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control leve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8초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기반 자율주행차 판단능력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선정 (Selection of Evaluation Metrics for Grading Autonomous Driving Car Judgment Abilities Based on Driving Simulator)

  • 오민종;진은주;한미선;박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63-73
    • /
    • 2024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 중인 자율주행차 Level 3에서 Level 5단계는 운전자의 인지-판단-제어과정을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로 대체하여, 운전과정의 대부분을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현재 자율주행차는 국가별로 상이한 자율주행차의 판단능력 최소기준을 만족할 경우, 임시운행 허가를 받아 도로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향후 자율주행차가 보급될 때 구매자들은 임시운행 허가의 한계로 위험상황 회피능력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기반으로 운전자의 위험상황 회피능력 비교·평가를 통해 자율주행차 판단능력 등급화 방안 제시 및 시나리오별 등급화가 가능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실험에는 성인 30명(남=25, 여=5명)이 참여하였다. 실험결과 분석은 K-평균 군집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판단능력 등급 분류가 가능함과 등급 분류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자율주행차의 위험상황 회피능력에 대한 신뢰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퍼지 인공 면역망 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이동로봇 시스템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based on a Fuzzy Artificial Immune System)

  • 이동제;최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57-260
    • /
    • 2007
  • 본 논문은 초음파 센서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항체와 항원으로 모델링 된 퍼지 인공 명역망에 의한 하위 행위기와 상위 행동 선택기로 설계된 자율이동로봇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외부 환경과 행동 패턴의 관계는 매우 많은 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 속에서 행동의 우선 순위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이러 복잡한 결정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퍼지 인공 면역망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제안된 자율이동로봇의 행위 선택기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 PDF

퍼지 인공 면역망 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이동로봇 시스템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based on a Fuzzy Artificial Immune System)

  • 이동제;최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083-2089
    • /
    • 2007
  • 본 논문은 초음파 센서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항체와 항원으로 모델링 된 퍼지 인공 명역망에 의한 하위 행위기와 상위 행동 선택기로 설계된 자율이동로봇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외부 환경과 행동 패턴의 관계는 매우 많은 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 속에서 행동의 우선 순위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이런 복잡한 결정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퍼지 인공 면역망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제안된 자율이동로봇의 행위 선택기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유연한 자율화 수준의 적응형 임무통제 아키텍처 (Adaptive Mission Control Architecture with Flexible Levels of Autonomy)

  • 박원익;이호주;최준성;최덕선;김종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5-276
    • /
    • 2024
  • The future battlefield operation concept does not focus on advanced and complete weapon systems, but requires a new battlefield operation concept that can effectively demonstrate offensive power by combining a large number of low-cost, miniaturized weapons. Recently, research on the autonomous application of major technologies that make up the mission control system is actively underway. However, since the mission control system is still dependent on the operator's operating ability when operating multiple robots, there are limitations to simply applying the automation technology of the existing mission control system. Therefore, we understand how changes in operator capabilities affect multi-robot operation and propose an adaptive mission control architecture design method that supports multi-robot integrated operation by adjusting the level of autonomy of the miss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operator capability.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한 차량 추종을 위한 RSS 모형의 안전거리 비교 (Comparison of RSS Safety Distance for Safe Vehicle Following of Autonomous Vehicles)

  • 박성호;박상민;홍윤석;류승규;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4-95
    • /
    • 2018
  • 자율주행 과실 여부 판단 위한 방법으로 수학적인 모형인 responsibility-sensitive safety(RSS)를 제시된 이후로 자율주행 관련 산업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학적 모형이 자율주행자동차가 관련된 교통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SS 모형의 적용성과 활용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RSS 모형을 활용하기에는 모형식 자체 및 수용성 등에 한계가 있으며, RSS 모형을 실무적으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자율주행자동차의 반응시간을 정의하고, 자율주행자동차별로 적절한 기술수준에 따라서 반응시간 값을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times$6 이동로봇의 경로추종을 위한 동역학 시뮬레이션 (Full Dynamic Model in the Loop Simulation for Path Tracking Control of a 6$\times$6 Mobile Robot)

  • 허진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1-148
    • /
    • 2008
  • In this paper, we develop a detailed full dynamic model which includes various rough terrains for 6-wheel skid-steering mobile robot based on the real experimental autonomous vehicle called Dog-Horse Robot. We also design a co-simulation for performance comparison of path tracking algorithms. The control architecture in the co-simul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levels. The high level control is the closed-loop control of path tracking to follow a given path, and the low level is concerned about torque control of wheel motion. The simulation using the mechanical data of the Dog-Horse Robot is performed under the Matlab/Simulink environment. We also simulat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based adaptive controller.

MODEL-BASED DESIGN FOR HIGH ANTONOMY SYSTEMS

  • Chi, S.D.;Zeigler, B.P.;Park, S.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585-1590
    • /
    • 1991
  • This paper presents the principles for design of autonomous systems whose behavior is based on models that support the various tasks that must be performed. We propose a model-based architecture aimed at reducing the computational demands required to integrate high level symbolic models with low level dynamic models. Model construction methods are illustrated to outfit such an architecture with the models needed to meet given objectives.

  • PDF

Design of An Intelligent Hybrid Controller for Autonomous Mobile Robot

  • Baek, Seung-Min;Kuc, Tae-Y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46.2-146
    • /
    • 2001
  • Recently, a need of non-industrial robot, such as service, medical, entertainment and house-keeping robot,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e capability of robot which can do intelligent behavior like interaction with men and its environment become more prominent than the capability of executing simple repetitive task. To implement an intelligent robot which provides intelligent behavior, an effective system architecture including perception, learning, reasoning and action part is necessary. Control architectures for intelligent robot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lasses. One is deliberative type controller which is applicate to high level intelligence like environment ...

  • PDF

선박 추진용 저압 전동기에 대한 2레벨 및 3레벨 인버터의 직접토크제어 비교 (Comparison of DTC between two-level and three-level inverters for LV propulsion electric motor in ship)

  • 류기탁;김종필;이윤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1호
    • /
    • pp.71-79
    • /
    • 2024
  • In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at sea and the introduction of unmanned autonomous ships, electric propulsion ships are garnering significant attention. Induction machines used as propulsion electric motor (PEM) have maintenance advantages, but speed control is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for speed control is DTC (direct torque control). DTC is simple in the reference frame transformation and the stator flux calculation. Meanwhile, two-level and three-level voltage source inverters (VSI) are predominantly used. The three-level VSI has more flexibility in voltage space vector selection compared to the two-level VSI. In this paper, speed is controlled using the DTC method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PEM. The speed controller employs a PI controller with anti-windup functionali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level VSI and three-level VSI are compar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that proper control of speed and torque has been achieved. In particular, the torque ripple was small and control was possible with a low DC voltage at low speed in the three-level VSI.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DTC, using a three-level VSI,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system's response performance.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측위 보정 표지 연구 (A Study on Position Correction Sign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전영재;박철우;원상연;이준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61-172
    • /
    • 2023
  • 자율주행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주행환경을 인지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 및 제어한다. 센서 기술 및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발달로 자율주행기술의 수준은 향상되고 있으나 완벽한 자율주행기술의 구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을 인프라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협력주행을 통해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측위를 보정할 수 있는 인프라로서 기준을 제공하는 측위 보정 표지를 개발하였다. 우선 기존의 자율주행을 위한 측위 기술 현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정사각형의 반사면 두 개로 구성된 1차 제작물과 각 반사면의 상하 길이를 늘인 2차 제작물에 대해 포인트 클라우드 개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1차 및 2차 제작물 모두 최소 15m 거리에서 시설물을 라이다 센서로 인식할 수 있었고, 상하 길이를 확장한 2차 제작물이 1차 제작물보다 포인트 클라우드 개수도 더 많으며 시설물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