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불면환자 175명의 심박변이도, 체성분 분석 및 동반증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rt Rate Variability, Body component analysis and accompanying symptoms in 175 Insomnia Patients)

  • 하지원;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39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types of insomnia and accompanying symptoms of 175 insomnia patients. Methods :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HRV, Inbody of 175 patients with insomnia who have come to Dongeui oriental hospital of Dongeui university from the period of Janaury 2008 to September 2010. We studied the association of the insomnia patients' age and gender with HRV, accompanying symptoms and the types of insomnia. The information of the accompanying symptoms and types of insomnia was based on each patients' progress note. Results : 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HRV between male and female. 2. The most frequent symptom shown among the insmonia patents' was headache(41.14%). 3. Comparing the symptoms between the gender, female patients had more dry mouth, alternative periodic chill and fever, and hot flush symptoms than the male patients. 4. Comparing the symptoms between the age groups(divided in two), the lower age group (20~59) had more dizziness and constipation symptoms than the higher age group (over 60). 5. Comparing the types of insomma between the age group, the higher age group (over 60) had more termination insomnia. 6. The types of insomnia of the entire insomnia patients were onset insomnia (73.1%), maintenance insomnia(20.6%), termination insomma(l7.1 %), shallow sleep (52.6%), listed by order of frequency. 7. The patients who takes hypnotics had more anorexia symptoms than the patients who doesn't take hypnotics. 8. There was no visible differences of the average fractal portrait between male and female. The age group of 20~30yrs. had the highest average fractal portrait, and the age group of 30~59yrs. the second highest, and the age group over 60yrs. the lowest. 9. The average of the regulation reserv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B2) - was lower than the regulation level of the ANS at the present (Bl). 10. When compared the priority of the function of the ANS, i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HF($38.61{\pm}29.19%$)was the most, and than VLF($30.65{\pm}23.36%$), LF($20.04{\pm}19.13%$) the least. 11. The average of the compensation level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t present(Cl) - was lower than the compensation reserves of the CNS(C2). 12. The average of the control reserves of the cerebrum(D2) - was lower than the control level of the cerebrum at the present (Dl). 13. There was no visibl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sexes and ages in pulse rate. 14. The abdomen fat ratio above the line of the insomnia patients was 77.97% in male and 93.1% in female. Both sexes showed that insomnia patients had more abdomen fat that the standard, and female patients had more abd. fat than male patient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 HRV of insomnia patien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Fractal portrait, HF, LF and VLF of the insomnia patients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ge. The study of the Body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female had more abdomen fat than male, and both gender showed more abdomen fat than the standard. When looked into the accompanying symptoms of the insomnia patients, the symptoms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hypnotics taking, as shown as below. In the entire patients, Headache was the most accompanying symptom. Female had more dry mouth, alternative periodic chill and fever, and hot flush symptoms than male. Higher age groups had more dizziness and constipation as accompanying symptoms than lower age groups. Patients who takes hypnotics had more anorexia than those who dont.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심박변이지표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HRV Parameter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Trauma·Stressor Related Disorder)

  • 김지은;박도원;한지연;이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88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를 이용하여,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차이를 비교하고 증상 심각도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 방 법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스트레스 클리닉 내원 환자의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총 473명 환자(불안장애 166명, 우울장애 184명,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123명)의 HRV 지표의 진단 군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지표와 전반적 임상 인상 심각도(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의 연관성이 진단군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세 군에서 HRV 지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심박도 간격(normal-to-normal, NN)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of normal RR intervals, SDNN)와 연속된 NN 간격들의 변이의 제곱 평균값의 루트 값(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의 CGI-S와의 관련성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SDNN, p=0.017 ; RMSSD, p=0.034).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에서는 CGI-S에 따른 SDNN, RMSSD가 음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에서는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세 군의 HRV 지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각 군에서 지표와 임상적 심각도와의 연관성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은 HRV의 특징 및 임상적 활용이 불안 및 우울장애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과 일차성 불면증에서 심박동률 변이도 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Heart Rate Variability Indices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Primary Insomnia)

  • 남지원;박두흠;유재학;유승호;하지현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68-76
    • /
    • 2012
  • 목 적: 수면 장애는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유발하여 심혈관계에 영향을 준다. 일차성 불면증(primary insomnia, 이하 PI)은 수면부족 및 각성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빈번한 각성, 저산소증 등으로 교감신경계 항진을 유발한다. 이에 OSAS와 PI 사이에서 심박동률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이하 HRV) 분석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로 선택된 PI와 OSAS 전체 315 명의 대상자 중 OSAS는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에 따라서 경도, 중등도, 중증도 OSAS로 분류하여 PI를 포함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연령, 성별, 군간 개체수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10명의 대상자가 선택되었고, PI군(평균나이 41.50, 표준편차 13.16, AHI <5, n=20), 경도 OSAS군(평균나이 43.67, 표준편차 12.11, AHI 5~15, n=30), 중등도 OSAS군(평균나이 44.93, 표준편차 12.38, AHI 16~30, n=30), 중증도 OSAS군(평균 나이 45.87, 표준편차 12.44, AHI >30, n=30)의 4개 군으로 나누었다. 이후 NPSG를 통해 얻은 각 군의 HRV 지수 비교를 위하여 연령과 체질량지수(body weight index, BMI)를 공변량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한 후 사후분석으로 Sidak 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HRV 지수의 비교 결과 PI군과 경도, 중등도의 OSAS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PI군과 중증도 OSAS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군간비교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현저한 차이를 보인 PI군과 중증도 OSAS군에서 HRV 지수 중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각각의 값은 다음과 같았다. Average RR interval은 $991.1{\pm}27.1$$875.8{\pm}22.0$ ms(p=0.016),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DNN)은 $85.4{\pm}6.6$$112.8{\pm}5.4$ ms(p=0.022), SDNN index는 $57.5{\pm}5.2$$87.6{\pm}4.2$(p<0.001), total power는 $11893.5{\pm}1359.9$$8097.0{\pm}1107.2ms^2$(p=0.008), very low frequency(VLF)는 $7534.8{\pm}1120.1$$11883.8{\pm}912.0ms^2$(p=0.035), low frequency(LF)는 $2724.2{\pm}327.8$$4351.6{\pm}266.9ms^2$였다(p=0.00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I군에 비해 중증도의 OSAS군에서 HRV 지수 중 교감신경계의 영향을 많이 받는 VLF, LF 등이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를 통해 PI에 비해 중증도의 OSAS가 교감신경계 활동증가에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방기공체조가 두뇌력, 심박변이율, 생혈액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riental Medicine Gi-Gong Exercise on the Brain Power, HRV, Live Blood Condition in the Youth)

  • 이정원;김이순;김경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6-13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on the brain power, HRV, pulsation, live blood condition among young boys and girls.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wo group(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4 young boys and girls selected by a some middle school in Busan. The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program consists of 80-minute sessions three times a week over 5 months. All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on the congnition assessment tool, stress assessment tool, oriental medicine pulsation 3-D MAC, live blood condition analyzer Prior and post survey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cognition assessment, the amplitude of ERS were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The Success and th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the Erro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The Cognition str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Reponse tim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And the Workload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Scor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Among the stress assessment, RRV tachogram's ‘mean R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ean HRV’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SDN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lexity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And TP(RRV power's total power)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VLF and H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L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ANS's norm LF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ut norm H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In the RRV's Phase Plot, RMSSD and SDSD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pnn50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On the whole,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Stress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Cardiac Activity and Physical Arousal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er Qigong Exercise. Cardiac Aging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Sympathetic Activity, Autonomic Nervous System Balance and Heart-load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er Qigong Exercise. In the pulsation, press power was increased(15%), and w/t(pressurization time / pulsation time) was decreased(20%) afer Oigong Exercise. And the live blood condition was not changed afer Qigong Exercise. As mentioned above; the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program was identified the effects of the inspiration of the brain power, heart rate and anti-stress.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 서용우;조인희;신광철;정용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72-180
    • /
    • 2000
  •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 PDF

척추온열마사지기기의 1회 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증거: 선행 연구 (Objectiv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Single-session Treatment with a Spinal Thermal Massage Device: A Pilot Study)

  • 나영일;김시윤;백승민;이정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209-218
    • /
    • 2022
  • 마사지 치료는 1회 치료만으로 통증을 경감시키고 스트레스를 이완시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1회 마사지 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인한 연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마사지 치료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척추 마사지 기구로 1회 치료를 실시하여 통증 경감과 스트레스 이완의 효과의 증거를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10년 전부터 시각적상사척도 4점의 요통이 있었던 45세 남자 환자 1인을 대상으로 척추 마사지 기구를 실시한 1차 실험과 침상안정을 실시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시각적상사척도 측정과 실시간으로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여 자율신경계를 확인하였고 총 5회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관련 혈액검사(코르티솔,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를 실시하였습니다. 침상안정을 취한 2차 실험에 비해 척추 마사지 기구로 1회 치료를 받은 1차 실험에서 유의미한 통증 감소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1차 실험에서 자율신경계 활성도 및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혈중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감소되어 있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마사지 치료 효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1회 척추 마사지 기구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의 증거라 사료됩니다.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I) : 병태생리적 기전 (Depres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I) : Pathophysiologic Mechanisms)

  • 배경열;김재민;윤진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4호
    • /
    • pp.275-28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주요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는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혈액 응고 경향, HPA 축 기능 및 ANS 조절 이상, 상승된 염증 반응 상태 등과 더불어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이 공통된 유전적 위험 인자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 등이 있다. 혈액 응고와 관련되어서는 혈소판의 활성 및 반응성 증가, 혈관 내피 기능 이상, 혈액 응고 인자의 증가 등이 구체적인 병리 기전으로 제시 되었으며, HPA 축 및 ANS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서는 혈장내 카테콜라민의 증가와 이와 연관된 심박수 증가 및 심박 변이성의 감소, 기타 혈역학적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한 부정맥 및 죽상경화증의 촉진이 주요한 기전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CRP 등과 같은 염증 표지자 연구를 통해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염증 반응이 죽상경화증이나 혈전 형성과 관계 되어있을 가능성 역시 제시되었다. 하지만 역으로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의 동반 이환율이 높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질환에서의 어떤 병태생리적 변화가 우울증의 발병 및 경과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 이외에도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 외의 제3의 요인 즉, 유전적 위험 인자가 두 질환에 선행함을 제시하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이 공통된 유전적 취약성을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들도 있다. 그 밖에도 우울증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연구나 ${\Omega}$-3 지방산, homocystein 수준에 주목한 일부 연구들이 존재하며,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는 뇌혈관에도 죽상경화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뇌의 특정 부위에 혈류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이것이 혈관성 우울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한 연구들도 있다. 우울증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은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울증이라는 대상 질환 자체의 이질성과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항응고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병태생리 규명 연구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병태생리적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는 향후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의 우울증의 중요성을 치료자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 예후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