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reness of the Disabled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전미영;이한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3
    • /
    • 2017
  •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선천적 장애보다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지속되어 후천적 장애로 인한 발생률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특히, 대학생은 생애주기별 발달에 따라 성인기 초기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대인관계와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대학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과 이념을 정립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입하기 바로 전 시기인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정적인 편견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긍정적인 태도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지역 13곳의 대학교를 방문하여 무작위로 설문을 조사하여 총 250명의 설문 중 235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시적이고 이벤트적인 교육이 아닌 올바른 정보 및 지식, 인권, 장애, 다양성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Disabled)

  • 권말숙;이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67-3674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학년을 고려하여 같은 비율로 목적유층표집을 실시한 79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은 복지 생활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며, 국가나 지역사회가 돌봄의 주체가 되고, 장애의 정도나 종류에 따른 특수학교나 일반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거주지역내 특수학교 설치가 교육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는 대학생이 많았다. 정보수집 경로는 매스컴을 통해서, 인식개선은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장애인을 지원하는 방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영역별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 교류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전공계열, 성별,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정립과 긍정적 태도를 확립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장애인 안전교육의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Using Gamification)

  • 김수동;정형원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7-64
    • /
    • 2021
  • The effect of improving awareness by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aily life of the disabled and safety depends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difficulty in evaluating educ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However, more effective programs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 if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identified. Training a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effectiveness involves motivation. This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any object regardless of the type of disability. It is recognized that "By providing programs for the disabled to immerse themselves, they can b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expect greater effects on educational effects." Gamification is convincing enough for general learning. Furthermore, a feature of gamification is the use of the game's structure to achieve its goal, which acts on participants' motivation. Some use game packages such as analog games and digital games, but some include gamification of activities themselves. The use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development of business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use of gamification in lif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장애인 치과진료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과 교육 필요성 (Dental hygienists' recognition and education necessity for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 서영주;양송이;궁화수;오상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0-77
    • /
    • 2023
  •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wareness of considerations in dental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need fo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medical institu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ntal treatmen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dental treatment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dental hygienists. A total of 221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are institutions nationwide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 to 15, 2022.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the disabled, their recognition of considerations in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the need fo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providing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mprove these factors,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nd expand systematic dental care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as well as in supplementary education and seminars.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Library Volunteers for the Disabled)

  • 장보성;남영준;이준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7-237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 대상 도서관 자원봉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후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특성요인 중 결혼여부, 연령, 학력, 봉사활동 참여경로에 따른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동기요인 중 이기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타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경요인은 보상모델, 이전 경험, 역할모델 모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활동가치인식요인 중 기대합치, 업무적절성이 직무만족과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Outreach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n Public Library)

  • 오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89-316
    • /
    • 2015
  • 장애인은 각종 장애, 이동성 제약, 대체자료 및 서비스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outreach service)를 제공하여 그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현황과 인식도를 조사 분석하여 장애인의 규모 및 유형별 아웃리치 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장애인복지기관에 대한 종사자와 이용자간 인식 (Difference between Employees and Users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05-412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센터) 종사자 및 이용자가 갖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관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기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보제공에 목적을 둔다.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장애인복지기관 8개소 장애인 이용 당사자 178명과 종사자 173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도,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 장애인복지기관의 변화예측 등 관련된 자체 제작 설문지를 통해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았으나 장애인복지기관의 준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이 인식하는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은 낮다고 평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변화 예측에 대해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가 더 긍정적 변화를 예측했고 종사자가 이용자 보다 더 높은 기대를 갖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런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대응전략을 위한 정보제공을 하여 향후 한국장애인복지계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국장애인복지정책 방향설정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여긴다.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의 행복한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appy Life of Non-disabled Children)

  • 손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97-311
    • /
    • 2019
  • 본 연구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의 행복한 삶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행복한 삶과 관련된 76개 의미 있는 진술, 20개의 주제 8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으며 아동이 행복한 삶의 본질적인 의미로는 '부모님이 행복해 하는 삶', '부모가 인정받는 삶', '부모님이 건강한 삶' '다른 가족과 다를 것이 없는 삶' 4개의 범주로 나타났고, 아동이 행복한 삶을 살기 조건으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 '장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사람과의 만남의 삶' '함께 여행하는 삶', '아동으로 인정받는 삶' 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아동들에게는 이 시기가 중요한 만큼 더욱더 행복한 삶을 느낄 수 있는 개입방안과 장애인을 바라보는 인식개선 및 옹호자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활동 경험과 과제 -권익옹호의 관점에서 (Experience and Task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 Activ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Perspectives of advocacy)

  • 김효정;박인환;최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28-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사업이 당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권익옹호를 하는 제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경험과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공공 후견법인 후견업무 실무자 11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실시하고, 과정분석과, 유형분석 등을 통해 실천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를 통해, 후견의 권리옹호의 가능성과 시설의 긍정적인 태도변화 및 정신장애인의 권리회복을 위한 방향성 확립 등이 도출되었다. 공공후견법인 종사자들은 후견인에 대한 과도한 권한 부여나 업무 과정에서의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정신장애인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자기결정권을 지원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후견서비스의 필요성과 확대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1-78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