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thuringiensis serotyp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stics of Thirty-Six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and a New Serovar of B. thuringiensis subsp. kim (Serotype H52)

  • Kim, Soo-Young;Kang, Min-Ho;Choi, Hee-Baeg;Lee, Jee-Un;Charles, Jean Francois;Dumanoir, Veronique Cosmao;Lecadet, Marguerite M.;Lee, Hyung-Ho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534-540
    • /
    • 1999
  • Thirty-seven stra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were isolated from Korean soil and examined for H-antigen serotyping, toxicity, and different spectra of biological activities. The isolate HL-175 bore a specific H-antigen, different from the 51 known serotypes, a spherical $\delta$-endotoxin crystal, and minor different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t was resistant to ampicillin, colistin, and penicillin G. Therefore, it was classified as a new serotype, H52, with the name kim. The other 36 isolates also produced endotoxin crystals and endospores. The crystal shape of eight strains was cuboidal while the others were bipyramidal.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only slightly different from the known serotypes of B. thuringiensis. The flagellar (H) antigens of the 36 isolates were identified as: one colmeri (H21), three galleriae (H5a,5b); two pakistani (H13); one toumanoffi (H11a, 11b); and twenty-nine kurstaki (H3a,3b). All 36 isolate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olistin, penicillin, cephalothin, and chloramphenicol.

  • PDF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thuringiensi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 HL-15 from Korean soil)

  • 이형환;박미연;이창운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5-183
    • /
    • 1986
  • The isolate HL-15 of Bacillus thuringiensis had comm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23 serovarieties of B. thuringiensis. The isolates formed round endotoxin crystals which killed insect larvae, showed independent serological H antigen to the 23 serotypes, and contained two defferect DNA elements with over 100 Mdaltons of molecular weights.

  • PDF

Bacillus thuringiensis, 19 혈청형의 세포외 $\alpha$-Amylase 생산 검색 (Examination of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alpha$-Amylase by Bacillus thuringiensis, 19 serotypes)

  • 이건주;박동왕;이형환;이영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48-351
    • /
    • 1988
  • Bacillus thuringiensis, 19 serovars가 $\alpha$-amylase를 생산하는지를 검색했다. 각 균주를 soluble starch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iodine 용액으로 확인한 결과 B. thuringiensis serovar thuringiensis alesti, kurstaki, sotto, kenya, entomocidus, morrisoni, tolworthi, toumanoffi, thompsoni, pakistani, israelensis와 indiana는 아밀라제를 생산하였으며, 이중에서 serovar. thuringiensis가 생산을 제일 많이 했고, serovar. alesti와 tollworthi는 제일 낮았다. B.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가 생산하는 $\alpha$-아밀라제의 활성은 pH6.7~7.2와 55~$65^{\circ}C$에서 제일 높았고, 효소생산은 LB배지보다 기본배지 (1.0% bacto-peptone, 0. 3% beef-extract, 0.3% yeast-extract, 0.5% NaCl, 0.3% $K_2$HPO$_4$와 0.1% KH$_2$PO$_4$, 0.2% Soluble Starch에 금속이온인 0.012% CaCl$_2$.2$H_2O$$_2$, 0.005% MnCl$_2$, 0.03% MgCl$_2$.7$H_2O$을 첨가한 배지에서 제일 높았다. 배양후 4시간 됐을 때에 $\alpha$-amylase 생산이 제일 높았다. Starch 배지에서는 0.6units/$m\ell$, glucose 배지에서는 0.43units/$m\ell$씩 생산되었다.

  • PDF

Insecticidal Characterization of Thirtee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rom Soil (III)

  • Lee, Hyung H.;Lee, Kwang Y.;Kim, Tae-J;Sun B. Sim;Joong G. Cho;Sun I. Kw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38-443
    • /
    • 1992
  • Thirteen stra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were isolated from soil in Korea and characterized. The all strains produced parasporal crystals and spores in their cells. Two strains had bipyramidal crystals, seven strains contianed round ones and four strains had unregular ones. Only mino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irteen isolates were different and distinctive, howeve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the known serotypes of B. thuringiensis. Two strains were resistant to ampicilin. Three strains were resistant to bacitracin, six strains were resistant to cephalothin, two strains were resistant to colistin, HL-68 strain was resistant to gentamycin, HL-67 strain was resistant to kanamycin and HL-71 was resistant to tetracycline. Two strains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G. Four strains were toxic to Bombyx mori larvae and eleven strains were toxic to Culex pipiens larvae.

  • PDF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독성을 가지는 Bacillus thuringiensis 군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xic to Spodoptera Species in Kora)

  • 장진희;노종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4-159
    • /
    • 1996
  • 전국 토양, 앙장 농가, 저곡 창고, 시설 원예 단지, 과수원, 산, 밭 등에서 분리한 토양과 먼지 등의 시료로부터 거세미나방속 해충에 강한 독성을 보이는 7개 균주를 분류하였다. 이들을 각각 STB-1에서 STB-7까지 명명하였으며 모두 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을 형성하였다. 편모항원성 검정 결과 STB-1, STB-2는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와 STB-3, STB-4, STB-5는 subsp. kenyae와 반응하였으며 STB-6, STB-7은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PCR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STB-1은 B. thuringiensis subsp. kurastaki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cryIE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STB-5는 subsp. kenyae와는 다른 유전자형을 보였다. 기존의 편모항체와 반응을 보이지 않은 STB-6와 STB-7은 cryIA(a), cryIA(b), cryIC, cryII를 가지고 있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orm soil in wonju area

  • Yoo, Kwan-Hee;Kim, Soo-Young;Ho, Kang-Min;Cho, Myung-Hwan;Lee, Hyung-Hoa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370-373
    • /
    • 1996
  • Three strains (KW-1, KW-14, KW-15) of Bacillus thuringiensis were isolated from soil in Wonju area and characterized. The three strains produced parasporal inclusion bodies (crystals) and spores in their cells. The KW-1 strain produces spherical crystals. The crystals of strain KW-14 are bipyramidal crystal. The KW-15 strain harbors irregular crystals. Only mino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isolates were different and distinctive, howeve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the known serotypes of B. thuringiensis. Three strains were resistant to penicilin G, oxacillin and cephalothin. Three strains were highly toxic to Bombyx mori larvae, but not to the Culex pipiens larvae.

  • PDF

국내 토양으로 분리된 Bacillus thuriniensis subsp. kurstaki CAB133균주의 생물학적 특성 (Bioactive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iensis subsp. kurstaki CAB133 Isolated from Domestic Soil)

  • 최수연;조민수;김태환;김진수;백승경;윤영남;홍순성;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5-184
    • /
    • 2008
  • 국내의 난방제 해충에 선택적으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작물재배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15개의 토양샘플 중 46개의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B. thuringiensis균주를 사용하여 난방제 농업해충에 생물활성을 검정한 결과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CAB119을 포함한 35균주, 파밤나방(Spodoptera litura)에는 CAB128, CAB141균주가,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exigua)은 CAB133과 CAB159균주가 효과를 나타냈으며 CAB162균주는 3종류의 모든 해충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분리된 B. thuringiensis CAB133 균주는 H serotype에 의한 혈청학적 동정과 SDS-PAGE를 통한 독소 단백질 패턴에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로 동정되었다. 담배거세미나방 2령 유충에 대한 활성검정의 결과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 CAB133, CAB162의 두 균주에 대한 $LD_{50}$ 값은 각각 0.089, $3.144{\mu}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담배거세미나방의 령기에 따른 생물실험에서 CAB133 균주 $1.5{\times}10^6(cfu/ml)$에서 1령의 경우 3일, 2령은 5일에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B. thuringiensis를 섭식 후 먹기를 중단하여 성장이 멈추면서 $5{\times}7$일 후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B. thuringiensis의 결정성독소단백질$(1.267{\mu}g/ml)$를 섭식하고 성장하지 못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무게는 대조군보다 5일후 약 30배정도 차이로 나타나서 사망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thuringiensis 7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even Isolates from Soil)

  • 이형환;주대걸;강승철;임헌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7-383
    • /
    • 1992
  • Bacillus thuringiensis 7균주를 한국의 토양에서 분리하여 특성을 연구했다. 상기의 7균주를 HL-8, 10, 12, 13, 14, 15와 16으로 명명했으며, 이들 균주들은 세포내의 다양한 형태의 parasproal endotoxin crystal과 내생포자를 형성한 것을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분리균주들의 생화학적인 특성은 이미 알려진 균주들과 유사했으나, 특이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각 분리균이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분자량과 수를 조사한 결, HL-8 과 HL-10은 6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3.01-15.1Md 이었고, HL-12균주는 4종규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잘량의 범위는 5.4-21.9Md이었고, HL-13균주도 4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나 분자량은 차이가 없었다. HL-15균주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2.4~13.5Md이었고, HL-15균주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3.4~11.4Md이었고, HL-16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2.4~20.1Md이었다. 상기 분리균는 공히 ampicillin, bacitracin, cephalothin, methicillin과 penicillin G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HL-8과 15는 48시간내에 Culex pipiens 모기 3령유충에 100%의 살충성을 나타냈고, 다른 균주는 이보다 낮았다. 특히 HL-13은 살충성이 없었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살충성 Bacillus thuringiensis의 모기와 누에 유충에 대한 독성효과 (II)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Pathoge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rom Soil Against Mosquito and Silkworm Larvae (II))

  • Lee, Hyung-Hoan;Yoo, Bo-Rim;Kim, Young-Joo;Won, Nam-Hi;Kim, Hak-Chun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1
    • /
    • 1993
  • Bacillus thuringiensis를 한국의 토양에서 분리하여 특성을 연구했다. 8균주를 분리하여 HL-24, HL-25, HL-33, HL-34, HL-35, HL-38, HL-39와 HL-40으로 명명했으며. HL-24와 HL-25는 부정형의 crystal를 가졌고, HL-33과 HL-35는 이중피라미드형, HL-34. HL-38, HL-39와 HL-40은 둥근형의 crystal를 가진 것을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분리균들의 생화학적인 특성은 이미 알려진 균주들과 유사했으나. 특이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HL-25, HL-33과 HL-34는 cephalothin, colistin과 penicillin G에 내성을, HL-33과 HL-35균주는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HL-39와 HL-40은 penicillin G에 내성을 나타냈다. 균주HL-24, HL-25, HL-33과 HL-34는 누에 유충에 대한 치사성은 100.85.55. 및 70%를 각각 나타냈으며 HL-24, HL-25, HL-38, HL-39와 HL-40의 모기 유충에 대한 치사성은 10. 20. 100. 100 및 90%였다. HL-24와 HL-25균주는 누에와 모기 유충에 모두 치사성은 나타냈으나. 모기에는 살충효과가 10~20%로 매우 낮았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을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에 관한 연구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 Microbial Pesticide Bacillus thuringiensis)

  • 이형환;김기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3-231
    • /
    • 1983
  • Bacillus thuringiensis 16개 균주에서 Beta-exotoxin 생산을 연구하였다. 균주는 Conner-Han-sen Mineral Salts 배지에 시험균을 접종하여 28$^{\circ}C$에서 진탕배양을 한 후 Micrococcus flava을 이용하여 감수성과 생산능을 조사했고,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260nM에서 생산량량과 생산속도 등을 조사했다. 1. Bacillus thuringiensis의 돌연변이 균주BTK2-T1, BTK2-T13, BTK2-T17, BTK2-T33과 BTK2-T40은 Conner-Hansen 배지에서 배양 6시간부터 Stationary Phase에 접어들어 가서 48시간 배양과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Bata-exotoxin의 생산은 6시간 배양에서는 O.D. 260nm에서 약 1.0미만(약 40$\mu\textrm{g}$/$m\ell$)이였고, 12시간 배양에서는 O.D.260nm에서 약 1.7미만(약 70$\mu\textrm{g}$/$m\ell$) 이었으며, 24시간배양부터 48시간 배양에 서는 거의 증가를 보이지 않고 O.D. 260nm에서 2.0내지 2.3(약 85$\mu\textrm{g}$/$m\ell$)을 계속 유지했다. 48시간 배양균주들은 BTK2는 배지 $m\ell$당 80$\mu\textrm{g}$(5.5$\times$$10^{8}$ Cells/$m\ell$), BTK2-T13은 84$\mu\textrm{g}$(4.3$\times$$10^{8}$ Cells/$m\ell$), BTK2-T17은 87$\mu\textrm{g}$(1.4$\times$$10^{8}$ Cells/$m\ell$), 그리고 BTK2-T33은 84$\mu\textrm{g}$ (4.9$\times$$10^{8}$ Cells/$m\ell$)을 분비했다. 2. 다른 혈청형 균주들도 모두 Be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ell$당 70$\mu\textrm{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ell$당 88$\mu\textrm{g}$(6.1$\times$$10^{8}$ Cells/$m\ell$) BTK-35 균주는 $m\ell$당 81$\mu\textrm{g}$(5.2$\times$$10^{8}$ Cells/$m\ell$)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mu\textrm{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