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5G

검색결과 6,609건 처리시간 0.036초

미국으로부터 재도입된 한국 원산 콩 재래종의 Saponin 함량 변이 (Variation of Saponin Content in Korean Native Soybean Landraces Reintroduced from USA to Korea)

  • 장은규;박향민;황태영;김선림;정규화;;최유미;이명철;이정란;김홍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86-295
    • /
    • 2012
  • 2007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재도입된 한국 원산 재래종 콩 293점에 대한 종실 saponin의 함량의 변이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roup A saponin의 함량은 평균 484.9 ${\mu}g\;g^{-1}$으로 149.8~1279.0 ${\mu}g\;g^{-1}$의 범위이었고, group B saponin의 함량은 평균 3670.0 ${\mu}g\;g^{-1}$으로 2160.1~7868.6 ${\mu}\;g^{-1}$의 범위이었으며, 총 saponin 함량은 평균 4154.9 ${\mu}g\;g^{-1}$으로 2502.8~8764.0${\mu}g\;g^{-1}$의 범위이었다. 2. Gruop B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이 높은 5점은 IT226841, IT226761, IT226844, IT226826 및 IT22 8534이었고, 이중에서 IT226841이 group B saponin 함량이 7868.5 ${\mu}g\;g^{-1}$, 총 saponin 함량이 8764.0 ${\mu}g\;g^{-1]$로서 가장 높았다. 3. Group A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 간에(r=0.5119), 그리고 group A와 group B saponin 함량 간에(r=0.3708)는 정의 상관관계, group B와 총 saponin함량 간에(r=0.9876)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4. 수집지역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북한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5. 종실크기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소립종이 중립종과 대립종보다 높았고, 중립종과 대립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 검정색, 녹색 및 갈색의 종피색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취급 근로자들의 혈중 ZPP 농도 선별기준에 따른 정확도의 변화 (The change of validity of blood zinc protoporphyrin test by different cut-off level in lead workers)

  • 김용배;안현철;황보영;리갑수;이성수;안규동;이병국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741-751
    • /
    • 1997
  • Measurement of blood lead (PbB) and blood zinc protoporphyrin (ZPP) are most common biological indices to identify the individual at risk for excess or the health sequences by lead exposure. Because PbB is known most important and reliable index of lead exposure, PbB is often regarded as a gold standard to detect lead exposure. But in Korea PbB is a secondary test item of detailed health check-up with positive finding of screening test in most occasion. Our lead standard requires all lead workers to take annual heath-check twice a year for investigation of their health effect due to lead exposure. Blood ZPP is one of most important index to detect high lead absorption in lead workers as a screening test. Measurement of blood ZPP is known ,well to correlate with PbB in steady state of exposure in most lead workers and is often used as a primary screening test to detect high lead absorption of lead workers with the advantage of simplicity, easiness, portability and low cost. The current cut-off criteria of blood ZPP for further detailed health check-up is $100{\mu}g/d\ell$ which is supposed to match the level of $40{\mu}g/d\ell$ of PbB according to our standard. Authors tri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current criteria of cut-off level $(100{\mu}g/d\ell)$ of blood ZPP and possible another better cut-off level of it to detect the lead workers whose PbB level over $40{\mu}g/d\ell$. The subjects in our study were 212 male workers in three small scale storage battery industries. Blood ZPP, PbB and hemoglobin (Hb) were selected as the indices of lead expo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blood ZPP, PbB and Hb in lead workers were $79.5{\pm}46.7{\mu}g/d\ell,\;38.7{\pm}15.1{\mu}g/d\ell,\;and\;14.8{\pm}1.2g/d\ell$,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ZPP, PbB and Hb by industry (P<0.01). 2. The percents of lead workers whose blood ZPP were above $100{\mu}g/d\ell$ in the group of work duration below 1, 1-4, 5-9 and above 10 years were 8.6%, 17.2%, 47.6%, and 50.0%, respectively. The percents of lead workers whose PbB were above $40{\mu}g/d\ell$ in those were 31.4%, 40.4%, 71.4%, and 86.4%, respectively. 3. The percents of lead workers whose PbB were below $40{\mu}g/d\ell$, $40-59{\mu}g/d\ell$ and above $60{\mu}g/d\ell$ were 54.7%, 34.9% and 10.4%, respectively. Those of lead workers whose blood ZPP were below $100{\mu}g/d\ell$, $100-149{\mu}g/d\ell$ and above $150{\mu}g/d\ell$ were 79.2%, 13.7% and 7.1%, respectively. 4. Simple linear regression of PbB on blood ZP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nd as PbB was $40{\mu}g/d\ell$, blood ZPP was $82.1{\mu}g/d\ell$. 5. While th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lood ZPP test to detect lead workers with PbB eve. $40{\mu}g/d\ell$ were observed in the cut-off level of $50{\mu}g/d\ell$ and $100{\mu}g/d\ell$ of blood ZPP, respectively, the highest validity (sensitivity+specificity) of blood ZPP to detect lead workers with PbB over $40{\mu}g/d\ell$ was observed in the cut-off level of around $70{\mu}g/d\ell$ of blood ZPP. But even with optimal cut-off level of around $70{\mu}g/d\ell$ of blood ZPP, still 25.0% of false negative and 20.7% false positive lead workers were foun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reconsideration of current blood ZPP cut-off of our lead standard from $100{\mu}g/d\ell$ to somewhat lower level such as around $70{\mu}g/d\ell$ and the inclusion of PbB measurement as a primary screening test for lead workers was highly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lead workers.

  • PDF

자외선 B파 조사가 느타리버섯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V-B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 이진실;임정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6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V-B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Vitamin $D_2$ concentration, weight loss rate, color value, total plate count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irradiated oyster mushrooms were measured. UV-B irradiation at doses of $0\;kj/m^2$, $20\;kj/m^2$ and $40\;kj/m^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tamin $D_2$ concentrations from $0\;{\mu}g/g$ dry weight (control) to $85.87\;{\mu}g/g$ dw and $116.28\;{\mu}g/g$ dw, respectively, at 5% level. Rate of weight los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 (control) to 2.21% and 4.31% at $20\;kj/m^2$ and $40\;kj/m^2$ UV-B irradiation, respectively, at 5% level.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V-B irradiated groups, total plate c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0{\times}10^5$ (control) to $9.4{\times}10^3$ and $1.9{\times}10^3$at $20\;kj/m^2$ and $40\;kj/m^2$ of UV-B irradiation, respectively, at 5%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 valu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UV-B irradiated oyster mushrooms could be used as health promoting ingredients for many foods.

국내 한 도시의 실내 수영장 공기 및 수영장 인근의 실외 공기에서의 클로로포름 (CHLOROFORM IN THE AIR OF INDOOR SWIMMING POOLS AND THE OUTDOOR AIR NEAR THE SWIMMING POOLS IN A CITY OF KOREA)

  • 조완근;황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53-261
    • /
    • 1994
  •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살균된 수영장 물에 존재하는 크로로포름은 수영장에서 실내공기내에 존재하는 클로로포름 평균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영장 A에서는 28.0+-5.7$\mu\textrm{g}$/$m^3$ 그리고 수영장 B에서는 33.6+-6.6$\mu\textrm{g}$/$m^3$. 덧붓여, 수영장 A 및 B의 물에서 측정된 클로로포름 평균농도는 각각 23.9+-6.6$\mu\textrm{g}$/$m^3$ 및 19.5+-7.5$\mu\textrm{g}$/$m^3$이었다. 수영장 A 및 B 의 실내공기내에 존재하는 클로로포름 농도들은 살균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만을 사용한 수영장을 대상으로 측정한 외국의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결과보다 낮았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물속의 믈로로포름 농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태내었다(p=0.002 and $R^2$=0.42). 실내 공기 시료채취와 유사한 시간에 실외 공기 시료가 각각 수영장 A 와 B에 가까운 두개의 장소에서 채취되었따. 수영장 A 및 B 근처에서 측정된 실외 공기에서의 클롤로포름 평균 농도는 각각 0.41+-0.15$\mu\textrm{g}$/$m^3$ 및 0.16+-0.05$\mu\textrm{g}$/$m^3$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실외 공기 내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해외의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값들과 동등하거나 작게 나타났다. 전형적인 한 시간 수영동안 흡기되는 클로로포름 흡취량은 일인다 25.9$\mu\textrm{g}$ 으로 추산되었고, 이는 70Kg의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하여 0.37$\mu\textrm{g}$/Kg 에 해당되는 흡취량이다. 반면에, 일인이 하루에, 실외 공기 흡입으로 인한 클로로포름의 흡취량은 5.6$\mu\textrm{g}$ 으로 추산되었고, 이는 동일한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할 때, 0.08$\mu\textrm{g}$/Kg/day 에 해당한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Giant Embryo Mutant Induced by T-DNA Insertion in Rice

  • Park, Hee-Yeon;Qin, Yang;Sohn, Jae-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13-41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giant embryo rice 'P47JB-4-B-5-B'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P47', a mutant of 'Hwayoung' induced by T-DNA insertion, and 'Junam'. The grain appearance and chemical components of the embryo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a donor cultivar, 'Hwayoung'. The proportion of embryo weight to grain weight of 'P47 JB-4-B-5-B' was 2.2 times heavier (6.7%) than that (3.1%) of 'Hwayoun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75.81 mg/100 g) of 'P47JB-4-B-5-B' was 2.1 times higher than that of 'Hwayoung'. The GABA content in brown rice was 14.06 mg/100 g in 'P47JB-4-B-5-B' and 6.8 mg/100 g in 'Hwayoung'. Especially, the GABA content in brown rice of 'P47JB-4-B-5-B' remarkably increased (about 33 times from 1.48 mg to 44.81 mg/100 g) 2 days after germination. Continuous frequency distributions and transgressive segregation in embryo length and width were observed in the $F_2$ population of the cross between 'P47' and 'Cheongcheong', indicating that the giant embryo was controlled by quantitative trait loci. However, embryo length and width demonstrated high broad sense heritability, implying that giant embryonic traits could be selected in earlier generations in comparison with other quantitative traits.

메밀화분의 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len Grain Collected by Honey Bee, Apis mellifera)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이미경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1-268
    • /
    • 2017
  • 벌화분은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봄철에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 등 몇 종의 화분만 수집되어 생산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및 기호식품으로 재배면적이 계속 증가하는 메밀 화분을 가을 화분원으로 개발하고자 영양성분, 비타민, 미량원소, 항산화활성, 유리 아미노산 등을 평가하였다. 메밀화분의 일반성분은 수분 9.75%, 회분 5.18%, 조단백질 14.43%, 조지방 5.67%였다. 메밀화분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주로 분포하였으며, tryptophan, cystine, tyrosine 등은 소량 존재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C 13.74mg/100g, $B_3$ 6.62mg/100g, $B_1$ 1.26mg/100g, $B_2$ 0.53mg/100g 순으로 존재하였다. 미량원소 함량은 칼륨(K) 119.95mg/100g과 인(P) 962.77mg/100g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구리(Cu)와 아연(Zn)은 각각 0.46mg/100g, 1.59mg/100g으로 소량 존재하였다. 메밀화분의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500{\mu}g/ml$ 에서 8.1%이었으며, 총페놀함량은 mg당 $2.25{\mu}g$이었다. 메밀화분은 조단백질, 조지방 등 영양성분이 모두 존재하였으며, 아미노산도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하여 18종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또한 비타민도 C, $B_3$, $B_1$, $B_2$ 분포하였으며, 항산화 활성도 우수하여 가을 화분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양조건이 Bacillus subtilis 융합주의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P)$ 활성에 미치는 영향 (Culture Characteristics on the Activity of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P)$ by Bacillus subtilis Fusant)

  • 김관필;김성호;정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5-402
    • /
    • 2001
  • Bacillus subtilis 돌연변이주 중 ${\gamma}-GTP$활성이 높은 SM-2와 SM-10을 융합시켜 획득한 융합주 중 ${\gamma}-GTP$활성이 높은 융합주 FG-21의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융합주 FG-21에 의한 ${\gamma}-GTP$의 생산은 1% glycerol, 1% peptone, 0.1% citric acid, 5 mM $K_2HPO_4$, 1 mM $FeCl_3$, 1 mM $MgCl_2$, 1 mM $NH_4Cl$, pH 7.0의 배지에 의해 $37^{\circ}C$에서 36시간 배양했을 때 621 U/mL으로 최대한 활성을 보였다. 융합주 FG-21이 생산한 biopolymer A가 단백질함량이 38.4%이고 B. subtilis K-1이 생산하는 biopolymer B의 단백질함량은 19.3%로 융합주 FG-21이 생산하는 Biopolymer A보다 함량이 낮았다. 융합주 FG-21의 biopolymer가 모균주의 biopolymer B보다 단백질함량이 높은 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gamma}-GTP$활성이 높아서 생성된 PGA가 levan보다 함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총당함량은 biopolymer A가 58.5%, biopolymer B가 76.5%로 나타났다. 융합주 FG-21과 모균주가 생산하는 biopolymer의 단백질함량과 총당함량비는 융합주 FG-21이 생성한 biopolymer는 38 : 59. 모균주가 생산한 biopolymer B는 19 : 78의 비율이었고 HPLC 분석에 의한 biopolymer A와 B의 fructose함량은 각각 537.7 mg/g biopolymer, 764.4 mg/g biopolymer으로 나타났다. Biopolymer A와 B의 glutamic acid함량은 각각 163.7 mg/g, 94.3 mg/g이었다. Biopolymer A와 B의 fructose와 glutamic acid의 함량비는 각각 78 : 22, 89 : 11의 비로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융합주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는 모균주보다 구성상태가 변화된 biopolymer를 생산한 것으로 판단되어 fusion과 같은 균주개량을 통하여 물질의 구성적, 물질적 변화된 biopolymer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인삼(人蔘)의 가공방법(加工方法)에 따른 Vitamin B 군(群)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Stability of B-Vitamins in Processing Methods of Ginseng)

  • 최진호;박길동;성현순;이광승;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12
    • /
    • 1982
  • B-vitamin contents in ginsengs ranged from 55.9 to 65.5 r/g and from 13.2 to 14.5 r/g for niacin and niacin amide, from 4.9 to 5.4 mr/g for cobalamine, and from 3.9 to 8.2 r/g and from 6.9 to 8.2 r/g for riboflavin and thiamine regardless processing. Especially, cobalamine was detected in ginseng.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B-vitamins somewhat decreased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s, washing-dried and steaming-dried of fresh ginseng. Niacin, niacin amide and cobalamine decreased by $6{\sim}9%$. Therefore, it is approved that B-vitamins were stable in processing methods.

  • PDF

5G 이동통신용 고정 무선링크 기술동향 (Technical Trends of Fixed Wireless Link for 5G Mobile Communications)

  • 강민수;김봉수;김광선;홍주연;이영승;김중빈;변우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3호
    • /
    • pp.95-104
    • /
    • 2015
  • 모바일 빅뱅이라고 불리는 모바일 데이터 전송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촉발된 5G 이동통신에 대한 논의는 현재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communication)에서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비전에 대한 직업을 진행 중이다. 5G 이동통신의 면적당 전송용량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소형셀 형태로의 진화는 필연적이다. 본고에서는 5G 이동통신망 구성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정 무선링크 기술에 대한 개발동향을 소개한다. 고정 무선링크에 대한 사용 용도, 시장전망 그리고 현재 고정 무선링크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주파수 분배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고정 무선링크와 관련하여 시스템에 적용 중인 기술들과 새롭게 연구 중인 LOS(Light of Sight)-MIMO(Multi-Input Multi-Output),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등 관련 기술에 대한 개발동향을 소개한다.

  • PDF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 있어서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한 Purified-Protein-Derivative와 Lipoarabinomannan-B에 대한 Immunoglobulin G 항체의 진단적 가치에 관한 연구 (Immunoglobin G Antibodies to Purified-Protein-Derivative and Lipoarabinomannan-B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 문태훈;조철호;곽승민;김진주;조상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55-464
    • /
    • 1995
  • 연구배경: 인체의 결핵균 감염에 대하여 체액성 면역과 세포 매개성 면역이 함께 관여하며 효소결합 면역 분석법으로 결핵균 항원에 대한 항체(IgG)를 측정하는 것은 결핵성 흉막염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방법: 1992년 5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인하대학교 인하병원에 흉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자 중 원인이 확진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 40예, 비결핵성 흉막염 환자 19예를 대상으로 하여 혈청 및 흉막액에서 PPD 항원과 LAM-B 항원에 대한 IgG 항체가의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1) 결핵성 흉막염군의 흉막액 및 혈청내 PPD와 LAM-B 항체가는 비결핵성 흉악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05) 2) 혈청내 PPD와 LAM-B 항체가는 흉막액내 항체가 보다 높았다. 3) PPD와 LAM-B에 대한 흉막액 항체와 혈청 항체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흉막액 PPD 항체의 결핵성 흉막염 진단기준을 0.091로 할 경우 진단적 예민도는 55.0%, 94.7%를 나타내었다. 5) 흉막액 LAM-B 항체의 결핵성 흉막염 진단기준을 0.337로 할 경우 진단적 예민도는 50.0%, 특이도는 94.7%를 나타내었다. 5)결핵성 흉막염군의 진단 양성률은 PPD 피부반응 검사, 흉막액의 양, 활동성 폐결핵 동반여부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결론: PPD와 LAM-B에 대한 IgG 측정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PPD와 LAM-B에 대한 IgG는 수동적으로 흉막조직을 통해 혈청에서 흉막액으로 이동함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