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reness of Support

검색결과 997건 처리시간 0.035초

보건교사의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중요성 인지도, 실천정도 및 지각된 수행능력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 양순옥;권명순;정금희;이승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6-10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improving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school nurs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Gangwon-do.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school nurses who were working in Gangwon-do.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scale for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Data were collected on December 15, 2007 and analyzed using SPSS 13.0 for Windows. Results: The mean score of awareness of importance was 3.51(range: $1{\sim}4$). The mean score of performance level and the mean score of perceived competence level were 3.35 (range: $1{\sim}4$) and 3.29 (range: $1{\sim}4$), respectively. The younger school nurses were (F=4. 380, p=. 014 ),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importance was.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est in high school nurses (F=5.013, p=.008).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in school nurse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nurses' competencies and technical support systems for school nurses should be provided.

  • PDF

병원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인식,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 (A Study of Role Awaren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for Hospital-based Home Care Nurses)

  • 정미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43
    • /
    • 2004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for looking into the role awareness level. role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ofessional home care nurses in the field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ing service. Method: 154 specialized home care nurses in 63 hospitals and clinics that are implementing home care programs were subject to the study. Result: 1. The level of role awareness among professional home care nurses was $4.47\pm0.41$ on average out of 5. 2. The average score for role conflicts was $3.87\pm0.61$ out of 5. 3.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level. $3.33\pm0.71$ was scored out of 5. 4.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ole awareness level, role conflicts(r= .224, P= .005), and job satisfaction level(r= .166, P=.040),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role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level(r=-.210, P= .009). Conclusion: The level of role awareness among professional home care nurses in the field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ing service was very high and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 when the level of home care nursing antecedents was high a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working place was independent. But the level of role conflicts coming out of the weakness of job-supporting system was high. So the realistic alternative such as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by administrative,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to make up for this problem in the future.

  • PDF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individual SPA brand and luxury brand on awareness, preferences and buying intention for collaboration items.)

  • 강지영;정성지;김동건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9-152
    • /
    • 201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of collaboration products created by SPA and luxury brands using specific examples of collaborations, which are now becoming prevelent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 distribution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333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ith SPSS, a frequency analysis, a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wareness and preferences of the SPA and luxury brands lead collaboration products to be preferred. In addition, consumers happen to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regarding the purchase of collaboration products. This means that matching brands with high prefer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reate profits from the collaboration products as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 of project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luxury brands was found to have greater impact on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the SPA brands. Accordingly, brands should expand and actively collaborate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and support proper collaborations that fit their image.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 and 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구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0-477
    • /
    • 2017
  •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로 30개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13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정서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의 여러 하위변인 중 직업윤리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요구의 변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교 교사의 정신건강 관심군 학생 지도 경험 (Experiences with Guiding Students with Mental Health Support Need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 박옥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cial stigma phenomenon i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ho are classified as mental health support needs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17 teachers and 2 consultants from 2 middle and high schools in Green City, which were evaluated as successful among the six pilot project schoo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3. The study's analysis is based on Hatch's hermeneutical method. Common categories were developed from th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n, inferences were made per category and given importance to draw conclusions and lessons. Results: Teachers had a strong stigma in their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 special needs students. Their perception was that those students are bound to go wrong due to family problems, even some having difficulty breathing, and that it's beyond their limit to help them. In addition, their attitudes included stereotypes, favoritism, punishment, and referral to experts. As a result, teachers did not expect those students would be cured or change and showed passive attitudes while shifting the responsibility to families and expe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teachers regarding mental health support needs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s themselves. Today, when students' mental health problems are emerging as a serious issu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o improve teacher's awareness and capabilities regarding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addition, we suggest the current selective policy that sorts out special needs students and provides care for them to evolve into a universal policy that improves public awareness and focus on prevention.

상표의 소비자 인식 판단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Big Data Application for Judgment on Consumer's Awareness of the Trademark)

  • 유현우;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399-408
    • /
    • 2016
  •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지식재산권 영역에서도 빅데이터의 활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표는 본질적으로 자타 상품을 식별하는 표지로서 그 목적이 소비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데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상표에 있어서 이러한 소비자의 인식을 판단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동안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소비자의 인식에 해당하는 식별력을 증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최근 상표의 식별력을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설문조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상표법 시행규칙에도 설문조사가 도입되었지만 비용과 시간, 객관성, 공정성 측면에서 오류와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상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경우 상표 식별력 판단의 객관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상표와 관련된 다른 법률적 판단에 도움을 주는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pon Psychosocia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의 다문화 가정 중학교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은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타인인식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결혼의식과 출산의식이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warenes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on Pre-parent's Role of the Nursing students)

  • 조은주;안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08-2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의식 및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 정도를 알아보고, 결혼의식과 출산의식이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 소재 4년제 대학의 간호대학생 202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11일에서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예비부모역할 정도는 경제상태, 이상자녀 수, 희망자녀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들은 배타적 결혼관이 높았으며, 출산의식과 예비부모역할 정도은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예비부모역할은 낭만적 결혼관, 소극적 결혼관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출산의식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하위요인 중 저출산 원인 및 심각성 인식과 국가 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예비부모역할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국가 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 희망자녀수, 경제적 수준, 소극적 결혼관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국가 기업의 출산지원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6.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예비부모역할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지원과 보육시설 지원 등 국가와 기업의 출산지원을 높이는 정책과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심리 안정을 지원하는 현존의식 활성화 도구의 효용성 연구 - 자발적 포커스그룹 중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Mindfulness Activation Tools for Psychological Stability Support: A Focus on Voluntary Groups)

  • 이중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83-388
    • /
    • 2024
  • 본 연구는 자체 개발한 심리안정 지원 모바일 앱인 '현존하세요'의 효용성을 실증하기 위해 자발적 포커스그룹 사용자 관찰을 수행한 것이다. '현존하세요' 앱은 개인이 언제 어디서든 스스로 마음챙김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대화형 게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감각/감정/의식의 3단계 자각 유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탈동일시를 발현하도록 돕는다. 이 현존의식의 활성화 행위가 행복감, 스트레스 감소 등의 정신적 안녕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실증하기 위해 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현존의식 모바일 앱 이용 현황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60일 이상 지속적으로 앱을 이용하여 현존의식 자각을 수행한 12명의 사용자에게서 14.4%의 SWLS 행복지수 향상과 17.1%의 PSS-10 스트레스 저하가 유의미하게 발견되었다. 특히 앱을 이용하기 전 상대적으로 낮은 지수를 기록한 학생들에게서 높은 앱 사용 참여도가 관찰되었다. 현존의식의 활성화를 돕는 모바일 앱의 활용은 기존 마음챙김 및 명상에 기반한 다양한 치료 기법 패러다임과 맥락을 같이하며 심리안정 지원 디지털치료제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류를 경험한 의료인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지원 시스템 (Healthcare Professionals Involved in Medical Errors and Support Systems for Them: A Literature Review)

  • 장해나;이남주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make medical errors, who are known as "second victims", and support systems for them. Methods: An extensive search was conducted in electronic databases, Google, and websites related to patient safety using search terms such as "second victims", "medical errors", "adverse events", and "sentinel events". Results: Research to date in Korea has rarely focused on healthcare professionals' experiences after making medical errors. Abroad, there a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ews of the impact of medical errors on healthcare professionals, their coping responses, and support systems for these second victims. Additionally, several institutes related to patient safety provide official guidelines and accessible support systems to support second victims in the aftermath of medical errors, especially serious adverse events. Conclusion: The impact of medical errors on healthcare professionals is profound and complex. Although systematic support systems for second victims are imperative, this has been overlooked in Korea. Thus, more research about the experienc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fter medical errors needs to be conducted prior to developing support systems or programs. Additionally, further efforts are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suppor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in healthcar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