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P.F nois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다익 송풍기의 이산 주파수 소음 저감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reduction of B.P.F. noise level of multi-blade fan)

  • 김영찬;이상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67-175
    • /
    • 1999
  • B.P.F.(Blade Passing Frequency) levels were measured with the cut-off clearance changes. The velocity inside the scroll, pressure fluctuation at cut-off region, and the scroll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along the scroll from the cut-off to outlet were measured. With a certain cut-off clearance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attenuation of B.P.F. noise level could be achieved. The measured results of pressure fluctuation and scroll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showed that the secondary flow inside the scroll increased B.P.F. noise level at the cut-off region as the cut-off clearance got wide.

  • PDF

WDM-PON 시스템을 위한 저가격 상호 주입 잠김 F-P LD (Cost Effective Mutual Injection Locked F-P LD for WDM-PON System)

  • 황지홍;이혁재;박준모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62-16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엄밀한 수학 없이 상호 주임 잠김에 대한 정성적 이해를 시도하였고, 제안하는 상호 주입 잠김 광원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두 개의 unpolarized Fabry-Perot Laser Diode (F-P LD)를 이용한 상호 주입 잠김 기반의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용 저가격 광원을 구현하였다. 한 쪽 F-P LD의 파장 변화에 대한 RIN (Relative Intensity Noise) 특성을 측정하였는데, 가변 파장의 범위가 2.07 nm일 때 최소 -110 dB/Hz의 RIN을 보여주었다.

High Performance Millimeter-Wave Image Reject Low-Noise Amplifier Using Inter-stage Tunable Resonators

  • Kim, Jihoon;Kwon, Youngwoo
    • ETRI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510-513
    • /
    • 2014
  • A Q-band pHEMT image-rejection low-noise amplifier (IR-LNA) is presented using inter-stage tunable resonators. The inter-stage L-C resonators can maximize an image rejection by functioning as inter-stage matching circuits at an operating frequency ($F_{OP}$) and short circuits at an image frequency ($F_{IM}$). In addition, it also brings more wideband image rejection than conventional notch filters. Moreover, tunable varactors in L-C resonators not only compensate for the mismatch of an image frequency induced by the process variation or model error but can also change the image frequency according to a required RF frequency. The implemented pHEMT IR-LNA shows 54.3 dB maximum image rejection ratio (IRR). By changing the varactor bias, the image frequency shifts from 27 GHz to 37 GHz with over 40 dB IRR, a 19.1 dB to 17.6 dB peak gain, and 3.2 dB to 4.3 dB noise figure.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it shows the highest IRR and $F_{IM}/F_{OP}$ of the reported millimeter/quasi-millimeter wave IR-LNAs.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The evaluate the usefulness of various CT kernel applications by PET/CT attenuation correction)

  • 이재영;성용준;윤석환;박찬록;이홍재;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1권2호
    • /
    • pp.37-43
    • /
    • 2017
  • PET/CT 영상 재구성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영상재구성에 적용한다. 감쇠보정 맵의 CT parameter을 변경하여 PET/CT 영상 재구성 할 때 적용하여 SUVmax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장비는 Biograph mCT 64를 사용하였고 Phantom은 NEMA IEC Body Phantom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환자는 2017년 2월에서 3월까지 본원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Lung, Liver, Bone에 관심영역을 선택하여 기존 08f AC, 45f medium, 80f ultra sharp 방식의 CT kernel을 적용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PET/CT 영상 재구성에 도입 후 방사능 농도(kBq/mL), SUVmax, SD(standard deviation)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Phantom 방사능 농도 측정 결과 B08f AC 대비 B45f 0.96%, B80f 6.58% 증가하였고 B08f AC 대비 B45f 0.86%, B80f 6.54%각각 증가하였고, SD의 경우 B08f AC 대비 B45f 1.27%, B80f 6.96% 증가하였다. 환자에서 부위별 SUV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1.6%, B80f 6.6%,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0.7%, B80f 4.7%,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1.3%, B80f 6.2%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 SD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6.2%, B80f 15.4%,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2.1%, B80f 11%,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를 사용할 때 2.3%, B80f 14.7% 증가를 보였다. CT Kernel변화에 따라 sharpness noise와 영상의 질은 변화를 보였으나 SUVmax와 SD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핵의학 영상은 정량적인 평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부위에 따라 CT kernel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noise level이 낮은 감쇠보정 맵을 사용하여 PET/CT 재구성시에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에 오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므로 따라서 같은 부위라 할지라도 sharpness noise가 인위적으로 증가된 kernel을 사용하는 것보다 noise가 낮은 kernel을 사용하는 것이 SD편차를 줄이고 정량적인 평가에 오류를 적게 하여 정확한 진단과 SUV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호주입 잠김 F-P LD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가변 파장 광원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a wavelength tunable source according to temperature variations in a Mutually Injected F-P LD)

  • 황지홍;오영국;이혁재;이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9-101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두개의 Unpolarized F-P LD를 이용한 상호주입 잠김 기반의 파장 가변 광원을 구현하였고,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온도 변화에 따라 파장의 가변 범위가 최대 약 2nm이고, 상대적 밀도 잡음(RIN)는 최저 -110dB/Hz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상대적 밀도 잡음(RIN)는 높아지고, Eye Pattern에 Beating Noise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F.R.P 재료 보강에 의한 신개념 중량충격음 저감대책 (Heavy-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of Concrete Slab Reinforcement Using F.R.P)

  • 정정호;유승엽;이평직;전진용;조아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83-386
    • /
    • 2005
  • Low frequency heavy-weight impact noise is the most irritating noise in Korean high-rise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buildings. This low frequency noise is generated by foot traffic due to the fact that Koreans do not wear shoes at home. The transmission of the noise is facilitated by a load bearing wall structural system without beams and columns which is used in these buildings. In order to control low frequency heavy-weight impact noise, floating floors using isolation materials such as glass-wool mat and poly-urethane mat are us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ontrol low frequency heavy-weight impact sound using isolation material. In this study, reinforcement of concrete slab using beams and plate was conducted. Using the FEM analysis, the effect of concrete slab reinforcement using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on the bang machine impact vibration acceleration level and sound were conducted at the standard floor impact sound test building. The $3{\sim}4dB$ floor impact vibration acceleration level an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were reduced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slabs were changed.

  • PDF

Si 종형 Hall 소자의 동작과 잡음 특성 (Noise and Operating Properties of Si Vertical Hall Device)

  • 류지구;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890-1896
    • /
    • 2008
  • 본 연구는 칩 표면에 수평 한 자기장을 검출하는 종형 Hall 소자를 바이폴라 기술로 제조하여 동작 및 잡음 특성을 조사하였다. P+ Isolation 댐을 설치한 소자(type B)가 설치하지 않는 소자(type A)보다 자기 감도는 약 1.2배 증가하였고, 역시 잡음도 증가하였다. 측정된 이 종형 Hall소자의 자기 검출 분해능은 f=1[KHz], 대역폭 1[Hz] 구동조건에서 type A는 약 $0.97[{\mu}T]$, type B는 $1.25[{\mu}T]$였다. 따라서 Hall 소자 구조 설계나 재료적인 면에서 볼 때, 낮은 잡음즉, 자기 검출분해능과 높은 감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0.25 ${\mu}m$ T형 게이트 P-HEMT 제작 및 특성 평가와 MMIC 저잡음 증폭기에 응용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0.25 ${\mu}m$ T-shaped gate P-HEMT and its application for MMIC low noise amplifier)

  • 김병규;김영진;정윤하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호
    • /
    • pp.38-4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0.25${\mu}m$ T형 게이트 P-HEMT의 제작 및 특성 평가를 하였고, 제작된 P-HEMT를 X-밴드용 3단 MMIC 저잡음 증폭기 설계에 응용하였다.제작된 P-HEMT의 DC 특성은 최대 외인정 전달 컨덕턴스가 400mS/mm이고, 최대 드레인 전류는 400mA/mm이었다. RF 및 잡음 특성은 전류 이등 차단 주파수($f_T$)가 65GHz이고, 주파수 9GHz에서 최소 잡음 지수는 0.7dB, 관련 이득은 14.8dB이었다. 이때의 바이어스 조건은 Vds가 2V이고, Ids는 60%Idss이었다. 저잡음 증폭기 설계에 있어서, 회로 Topology는 인덕턴스 직렬 궤환(Series Feedback)으로 쇼토 스터브(Short Stub)를 사용하였다. 이때 최적의 쇼트 스터브 길이를 찾기 위해, 직렬 궤환에 의한 잡음 지수와 이득 특성,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계된 회로의 특성은 주파수 8.9-9.5GHz에서 이득이 33dB이상, 잡음 지수가 1.2dB이하, 그리고 입출력 반사 계수가 각각 15dB와 14dB이하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작된 소자가 고이득 X-밴드용 저잡음 증록기에 매우 적합한 소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SM 휴대폰 TDMA 잡음 전달 특성 분석을 통한 통화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QoS through Analyz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DMA Noise in the GSM Mobile Set)

  • 하정욱;오태훈;강진석;윤영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70-47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휴대폰에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잡음의 원인 및 TDMA 잡음원의 판별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TDMA 잡음의 원인은 Rf(Radio Frequency) 에너지 결합과 버스트 리플(Burst ripple)에 의한 저주파 에너지 결합으로 구성된다. TDMA 잡음원의 판별 방법을 출력(TDMA 잡음 측정)과 시스템(오디오 경로)의 주파수 응답을 통해 제안한다. 특히 RF 에너지 결합에 대해 삽입 손실($S_{21}$) 분석 방법과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RF 에너지 결합을 줄이기 위해 커패시터(40 pF)가 해결법이고, 결과적으로 TDMA 잡음이 10 dB가 줄어들었다.

FMCW 레이더용 W-대역 단일칩 수신기 MMIC (W-band Single-chip Receiver MMIC for FMCW Radar)

  • 이석철;김영민;이상호;이기홍;김완식;정진호;권영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0호
    • /
    • pp.159-16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0.15{\mu}m$ GaAs pHEMT 기술을 이용하여 FMCW(Frequency-modulated continuous-wave) 레이더용 W-band 단일칩 수신기 MMIC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수신기는 4 단 저잡음 증폭기, 하향 변환 혼합기, 3 단 LO 버퍼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의 저잡음 특성과 선형성 향상을 위해 저잡음 증폭기의 성능을 최적화시켰다. 혼합기는 선형성 특성 및 낮은 IF 주파수에서 저잡음 특성을 위하여 저항성 혼합기로 설계하였다. W-대역에서 혼합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LO 입력이 요구되므로 추가적인 LO 버퍼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단일칩 수신기의 측정 결과, RF 주파수 $f_0$ GHz, LO 입력 전력 -1 dBm, 그리고, IF 주파수 100 MHz에서, 6.2 dB의 변환 이득, 5.0 dB의 잡음 지수, 그리고, -12.8 dBm의 1-dB 이득 감쇄 입력 전력($P_{1dB,in}$) 등의 우수한 특성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