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tator cuff tea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houlder pain in middle-age and older peopl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RCR) is the most common treatment method for rotator cuff tear. Early postoperative pain after ARCR is the primary concern for surgeons and patients and can affect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satisfaction, recovery, and hospital day. There are numerous methods for controlling postoperative pain including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pioid, interscalene block, and local anesthesia. Regional blocks including interscalene nerve block, suprascapular nerve block, and axillary nerve block have been successfully and commonly use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B) and suprascapular nerve block (SSNB) in pain control and opioid consumption. However, SSNB has fewer complications and can be more easily applied than ISB. Combination of axillary nerve block with SSNB has a stronger analgesic effect than SSNB alone. These regional blocks can be helpful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within 48 hours after ARCR surgery.
Buddhadeb Ghosh;Md Naushad Alam Dilkash;Sunanda Prasad;Sanjay Kumar Sinha
Anatomy and Cell Biology
/
제55권2호
/
pp.130-134
/
2022
Median nerve is formed by lateral root from lateral cord and medial root from medial cord of brachial plexus. Formation of median nerve occur in front or lateral to axillary artery in axilla.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anatomical variations of median nerve formation in the brachial plexus. We examined formalin fixed 60 upper limbs from 30 adult cadavers (15 males and 15 females) which were above the age 40 years from the department of Anatomy. All the cadavers were dissect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Cunningham's Manual of Practical Anatomy. Normal formation of median nerve by two roots noted in 42 (70.0%) of upper limb specimen. Variation of median nerve formation noted in 18 (30.0%) upper limb specimen. Three roots taking part in the formation of median nerve in 13 (21.7%) upper limb specimen where additional root coming from lateral cord of brachial plexus. Four roots taking part in formation of median nerve in 3 (5.0%) upper limb specimen, where additional roots coming from lateral cord and posterior cord of brachial plexus. Lateral root crossed the axillary artery anteriorly to join with medial root lying medial to axillary artery. The median nerve formed medial to third part of axillary artery. Additional communication with musculocutaneous nerve with median nerve seen in 2 (3.3%) upper limb specimen. Knowledge of such anatomical variations is of interest to the anatomist and clinician alike. Surgeons who perform procedures involving neoplasm or repairing trauma need to be aware of these variations. Median nerve variation may lead to confusions in surgical procedures and axillary brachial plexus nerve block anesthesia.
견관절 수술을 위한 마취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국소 신경 차단술에는 사각근간 신경 차단술, 상견갑 신경 차단술, 5번 경추 신경근 차단술 및 액와 신경 차단술 등이 있을 수 있다. 국소 신경 차단술은 통증 조절 효과는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횡격 신경 마비, 기흉, 신경 손상 등의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며 그 실패율도 상당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와 관련된 해부학적 기초와 초음파를 이용한 국소 신경 차단 술기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median nerve varies amo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he median nerve variations in axillary region were reported by many authors previously. Understanding of these variations is especially necessary for clinicians to prevent iatrogenic nerve damage. The current work aimed to evaluate the possible anatomical variations of median nerve in the axillary region in a sample of the Iranian cadavers (Shiraz, Fars). We dissected 26 upper limbs from 13 male cadaver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variations of median and musculocutaneous nerves according to Venieratos and Anagnostopoulou classification. In 23.07% of specimens (n=6), the medial root united with 2 lateral roots and formed the median nerve proximal to the coracobrachialis muscle. In one case, a communicating branch separated from the musculocutaneous nerve distal to the coracobrachialis and connected to the median nerve in upper arm.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median nerve in terms of its origin and its communication with the musculocutaneous nerve in the population of southern Iran. The anatomical knowledge of the median nerve variations is important for clinicians to improve patient health outcome. Theses variations of the median nerve should be considered during surgical procedures of the axillary region and nerve block of the infra clavicular part of the brachial plexu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r dexmedetomidine added to ropivacaine on the onset and duration of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s (BPB). Methods: Fifty-one ASA physical status I-II patients with elective forearm and hand surgery under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20 ml of 0.5% ropivacaine with 2 ml of isotonic saline (C group, n = 17), 20 ml of 0.5% ropivacaine with 2 ml (10 mg) of dexamethasone (D group, n = 17) or 20 ml of 0.5% ropivacaine with 2 ml ($100{\mu}g$) of dexmedetomidine (DM group, n = 17). A nerve stimulation technique with ultrasound was used in all patients. The onset time and duration of sensory blocks were assessed. Results: The duration of the sensory block was extended in group D and group DX compared with group C (P < 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D and group DX.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set time in all three groups. Conclusions: Dexamethasone 10 mg and dexmedetomidine $100{\mu}g$ were equally effective in extending the duration of ropivacaine in ultrasound-guided axillary BPB with nerve stimulation. However, neither drug has significantly effects the onset time.
Choi, Sang Sik;Lee, Mi Kyoung;Kim, Jung Eun;Kim, Se Hee;Yeo, Gwi Eun
The Korean Journal of Pain
/
제28권4호
/
pp.287-289
/
2015
Brachial plexus block (BPB) under ultrasound guidance has come to be widely used. However, nerve injury has been reported following ultrasound-guided BPB. We hypothesized that BPB under ultrasound guidance in conjunction with real-time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would help us prevent nerve injury and do more successful procedure. Here, we report the successful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ultrasound-guided BPB and the achievement of good peri- and postoperative pain control using a conductive catheter, the EpiStim$^{(R)}$.
Kim, Jun-Sik;Nahm, Francis Sahn-Gun;Choi, Eun-Joo;Lee, Pyung-Bok;Lee, Guen-Young
The Korean Journal of Pain
/
제25권1호
/
pp.60-64
/
2012
The patient was a 45-year-female who presented with pain at right shoulder and right upper arm. The patient suffered from right shoulder and arm pain for 3 years and had pain management which was performed using medication and conservative management after she had been diagnosed with calcific tendinitis. However, substantial pain relief was not consistently achieved, and recurrence of pain was reported. Therefore, we performed right axillary nerve and suprascapular nerve block through pulsed radiofrequency. Two months after the procedure, the shoulder pain gradually subsided with the size reduction of the calcified nodule and she needed no more pain management.
Spasticity is a common impairment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Clinical observation has demonstrated that spasticity can be aggrava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emotional state as well as noxious stimuli. A 51-year-old male patient was scheduled for arteriovenous fistula surgery. He had right hemiplegia including motor weakness and spasticity. It was decided that the surgery would be performed under an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BPB). He appeared nervous when blockade was terminated. The spasticity of the right shoulder increased after ipsilateral BPB. However, when we administered sedative drugs and performed interscalene BPB 2 days later, spasticity did not occur. Exacerbation of spasticity might be evoked by an anxious emotional state. Thus, it seems to be good to consider removing of anxiety and using an appropriate approach when it is tried to perform nerve blocks in individuals with spasticity.
Background: Authors modified the traditional continuous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technique of Selander for purpose of increasing success rate and decreasing complications by use of commercial epidural anesthesia set. Method: Thirty-nine patients scheduled for upper extremity operations were injected with 40 ml of anesthetic solution by axillary perivascular technique, using 23~25G immobile needle at 2 cm from the pectoralis major. Tuohy needle was immediately introduced at 4 cm from the pectoralis major and pierced the expanded neurovascular sheath at an angle of 30 degree to the skin. The "pop" was well noted well. Needle was advanced 0.5 to 3.0 cm and epidural catheter introduced through the needle. After removal of needle, occlusive dressing was done. Tip of catheter and spread of solution were demonstrated by fluoroscopy with contrast dye after completion of procedure. Result: Catheter insertion was successful at first attempt for all case. Total length of insertion was from 6 to 13($10.0{\pm}1.7$) cm. Tip of catheter was placed in infraclavicular space(66.7%), about the humeral head(17.9%) and in upper arm in 3 cases as U-shape(7.9%). Catheters were maintained for $6.7{\pm}2.6$(3-12) day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of major vessels, needle trauma to nerve, infection, bleeding or hematoma.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continuous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ith epidural anesthesia set is safe, easy and convenient modification of technique of Selander.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