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type

검색결과 9,598건 처리시간 0.035초

밀어속(genus Rhinogobius, Gobi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II.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 3型의 분포 및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ies on the freshwater goby, Rhinogobius species (Percifromes, Gobiidae). II. BEographic distribu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ree color types in the Rhinogobius brunneus complex from South Korea.)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31-347
    • /
    • 1996
  •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에 대한 지리적 변이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반 문 및 체색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3type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도 typerks에 총 genome의 26-30%(A-B type : 30%, A-C type : 30%, B-C type : 26%) 차이가 있어 유전적 근연치(Rogers' S)가 S=0.628-0.661(A-B type : 0.631, A-C type : 0.628, B-C type : 0.661)로 뚜렷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 각 type의 유전적 변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A-type은 평균 P=25.90%, Ho=0.081, He=0.092로 B-type(P=12.33%, Ho=0.037, He=0.044)과 C-type(P=11.10%, Ho=0.032, He=0.048)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 3 type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구명하고자 3type이 모두 서식하는 고성의 북천에서 유전적 표식인자를 이용하여 각 typerks의 생식적 격리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들 3 type은 동서(同 棲)하천에서 하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parapatric 하게 서식하면서 각 typerks에 유전자 교 환이 전혀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type은 이미 생식적 격리가 완성되고 미세분포역에 차이가 있는 별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nus plicatilis와 B. calyciflorus의 크기 및 내구란 형성 (Size and Resting Egg Formation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 calyciflorus)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7-194
    • /
    • 1996
  • 어류 종묘생산시 중요한 먹이생물로 사용되는 한국산 rotifer를 순수 분리하기 위하여 염전, 기수호, 하구 및 어류 양식장을 중심으로 채집하였다.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는 13 지역에서 L-type rotifer 2 strains과 S-type rotifer 14 strains을 순수 분리하였다.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는 4곳의 양식장에서 4 strains을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 L-type과 S-type rotifer strain의 피갑장과 내구란 장경의 분포는 각각 $244.3\~255.3\;{\mu}m,\;142.4\~145.5\;{\mu}m$$131.0\~165.8\;{\mu}m,\;93.7\~116.4\;{\mu}m$로 나타났다. 또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 strains의 피갑장과 내구란 장경의 분포는 각각 $211.8\~229.9\;{mu}m$$126.8\~140.2\;{\mu}m$로 나타났다. B. plicatilis는 성장과 내구란 생산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L-type과 S-type의 rotifer의 최고 밀도는 각각 O-L이 200개체/ml였고, H-S가 753.3개체/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산된 내구란은 S-type에서는 YY-S가 86.7개/ml로 가장 높았고, L-type에서는 O-L이 45.8개/ml로 높았다.

  • PDF

국내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탄소고정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Used in Korea)

  • 이상진;박관수;이동근;장성완;이항구;박환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5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mparison of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establish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eptember 2013. For this study, 42 plots were made by 2 kinds of vegetation soil including A-type and B-type. A-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de of 90% perlite and 10% humus and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de of 60% perlite, 20% vermiculite, 10% coco peat and 10% humus. This study used 6 kinds of plants which are Aster koraiensis, Sedum takesimense, Zoysia japonica Steud,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SWEET and Ligustrum obtusifolium. Field research was carried out in 11 months after planting.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better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in every way and soil carbon content was also higher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as well.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intained 10 to 20% higher soil water content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of the study period. The species of herb which showed the best carbon storage was Zoysia japonica Steud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The species of shrub which showed the best carbon storage was Ligustrum obtusifolium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Plants generally showed better growth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and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higher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in soil carbon stock.

식생체류지의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효율 영향인자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Urban Stormwater Management Performance of Bioretention Systems)

  • ;;홍정선;김이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17
  • 식생체류지는 도시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 및 그린인프라 기술이며, 개발이전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강우유출수 관리기술로 자연을 모방하면서 생태계의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식생체류지의 물순환 능력과 비점오염물질의 저감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4개의 식생체류지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개의 식생체류지, 즉 Type A-C와 Type A-FC에는 국화와 매발톱꽃이 식재되었으며, Type B-A와 Type B-JM식생체류지에는 진달래 및 조팝나무와 같은 관목식물이 식재되었다. 연구결과 식생체류지의 유출저감, 저류량 및 오염물질 저감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는 TV, 침투기작, 여과재의 두께와 식생 종류로 나타났다. Type B-A와 Type B-JM식생체류지 설계시에는 유출저감, 지하수 충진, 긴 체류시간과 첨두유출량 저감과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고려하여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Type A-C와 Type A-FC 식생체류지 설계시에는 지하수 오염 저감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흉선종양에서의 WHO 분류와 Masaoka 병기, 임상양상간의 상관관계연구 (Prognostic Relevance of WHO Classification and Masaoka Stage in Thymoma)

  • 강성식;천미순;김용희;박승일;엄대운;노재윤;김동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44-49
    • /
    • 2005
  • 흥선종양은 비교적 흔한 종격종 종양이나 이제까지 병리학적 분류가 통일된 것이 없었으며 또한 치료 및 예후와의 연관성이 잘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최근에서야 WHO 분류가 발표되었고 이에 따른 치료 계획과 치료에 따른 예후와의 상관관계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WHO 분류와 Masaoka병기 그리고 임상양상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환자는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에서 1993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흥선종양 환자 98명으로 하였다. WHO 분류의 조사를 위하여 병리조직 slide를 다시 검토하였으며 수술 후 Masaoka병기와의 관련성, 술 후 추가적인 치료와 예후에 대한 관계 및 재발여부에 관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98예의 대상 환자 중 남녀 비는 48 : 50이었으며 수술 연령은 평균 $49.6{\pm}13.9$세였다. WHO 분류에 따르면 type A 6명, AB 14명, B1 18명, B2 23명, B3 18명, C 9명이었다. Masaoka 병기와 WHO 분류와의 관계를 보면 Masaoka 병기 I 53명 $(54{\%})$ 중에서 WHO type A 4명, AB 7명, B1 22명, B2 17명, B3 3명이었으며 Masaoka 병기 II 28명$(28.5{\%})$ 중에서는 WHO type A 2명, AB 7명, B1 4명, B2 2명, B3 8명, C 5명이었고 Masaoka병기 III 15명$(15.3{\%})$ 중에서는 WHO type B1 L명, B2 3명, B3 7명, C 4명이었으며 Masaoka병기 IV 2명$(2{\%})$ 중에서는 WHO type B1 1명, B2 1명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28{\pm}6.8$개월이었다. 사망 환자는 3명으로 type B2에서 2명(Masaoka 병기 III, IV), 그리고 type C에서 1명(Masaoka병기 II)이었다 재발 후 생존해 있는 환자는 총 6명이었으며 이 중 type B2에서 2명(Masaoka 병기 III), type B3에서 2명(Masaoka 병기 I, III) type C에서 2명(Masaoka 병기 II)이었다. Kaplan-Meier방법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WHO분류상 type B2에서 5년 생존율은 $90{\%}$ 였으며 type C에서 5년 생존율은 $87.5{\%}$였다. 재발률을 보면 class B2에서 5년 무병 생존율 $80.7{\%}$, B3에서 $81.6{\%}$, C에서 $50{\%}$였다. Log-Rank 방법에서 보면 WHO분류와 생존율, 재발률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WHO 분류와 Masaoka분류의 상관 관계를 보면 Spearman correction method출 이용한 통계에서 상관관계 곡선이 slope=0.401 (p=0.023)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결론: WHO분류의 type C의 경우 수술 후 재발률과 사망률이 높으므로 수술 후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HO분류와 Masaoka 병기간에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WHO분류 및 Masaoka병기 모두 흥선종의 예후의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 심엽형 귀걸이 양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shaped Earring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김문자
    • 복식
    • /
    • 제45권
    • /
    • pp.29-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Heart shaped Earring in old tombs of Three Kingdom States. First Heart shaped Earring is 7 part in according to heart styles. I-A type was original style and that was influenced by scythe style. I-A II-A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Kokuryo Pacijae ancient Silla Gaya. I-B II-2-A type was also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except Kokuryo. Then II-2-A type was transmitted to Japanese Heart shaped Earring. I-A, I-B, II-1, II-2-A type was general style in ancient Silla gaya. Ii-1-B, II-2-B. II-3-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Pacjae tombs and II-3-B type was excavated from Kokuryo tombs. II-3-A, II-3-B type was unique style that was found in old tombs in Kokuryo, Pacjae.

  • PDF

한국산 가막사리속(Bidens L., 국화과) 수과 형태의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achene morphology in Bidens L. (Asteraceae) in Korea)

  • 김선유;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9-522
    • /
    • 2008
  • The achene morphology of ten taxa (eight species and two varieties) of the genus Bidens L. (Asteraceae) in Korea was studied in detail using the stereo-microscopy (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size of achenes excluding the arista part is $3.0-19.5{\times}0.7-2.6 mm$. The pappus is made up of 2-4 aristae, and the length of arista is 2.2-5.6 mm long. The striations of barb are 1-3. The achene polymorphism is confirmed in six studied taxa (B. bipinnata, B. biternata, B. frondosa, B. parviflora, B. pilosa var. pilosa, B. tripartita var. tripartita). Four types of achene were recognized based on the shape and the number of arista per fruit. - Type A: oblong with two aristae (B. parviflora); Type B: oblong with three or more aristae (B. bipinnata, B. biternata, B. pilosa var. pilosa, B. pilosa var. minor); Type C: obovate with two aristae (B. frondosa, B. radiata var. radiata, B. radiata var. pinnatifida, B. tripartita var. tripartita); Type D: obovate with three or more aristae (B. cernua). Three surface patterns (i.e., spiral, smooth, and irregular straight in parallel) of barb are also distinguished. The achene surface can be recognized into three types (ribbed areolate, smooth, subfavulariate). Systematic implications of achene characters are also briefly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chene characters, a key of Bidens taxa in Korea is provided.

금속제(金屬製) 조우식(鳥羽飾)에 대(對)한 연구(硏究) - 고신라(古新羅), 가야고분(加耶古墳) 출토품(出土品)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Metal Feathered Trim - Focusing on the Excavated Articles from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

  • 김문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4호
    • /
    • pp.27-3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Metal Feathered Trim in old tombs. First, Feathered Trim is 5 types, Feathered Trim I-A, Feathered Trim I-B, Feathered Trim II-A, Feathered Trim II-B, Feathered Trim II-C in according to upper part of central insert plate style. Feathered Trim I-A, I-B, II-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Feathered Trim II-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Silla tombs and II-C type was excavated from Gaya tombs. Feathered Trim I-A type was worn previous to I-B type, and II-B, C type was worn previous to II-A type. Feathered Trim 5 types was influenced by the scythe style that was 'Scythe-shaped' tail.

  • PDF

BC-B Type150K DWT Class Bulk carrier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f Analysis for 150K DWT Class Bulk carrier(BC-B type))

  • 서향덕;김도군;안형준
    • 대한조선학회 특별논문집
    • /
    • 대한조선학회 2015년도 특별논문집
    • /
    • pp.79-84
    • /
    • 2015
  • A BC-B type bulk carrier is rarely built, s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not reported and familiar so far.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C-B and BC-A type vessel is applying alternate cargo loading, which density is over $1.0ton/m^3$. In this paper, 150K DWT class BC-B type bulk carrier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BC-A type vessel, which has same condition such as main dimension and deadweight, about prescriptive rule and FEA based on CSR. And aspect ratio of target vessel is smaller than typical capsize bulk carrier, so 150K and 180K bulk carrier, which applied BC-A type, are also compared to find feature of wide beam vessel.

  • PDF

신발사이즈가 신발 내적환경(內的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oe Sizes on the Inner Environment of Shoes)

  • 유현;심부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4호
    • /
    • pp.151-162
    • /
    • 2002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s of shoe size room on the inner environment of shoes by examining the changes of footskin temperatur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hoe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Skin temperatur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hoe sizes in the inner foot parts (right/left) and the outer foot part (left). As time went, skin temperature was distributed as follows: Type A > Type C > Type B. 2. Skin temperature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instep > inner foot > outer foot. 3. The temperature within the sho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ype A > Type C > Type B. But no significance was recognized in the humidity within the shoes: Type B > Type C > Type A. 4. Some significance was noticed i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of size fitness and comfortableness. In size fitness, Type B was responded to be fitting, Type A little small, and Type C rather big. Moisture had similar changes according to three shoe sizes, but humid was the response as time went. Comfortableness appeared in the order of Type C > Type B > Type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