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ke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9초

한반도 대운하-인간과 자연, 일터와 쉼터가 어우러지는 21세기 다목적 프로젝트 (21 Century Multi-Purpose Project for the Harmony of Human and Nature, Job and Rest)

  • 박승환
    • 기술사
    • /
    • 제41권2호
    • /
    • pp.40-44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korea grand canal supplys nation as below:$\Delta$ return to clean and clear river $\Delta$ offer urbanite space for re-charging $\Delta$ offer local resident tourist attractions $\Delta$ alternative for global warming $\Delta$ economic project for development and growth $\Delta$ awake sleeping inland city $\Delta$ strengthen business competitiveness $\Delta$ reduction of logistic cost

  • PDF

Implant complications in bruxism patients

  • Song,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7권2호
    • /
    • pp.149-150
    • /
    • 2021
  • Bruxism is defined as a parafunctional activity during sleep or while awake that includes locking and grinding of teeth and clenching. It generates excessive occlusal force that may lead to implant failure. Therefore, diagnosis of bruxism and providing specific protocols such as occlusal splint and/or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before implant installation are important to prevent increases the risk of implant failure in bruxism patients.

Circadian Rhythms of Melatonin, Thyroid-Stimulating Hormone and Body Temperature: Relationships among those Rhythms and Effect of Sleep-Wake Cycle

  • Kim, Mi-Seung;Lee, Hyun J.;Im, Wook-B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3호
    • /
    • pp.239-245
    • /
    • 2002
  • Plasma melatonin,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and body temperature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before and after the sleep-wake cycle was shifted in 4 healthy males and changes in the circadian rhythm itself and in the phase relationship among these circadian rhythms were determined. Normal sleep-wake cycle (sleep hours: 2300-0700) was delayed by 10 h (sleep hours: 0900-1700) during the experiment. Even after this shift the typical melatonin rhythm was maintained: low during daytime and high during night. The melatonin rhythm was gradually delayed day by day. The TSH rhythm was also maintained fundamentally during 3 consecutive days of altered sleep-wake cycle. The phase was also delayed gradually but remarkably. The daily rhythm of body temperature was changed by the alteration of sleep-wake cycle. The body temperature began to decrease at the similar clock time as in the control but the decline during night awake period was less steep and the lowered body temperature persisted during sleep. The hormonal profiles during the days of shifted sleep/wake cycle suggest that plasma melatonin and TSH rhythms are basically regulated by an endogenous biological clock. The parallel phase shift of melatonin and TSH upon the change in sleep-wake cycle suggests that a common unitary pacemaker probably regulates these two rhythms. The reversal phase relationship between body temperature and melatonin suggests that melatonin may have a hypothermic effect on body temperature. The altered body temperature rhythm suggests that the awake status during night may inhibit the circadian decrease in body temperature and that sleep sustains the lowered body temperature. It is probable but uncertain that there av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leep, melatonin, TSH, and body temperature.

모바일 단말의 PSM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적 패킷 스케줄링 기법 (Adaptive Packet Scheduling Scheme for Enhancing the PSM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 박영덕;정경학;서영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8호
    • /
    • pp.623-631
    • /
    • 2013
  • 무선랜 인터페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를 급격히 소비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에, 대부분의 상용 모바일 단말은 네트워크 트래픽이 없을 때에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SLEEP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를 절약하는 power saving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Access Point (AP)는 단순히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해당 모바일 단말 측으로 즉시 전송하려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항상 AWAKE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가 급격하게 소모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고, AP의 적응적 패킷 스케줄링 기법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테스트 베드 기반의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power saving 성능을 50%이상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자기의식 정보와 관찰 선택 효과 (Self-Consciousness Information and Selection Effect)

  • 김명석
    • 논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17
  • 자기 자신이 지금 깨어나 있다는 사실은 때때로 자기 믿음의 크기를 바꿀 만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현대 우주론에서는 인간 의식의 존재를 가능한 여러 가지 우주들이 현실화되어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 논란거리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자기 자신이 깨어나 있다는 자기의식 정보가 어떤 본성을 갖고 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가나와 다라가 참여하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생각해 보자. 일요일에 멀쩡한 동전을 던져 앞면이나오면 가나와 다라 가운데 마구잡이로 한 명을 뽑아 월요일에 깨우고, 뒷면이 나오면 가나와 다라를 둘 다 월요일에 깨운다. 가나와 다라 가운데 적어도 한명은 월요일에 깨어날 텐데, 이들은 동전이 앞면이 나왔으리라고 얼마큼 믿어야 할까? 우리는 이 문제의 올바른 답이 1/3이라고 논증한다. 이와 함께 잠에서 깨어난 이가 얻게 되는 "내가 지금 깨어났다"라는 정보는 마구잡이 절차를 거쳐 그 자신에게 알려졌음을 주장한다.

  • PDF

저전력 비동기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체크인터벌 조절에 따른 지연시간 분석 (Analysis of Delay time by Adjusting of Check Interval in Asynchronous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Low Power)

  • 윤미희;김동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5-80
    • /
    • 2020
  •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가지 저전력 MAC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IEEE802.15.4은 동기화로 인한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을 가지며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수면(sleep)과 각성(awake)을 반복하는 슈퍼프레임(superframe) 동작으로 지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 비동기 B-MAC은 체크인터벌에 따라 지연시간을 짧게 할 수는 있지만 송신단에서는 과도한 프리엠블로 전력소모가 발생하며 수신단에서는 오버히어링으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기존 MAC들의 지연시간과 전력소모 불균형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비동기식 B-MAC 기법에 체크인터벌을 적응형으로 운용하는 방법[1]이 제안된 바 있다. 제안 방식에 따른 스루풋과 지연시간 측면의 성능을 분석한다.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QoS 지원을 위한 다중계층 MAC 프로토콜 (A QoS Aware multi-layer MAC(QAML-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성철;박현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1-11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QoS를 인지하여 이를 지원하는 다중 계층 QAML-MAC(QoS Aware Multi-layer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노드들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늘이는 방법 중의 하나인 sleep-awake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노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 응급성에 따라 우선순위 클래스로 나누어 저장한다. 또한 cross-layer 개념을 도입하여 동일한 목적지로 향하는 데이터를 재정돈한다. 제안된 MAC 프로토콜은 기존 관련 프로토콜의 문제점인 지연(delay)을 줄이는 동시에 실시간의 멀티미디어 트래픽 혹은 미리 정해진 필드 모니터링과 같은 응용에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와 같은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함으로써 전송에 응급한 데이터를 먼저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각 노드에서 전송할 우선순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idle listen에 있어서 다중의 계층을 사용함으로 데이터전송에서의 충돌을 줄임으로 노드에서 소모하는 에너지를 줄이며, 결국 전체 네트워크 수명을 늘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호흡기반 운전자 졸음 감지를 위한 압력센서 시스템 (A pressure sensor system for detecting driver's drowsiness based on the respiration Paper Template for the KITS Review)

  • 김재우;박재희;이재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5-51
    • /
    • 2013
  • 본 논문에서 호흡 기반의 운전자 졸음 감지 센서 시스템에 대해 언급하였다. 센서 시스템은 운전자의 복부 부분 안전벨트에 장착된 PZT 압력센서와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됐다. PZT 압력센서는 호흡 시 운전자 복부의 움직임에 의해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처리는 Labview를 사용하여 개발됐다. 30세 남자 운전자를 상대로 운전자 졸음 감지 관련 실험들이 수행되어 졌다. 운전자가 각성상태일때 호흡의 크기는 졸음상태일 때보다 컸으며 반대로 호흡 주파수는 낮았다. 이런 실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졸음 감지 센서 시스템은 운전자의 졸음을 성공적으로 실시간 감지할 수 있었다.

국내 중고등학생들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소비패턴 및 부작용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Consumption Patterns of High-Caffeinated Energy Drinks and Adverse Effects by Surveys from Student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 양영모;허완;정은;이재준;최은주
    • 약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387-396
    • /
    • 2014
  • High Caffeinated Energy Drink (HCED)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has been exponentially increasing. The intake of HCED may cause various side effects. However, studies regarding intake of HCED in adolescents have been rarely implemen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CED consumption patterns among adolescents and prevalence of adverse effects from HCED consumption and to compare them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ith 31 questions was used to evaluate HCED consumption patterns and adverse effects. Among 792 students, 455 who had drunken HCE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Nine (4.0%) Middle School Students (MSSs) and 11 (4.8%) High School Students (HSS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HCED, and 188 (83.6%) MSSs and 221 (96.1%) HSSs had heard that HCED contains high amount of caffeine. Seventy-four (36.8%) MSSs drank their first HCEDs from curiosity and 63 (31.3%) MSSs to stay awake while studying. However, 134 (61.2%) HSSs consumed their first HCEDs to keep awake while studying, and 57 (26.0%) HSSs from curiosity. Twenty-eight (12.5%) MSSs and 46 (20.3%) HSSs had increase in heart rate, 52 (23.2%) MSSs and 83 (36.4%) HSSs insomnia, and 8 (3.6%) MSSs and 18 (7.9%) HSSs hand and facial tremor. As shown in this study, HCED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was high. Thus, Korean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focus its efforts to educate not only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their parents for HCEDs in order to increase parents' awareness of HCEDs and conduct education regarding HCED intake at home above all.

바이코히어런스 분석 기법을 이용한 마취 단계별 뇌파의 특성 분석 (EEG Signal Characteristic Analysis for Monitoring of Anesthesia Depth Using Bicoherence Analysis Method)

  • 박준모;박종덕;전계록;허영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1호
    • /
    • pp.35-41
    • /
    • 2006
  • Although reachers have studied for a long time, they don't make criteria for anesthesia depth. anesthetists can't make a prediction about patient's reaction. Therefor, patients have potential risk such as poisonous side effect late-awake, early-awake and strain reaction. EEG are received from twenty-five patients who agreed to investigate themselves during operation with Enflurane-anesthesis in progress of anesthesia. EEG are divided pre-anesthesia, before incision of skin, operation 1, operation 2, awaking, post-anesthesia by anesthesia progress step. EEG is applied pre-processing, base line correct, linear detrend to get more reliable data. EEG data are handled by electronic processing and the EEG data are calculated by bicoherence. During pre-anesthesia and post anesthesia, appearance rate of bicoherence value is observed strong appearance rate in high frequency range($15\~30Hz$). During the anesthesia of patient, a strong appearance rate is revealed the low frequency area(0~10Hz). After bicoherence is calculated by percentage of a appearance rate, that is, Bicpara$\#$1, Bicpara$\#$2, Bicpara$\#$3 and Bicpara$\#$4 parameter are extracted. In result of bicoherence analysis, Bicpara$\#$2 and Bicpara#4 are considered that the best parameter showed progress of anesthesia effectively. And each separated bicoherence are calculated by average bicoherence's numerical value, divide by 2 area, appear by each BicHz$\#$1, BicHz$\#$2, and observed BicHz$\#$1/BicHz$\#$2's change. In result of bicoherence analysis, BicHz$\#$1, BicHz$\#$2 and BicHz$\#$1/BicHz$\#$2 are considered that the best parameter showed progress of anesthesia effectively. In conclusion, I confirmed the anesthesia progress phase, concluded to usefulness of parameter on bispectrum and bicoherence analysis and evaluated the depth of anesthesia. In the future, it is going to use for doctor's diagnosis and apply to protect an medical accident owing to anesth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