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tree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27초

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団)의 침엽형질(針葉形質) 변이(變異) (The Variation in Needle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 of Abies koreana Wilson)

  • 이강영;김현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9-44
    • /
    • 1982
  • 우리 나라의 지리산(智異山), 덕유산(德裕山), 한라산(漢拏山)에 천연분포(天然分布)되어 있는 구상나무 집단(集團)의 침엽형질변이(針葉形質變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집단별(集團別), 집단내(集團內)의 개체별(個體別)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침엽장(針葉長), 기공열수(氣孔列數)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에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집단내(集團內)의 개체간(個體間)에는 형질(形質) 모두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모수(母樹)의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침엽장(針葉長), 침엽폭(針葉幅) 간(間)에 있어서는 집단(集團) 모두 상관(相關)이 없었다. 침엽장(針葉長)과 침엽폭(針葉幅) 간(間)에서 덕유산(德裕山)과 한라산(漢拏山) 집단(集團)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지리산(智異山) 집단(集團)은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침엽장(針葉長)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서는 덕유산(德裕山) 집단(集團)이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침엽폭(針葉幅)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는 집단(集團) 모두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침엽폭(針葉幅)과 거치밀도(鋸齒密度) 그리고 기공열수(氣孔列數)와 거치밀도(鋸齒密度) 간(間)에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거치밀도(鋸齒密度)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른 형질(形質)에 비(比)해 큰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임분형수표조제(林分形數表調製)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tand Form Factor Table)

  • 이흥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186-192
    • /
    • 1988
  • Plotless sompling방법(方法)중 STRAND법(法)으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을 추정(推定)하는데 필요(必要)한 임분형수(林分形數)를 산정(算定)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기(京畿), 강원(江原), 충남북(忠南北), 전북(全北), 경북지역(慶北地域)에서 낙엽송표준지(標準地) 380개소(個所), 잣나무 358개소(個所)에서 임분구성인자(林分構成因子)를 측정(測定)한 자료(資料)를 가지고 임분형수표조제법(林分形數表調製法)을 연구(研究)하였다. 1. 임분형수(林分形數)에 관련성(關聯性)을 구명(究明)키 위하여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를 구한 결과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와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임분평균직경(林分平均直徑), 임령(林令), 수간거리(樹幹距離), 단면적수고(斷面積樹高)의 순(順)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임분형수(林分形數)을 구할 수 있는 적합(適合)한 추정식(推定式)을 낙엽송, 잣나무에 대하여 산출(算出)한 결과(結果) Table 3과 같다. 3. 최적추정식(最適推定式)에 의하여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를 조제(調製)한 결과(結果), 낙엽송은 Table 4, 5 잣나무는 Table 6, 7과 같으며 표(表)의 값과 실측치간(實測値間)에는 회귀계수(回歸係數)가 거의 1인 Y=bx의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성립(成立)하였으며 유의성(有意成) 검정결과(檢定結果) 유의성(有意性)이 없어 적합(適合)함을 알 수 있다. 4.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를 실제(實際)로 사용(使用)할 경우 표(表)값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낙엽송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는 2.39~4.15%, 잣나무는 1.73% ~2.50%로 아주 작게 나타나 정확(正確)하게 임분형수(林分形數) 산출(算出)에 사용(使用)할 수 있다.

  • PDF

형질 전환된 포플러에 대한 nos-NPT II 유전자의 기관별 발현 특성 (Organ Specific Expression of the nos-NPT II Gene in Transgenic Hybrid Poplar)

  • 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77-86
    • /
    • 1995
  • 임목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공간적, 시기별 발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온실에서 생육 중인 형질전환된 2년생 잡종 포플러 (Populus alba X P. grandidentata) Hansen 클론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각 기관별로 조사하였다. Agrobacterium binary vector pRT45, pRT102 및 pRT104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3계통의 형질전환체 Tr15, Tr345, Tr665 모두는 선발가능한 표식 유전자로서 nos promoter-NPT II 유전자가 대상 식물체의 genome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외에, pin2 promoter-CAT 유전자(pRT45), nos promoter-PIN2 유전자(pRT102),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PIN2 유전자(pRT104)가 3계통의 형질전환체에 제각각 삽입되어 있는 잡종 포플러이다. 이들 3계통의 형질전환 포플러 식물체의 DNA를 PCR 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선발 가능한 표식 유전자인 NPT-II가 삽입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NPT-ELISA 검정을 실시하였다. 삽입된 NPT II 유전자는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잎, 엽병, 형성층 조직, 줄기의 목질부, 뿌리에서 발현되었으며, 발현 정도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계통에 따라서, 그리고 형진전환된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pRT45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Tr15 형질전환체의 경우, 늙은 잎과 엽병에서 NPT II 유전자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으며, 어린 잎과 뿌리 조직에서 가장 낮게 발현되었다.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각 식물체간에, 각 기관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이와 같은 결과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에 대한 효과적인 선발과정이 요구됨을 의미함은 물론이고, 형질전환 식물체의 발달 과정에 따라서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공간적, 시기적으로 각각 다르게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유적 발굴지의 화분분석: 색생과 퇴적환경 고찰 (Pollen analysis from Osong Archaeological Site, Chungbuk Province: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

  • 이상헌;김주용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3
    • /
    • 2010
  •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원평 II-3 보조단면 (B11칸 서벽)의 홀로세로 판단되는 퇴적물로부터 이 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트렌치 단면의 퇴적물들은 주로 조립질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유기물의 함유량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비록 화분의 산출량은 높지 않았지만 우점 종과 일부 중요 종으로부터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이 변화가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분군집상의 변화를 선행화 분분석 자료들과 대비하여 간접적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초기 홀로세의 식생은 최종 빙기 이후 온난화로 전이되는 한랭기동안 번성하였던 주요 수목들이 사라져 단순한 산림형태화가 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중기 홀로세에는 온난, 습윤의 최적화된 생육조건으로 낙엽활엽수림과 상록수형 활엽수 및 난온대성 소나무 등이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홀로세의 기후는 다시 한랭화가 진행되어 본 연구지역은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천이되었다. 최상부 구간에는 농경활동 지표 종들의 산출로 이 지역에 본격적인 농경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며, 산림형태는 자연환경변화보다는 인간간섭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주며 기후조건은 오늘날과 비슷하였다.

  • PDF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Coat Protein Gene of Ornithogalum mosaic virus Isolated from Iris Plant

  • Yoon, Hye-In;Ryu, Ki-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51-258
    • /
    • 2002
  • A potyvirus was isolated from cultivated Iris plants showing leaf streak mosaic symptom.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product of 1 kb long which encoded partial nuclear inclusion B and N-terminal region of viral coat protein (CP) genes for potyviruses was successfully amplified with a set of potyvirus-specific degenerate primers with viral RNA samples from the infected leaves: The RT-PCR product was cloned into the plasmid vector and its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a CDNA clone revealed that the virus was an isolate of Ornithogalum moseic virus (OrMV) based on BLAST search analysis and was denoted as OrMV Korean isolate (OrMV-Ky). To further characterize the CP gene of the virus, a pair of OrMV-specific primers was designed and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entire CP gene of OrMV-Kr, The virus was easily and reliably detected from virus-infected Iris leaves by using the RT-PCR with the set of virus-specific primers. The RT-PCR product of the CP gene of the virus was cloned and its sequences were determined from selected recombinant CDNA clones.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P of OrMV-Kr consisted of 762 nucleotides, which encoded 253 amino acid residues. The CP of OrMV-Ky has 94.1-98.0% amino acid sequence identities (20 amino acid alterations) with that of other three isolates of OrMV, Two NT rich potential N-glycosylation motif sequences, NCTS and NWTM, and a DAC triple box responsible for aphid transmission were conserved in CPs of all the strains of OrMV. The virus has 58.5-86.2% amino acid sequence identities with that of other 16 potyviruses, indicating OrMV to be a distinct species of the genus. OrMV-Ky was the most related with Pterostylia virus Yin the phylogenetic tree analysis of CP at the amino acid level.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OrMV in Iris plants in Korea. Data in this study indicate that OrMV is found in cultivated Iris plants, and may have mixed infection of OrMV and Iris severe mosaic virus in Korea.

뽕나무지조의 성상과 엽면적 및 엽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Stem and Leaf Area and Weight in the Mulberry Tree)

  • 김호락;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
    • /
    • 1971
  • 뽕나무의 절간장과 엽면적 및 엽중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지조부위별 절간장 엽면적 및 엽중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30개의 품종을 품종대상으로 하는 동시에 동일품종내에 있어서의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소엽형품종인 개량서반과 대엽형품종인 노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각성상과 엽면적 및 엽중의 상관은 모두 다음과 같이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1) 즉대표품종군에서 절간장과 엽면적 및 엽중은 모두 정의 높은 상관이 있었다. (2) 대표품종군에서 지조장과는 어느 경우나 상관이 없었고 단일품종내에서는 모두 정의 상관이 있었다. (3) 지조의 체적과 엽면적 엽중과는 대표품종군에서나 동일품종내에 있어서 모두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개량서반이 가장 큰 상관을 나타냈다. (4) 엽병장과 엽면적 및 엽중과는 대표품적군, 개량서반 및 노상의 모두 놓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나. 지조의 부위별 절간장의 변이는 대부분의 품종이 같은 경향으로 하부인 I부위가 가장 길고 II부위까지 감소하다가 일단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선단에서 가장 짧았다. 다. 지조의 부위별 엽면적과 엽중의 변이는 I부위가 가장 작고 IV부위 까지 증가하여 최대가 되고 그 후 감소하였다.

  • PDF

전나무림, 잣나무림 유역(流域)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이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火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I)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Purify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 (I))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이봉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64-373
    • /
    • 1999
  • 이 연구는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간벌 및 가지치기)이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및 수질변화(水質變化) 등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파악함으로써 산림시업(山林施業)에 따른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을 평가(評價)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산림시업을 한 광릉시험림 31, 33임반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유역에서 1998년 3월 1일부터 1998년 8월 4일까지 임분특성(林分特性),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 그리고 강우(降雨), 임내우(林內雨)(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의 수질동태(水質動態)를 분석(分析)하였다. 산림시험 후 약 2년 6개월이 경과된 1998년 9월 현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임목의 평균수고(平均樹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은 시업구가 비시업구 보다 각각 1.8m, 0.6m, 4.7cm, 1.4cm 더 성장하였으며, 시업구는 비시업구 보다 A층 토양에서의 조공극율(粗孔隙率), 총공극율(總孔隙率)은 증가하였으나, 토양(土壤)의 가비중(假比重)은 감소하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는 산림시업(山林施業)에 따라 산림토양(山林土壤)의 강수침투구조(降水浸透構造)는 개선(改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으로 임우내(林內雨) 및 토양수(土壤水)의 완충효과(緩衝效果)가 증대(增大)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

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 부담감과 가족기능 (The Hope, Burde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 박호란;박선남;정경희;김혜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51-61
    • /
    • 2001
  • The purpose of the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the hope, the burden and the family function in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cancer. 145 mothers completed the three questionaires of the study divided into tree sections: a) The Hope Scale, b) The Burden Scale, c) FACES-Ⅲ.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with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was 35.6 years old and the ages between 30 to 39 were the most abundant. 57.3% of the mothers had an education level of below high school education and 66.0% had religion.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8.6 years old. Ages between 1 to 7 were the most and 60.8% were diagnosed as leukemia. 2) Regarding the section of degree of burde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marked 2.6 out of 5, and the degree of hope 3.2 out of 4. The result for family function came out to be 3.5 out of 5, an average of family cohesion of 3.9 and family adaptation of 3.1. 3) There were significantly less burden to the mothers who were living together with a spouse compared to the mothers who were not. Also mothers who replied that they preserved good health came out to be exposed to less burden compared to the mothers who did not. In analysing hop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mothers who were employed marked high in the degree of hope compared to unemployed mothers. Furthermore,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marked higher with mothers who had higher education of college graduate, mothers with religion and mothers with a monthly family income of over ₩3,000,000, compared to the group of mothers with lower education of high school graduate, non-religious or with a monthly family income of less than ₩1,000,000. 4) Excluding the fact that the group sorted with children diagnosed as leukemia marked a perceivably high score regarding family cohesion, compared to groups with other cancers, the degree of burden, hope and family cohesion did not show any noticeable differ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fferent cancers. 5) In the correlation of the hope, the burden and the family function regarding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the burden did not have any manifest relationship with hope or family function. However, the degree of hope and family function cohesion had a direct proportional relationship, as family cohesion marked higher when the degree of hope were high.

  • PDF

버즘나무방페벌레의 약제방제(藥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Say))

  • 김철수;박지두;변병호;박일권;채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4-388
    • /
    • 2000
  • 최근 버즘나무류에 문제가 되고 있는 버즘나무방패벌레 방제를 위한 약제시험을 수간주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 모노포, 포스팜, 이미다크로프리드, 치아메톡삼 및 아세타미프리드 처리에서 각각 99.6%, 88.9%, 98.9%, 99.7%와 100%의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수간주사한 약제의 약효지속성을 조사한 결과 1개월 이상 경과한 약제처리 잎에 공시충을 접종하여도 높은 치사율을 보여 본 해충의 생태특성상 년간 2-3회 이상에 걸쳐 방제해야 되는 수관살포법에 반해 수간주사법은 1회 처리로 방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제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간주사 시 적용할 수 있는 경급별 적정약량 기준표 작성을 위해 흉고직경 크기에 따라 $1.0m{\ell}/DBH\;cm$, $1.5m{\ell}/DBH\;cm$, $2.0m{\ell}/DBH\;cm$의 약량을 수간주입한 결과 흉고직경 20cm 이하에서는 DBH cm당 $1.0m{\ell}$의 약량으로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30-50cm에서는 $1.5-2.5m{\ell}$의 약량을 필요로 하였으며 50cm 이상의 대경목에서는 그 이상의 약량이 소요되었다. 한편 버즘나무방패벌레 수관살포약제 선발을 위하여 성충과 약충이 동시 가해하는 6월 하순에 3개 약종에 대한 엽면살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에토펜프록스 20%EC, 에토펜프록스 10%WP, 할로스린 1%EC 처리에서 99%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전나무림(林), 잣나무림(林) 유역(流域)에서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에 미치는 산림시업(山林施業) 영향(影響)(III) -임외우(林外雨), 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중심(中心)으로-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Cleans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I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 정용호;박재현;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23-231
    • /
    • 2000
  • 이 연구는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간벌 및 가지치기)에 따른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을 평가(評價)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산림시업을 실시한 광릉시험림 31, 33임반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유역에서 1999년 5월 4일부터 1999년 11월 1일까지 강우(降雨), 임내우(林內雨)(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수질동태(水質動態)를 분석(分析)하였다. 산림시업 후 약 3년 8개윌이 경과된 1999년 11월 현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임목의 평균수고(平均樹高)는 시업구(施業區)가 비시업구(非施業區)보다 모두 약 0.5m 더 높았으며,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도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각각 약 3.5, 2.6cm 더 성장하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모두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좋은 성장상태를 보였다.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시업구, 비시업구에서 평균pH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모두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낮았으며, 평균전기전도도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시업구와 비시업구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대한 산림시업의 영향은 유의성검정결과(有意性檢定結果) 1% 수준(水準)에서 유의(有意)한 결과를 나타내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으로 임내우(林內雨)의 완충효과(緩衝效果)가 증대(增大)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