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영한 기계번역의 자연어 생성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Language Generation by Machine Translation)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9-94
    • /
    • 2005
  • 기계번역에서 자연어 생성의 목적은 입력언어의 어구 분석을 이용하여 그 문장의 의미를 변환해주는 목적 언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것은 언어적 구조 낱말 전사. 대화체 언어, 어휘적 정보 등을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체 자동 기계번역 시스템 구현계획의 일부인 음성, 음운 분야에서 담당하게 될 음성인식과 음성합성 알고리듬을 확립하기 위한 한국어 특질에 대한 기초조사를 하고자 한다. 또한 기계번역의 단계를 분석하여 형태소 분석 단계와 구문 분석 단계, 의미 분석 단계로 구분한다. 형태소 분석은 입력 문장을 받아 분리된 형태소를 사전 내에서 검색하여·품사 정보를 얻고 이웃하는 단어와의 접속 관계가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되었는지를 점검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대화체 기계번역 시스템 구현계획의 종합적 입장에서는 단순한 기초조사일 수 있지만, 한국어의 교육 및 기계번역 이해의 측면에서는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교육적 측면에서의 직접적 활용을 여러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On-Line Blind Channel Normalization for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 Jung, Ho-Young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1권3호
    • /
    • pp.143-151
    • /
    • 2012
  • A new data-driven method for the design of a blind modulation frequency filter that suppresses the slow-varying noise components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temporal local decorrelation of the feature vector sequence, and is done on an utterance-by-utterance basis. Although the conventional modulation frequency filtering approaches the same form regardless of the task and environment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an adaptive modulation frequency filter that outperforms conventional methods for each utterance. In addition, the method ultimately performs channel normalization in a feature domain with applications to log-spectral parameters.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speaker-independent isolated-word recognition experiments under additive noise environments. The proposed method achieved outstanding improvement for speech recognition in environments with significant noise and was also effective in a range of feature representations.

  • PDF

자동통역기술, 서비스 및 기업 동향 (Trends in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Technology, Service and Business)

  • 김승희;박준;김상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9권4호
    • /
    • pp.39-48
    • /
    • 2014
  • 최근 음성인식, 자동통역,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교류가 급속히 확장되고, 관련 서비스들이 속속 제공됨에 따라 자동통역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자동통역 시장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자동통역 요소기술들의 개념 및 최근 동향에 대해 기술하며, 대국민 자동통역 시범 서비스인 지니톡에 대해 기술한다.

  • PDF

다국어 자동통역 기술동향 및 응용 (The Trends and Application of Multilingual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Technology)

  • 김승희;윤승;조훈영;최승권;김상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5호
    • /
    • pp.1-13
    • /
    • 2011
  • 근래에 국가 간 교류가 한층 활발해지고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쉽게 자동통역 제품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자동통역 기술은 1990년대부터 세계 각국에서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단계, 시범 서비스 및 실용화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이제는 수십 개의 언어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용 자동통역 앱이 소개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고에서는 다국어 자동통역의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최근 자동통역 기술의 개발 동향 및 응용 사례에 대해 기술한다.

  • PDF

하이브리드 자동 통역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ybrid Automatic Interpret Support System)

  • 임총규;박병호;박주식;강봉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3-141
    • /
    • 2005
  • The previous research has been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technology of voice recognition, voice synthesis, translation, and bone transmission technical. Recently, commercial models have been produced using aforementioned technologies. In this research, a new automated translation support system concept has been proposed by combining established technology of bone transmission and wireless system. The proposed system has following three major components. First, the hybrid system consist of headset, bone transmission and other technologies will recognize user's voice. Second, computer recognized voice (using small server attached to the user) of the user will b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 Then it will be translated into other user's language by translation algorithm. Third, the translated language will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 transmitted signal will be converted into voice in the other party's computer using the hybrid system. This hybrid system will transmit the clear message regardless of the noise level in the environment or user's hearing ability. By using the network technology, communication between users can also be clearly transmitted despite the distance.

SMS 변형된 문자열의 자동 오류 교정 시스템 (Automatic Error Correction System for Erroneous SMS Strings)

  • 강승식;장두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6호
    • /
    • pp.386-391
    • /
    • 2008
  • 휴대폰과 메신저 등 통신 환경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표준어가 아닌 왜곡된 어휘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어휘들은 음성 인식, 음성 합성, 문서 정보 추출 등 언어처리 및 관련 분야의 응용 시스템에서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본 논문에서는SMS 문장들의 변형 및 띄어쓰기 오류를 자동으로 교정하여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의 성능 저하 문제를 방지하는 문자열 오류의 교정 방법을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형된 문자열 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1) 통신 어휘집을 기반으로 수동으로 구축하는 방법, (2) 수작업으로 구축된 말뭉치로부터 자동으로 변형된 문자열을 추출하는 방법, (3) 자동으로 변형된 문자열을 추출할 때 좌우 문맥을 고려하는 방법에 대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하여 비교-분석 및 성능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벌크 지표의 신경망 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모음 'ㅡ'의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of the Korean Vowel 'ㅡ' based on Neural Network Learning of Bulk Indicators)

  • 이재원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617-624
    • /
    • 2017
  • 음성 인식은 HCI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가정 자동화, 자동 통역, 차량 내비게이션 등 음성 인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많은 응용들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음성 인식 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부로서, 한국어 모음 'ㅡ'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주파수 영역 대신, 시간 영역에서 계산되는 지표인 벌크 지표를 사용하므로, 인식을 위한 계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모음 'ㅡ'의 전형적인 시퀀스 패턴들을 표현하는 벌크 지표들에 대한 신경망 학습을 수행하며, 최종적인 인식을 위해 학습된 신경망을 사용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모음 'ㅡ'를 88.7%의 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인식 속도는 어절 당 0.74msec이다.

한국어 음성데이터를 이용한 일본어 음향모델 성능 개선 (An Enhancement of Japanese Acoustic Model using Korean Speech Database)

  • 이민규;김상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8-445
    • /
    • 2013
  • 본 논문은 일본어 음성인식기 신규 개발을 위해 초기에 부족한 일본어 음성데이터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일본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이 유사한 특성을 근거로 한국어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일본어 음향모델 성능개선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종언어 간 음성 데이터를 섞어서 훈련하는 방법인 Cross-Language Transfer, Cross-Language Adaptation, Data Pooling Approach등 방법을 설명하고, 각 방법들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일본어 음성데이터 양에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였다. 기존의 방법들은 훈련용 음성데이터가 크게 부족한 환경에서의 효과는 검증되었으나, 목적 언어의 데이터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에서는 성능 개선 효과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Data Pooling Approach의 훈련과정 중 Tyied-List를 목적 언어로만으로 구성 하였을 때, ERR(Error Reduction Rate)이 12.8 %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자동통역용 한국어 음성 데이터베이스 (A Korean Speech Database for Use in Automatic Translation)

  • 최인정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제11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 논문집 (SCAS 11권 1호)
    • /
    • pp.287-290
    • /
    • 1994
  • 음성 인식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베이스구축이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개별적인 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에 따른 중복 투자를 줄이고 다양한 인식 알고리듬의 성능 비교와 국내 음성 인식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벤치마크 시험을 위한 공통의 음성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 통신연구실에서 제작한 한국어 음성 데이터베이스에 관하여 기술한다. KAIST 음성데이타베이스는 자동통ㅇ역을 N이한 무역 상담과 관련되 3,000 단어 규모의 연속어를 비롯하여, 가변 길이 연결 숫자음, phoneme-balanced 75 고립단어, 지역명 관련 500 고립단어, 한국어 아-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하여 사용된 태스크선정 절차, 녹음 방법, 규격, 및 기대효과 등 세부사항을 기술한다.

  • PDF

자동통역 기술 동향 및 응용 (The Trends and Application of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Technology)

  • 김승희;조훈영;윤승;김창현;김상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3호
    • /
    • pp.28-39
    • /
    • 2010
  • 근래에 국가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언어 장벽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동통역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시작된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시범 서비스 및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현재 이라크 내 미군에 의한 군사 목적, 미국 내 병원 진료, 여행시 통역 등의 목적에 자동통역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동통역 기술 및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최근 자동통역 기술의 개발 동향 및 응용 사례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