공한 과일은 저해제에 3분간 침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tray에 포장하여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colorimeter를 이용하여 갈변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갈변 정도를 나타내는 $\Delta$E 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배의 경우 변화 정도가 크지 않았다. NaCl, MgCl$_2$, CaCl$_2$를 처리한 배의 갈변 정도가 가장 적었다. cysteine을 처리한 구에서는 황화합물 냄새가 났다. 또한 oxalic acid를 처리한 구에서는 연화가 빠르게 일어났으며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이 용출되었다. 한약재는 자체 색으로 인해 배의 색변화를 증가시켰으며 이취가 발생했다. 또한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가 빠르게 일어나 관능적으로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감에서는 CaCl$_2$, MgCl$_2$를 처리한 구에서 색의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cysteine은 색변화는 적었으나 배의 경우과 같이 이취가 발생하였다. 한약제는 계피와 진피를 처리한 감에서 색의 변화를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를 처리하였을 경우 당귀, 천문동을 처리한 구에서 효과를 보였다. oxalic acid는 갈변저해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의 용출이 증가하였으며 물성의 변화도 컸다. 또한 ZnCl$_2$를 처리한 구에서는 이취 발생과 수분 용출이 컸으며 색의 변화도 컸다.내었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와는 달리 저장 1일 후부터 그 농도가 다소 상승되었다가 다시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열처리하여 냉각시킨 직후 및 저장1주 후 사과의 pH, 산도, 당도, 경도, 과육의 갈변도 등을 조사하였던 바 대조구 및 처리구간에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

  • PDF

매실을 이용한 발효주 제조 연구

  • Jung, Ki-Tae;Joo, In-Ok;Ryu, Jung;Choi, Jung-Sik;Choi, Yo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5.2-146
    • /
    • 2003
  • 2002년 주류 소비량은 맥주 1,739,768㎘, 소주 793,854㎘, 청주 22,163㎘, 위스키 14,493㎘, 일반증류주 8,750㎘, 과실주 8,235㎘ 순으로 과실주의 소비량이 월등히 적다. 이와 같이 과실주의 소비량이 적은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과실주의 상품화가 미흡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실을 이용한 다양한 발효주를 제조 판매한다면 소비자의 선택의 폭도 넓힐 수 있고 소비량을 확대시키는 과실주 상품화에 기여하리라 본다. 매실은 우리나라의 전통과실로써 Ca와 K등 무기물의 함량이 매우 높은 알카리성 식품이고 구연산등 유기산 함량이 많아 피로회복에 매우 유용한 과실이다. 이러한 효능을 갖는 매실을 이용한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수 균주를 선발하고 과즙제조방법 및 첨가량, 당 종류, 질소원 및 농도, 아황산 첨가 등 적정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우수 발효 균주는 알코올 생성량이 9.5% 이상이고 맛과 향이 우수한 SC 10과 SC 34를 선발하였다. 과육을 mixer로 파쇄한 과즙 전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코을 발효에 좋았으며 적정 과즙첨가 농도는 50%이었다. 탄소원으로 꿀, 포도당, 설탕 중에서 설탕첨가가 알코올 생성량이 가장 많았다. 질소원은 (NH$_4$)$_2$SO$_4$이 가장 알코올 발효력이 우수하였으며 최적농도는 0.2%이었다. 아황산에 의한 살균효과는 인정되었으나 $Na_2$SO$_4$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발효 효모까지 사멸되어 발효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고 $Na_2$SO$_4$ 처리는 열처리와 같은 알코올 발효력을 보였다. 상자에 담아 저장할 때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111일 동안에 11.7%의 중량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5.6%의 중량감모만이 발생하여 약 50%의 중량감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배의 색깔이나 경도도 대비구 보다 우수하였다. 4. 배를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와 비닐로 포장하지 않고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를 비교할 때 11월~다음해 1월 까지는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2월부터는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배의 품질변화가 급격히 증가되어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가 신기술 투입시 보다 급속하게 나빠졌다.를 저장 25일 경과시까지 유지하였다. 수확 시 높은 품온을 갖고 있는 과일을 산지에서 예냉 처리를 한 후 저온 냉장차를 이용하여 유통한다면 관행 유통 구조보다 고품질의 포도를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는 완숙된 고 당도(12.0~15.0Bx)$^{\circ}$ 포도를 수확 한 즉시 예냉 처리하고 저온 유통한다면 보다 신선한 과일을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