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dairy system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착유시스템 및 계절이 홀스타인 착유우의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Milking Instrument and Season on Milk Composition in Holstein-Friesian lactating Cows)

  • 남인식;허병무;박호경;민태홍;손용석;박성민;권응기;장경만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7-10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ilking instrument and season on milk composition (fat, protein, non-fat milk solids, milk urea nitrogen and somatic cell count) on Holstein-Friesian lactating cows. Raw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0 automatic milking system (AMS) installed dairy farms and 85 conventional milking system (CMS) installed dairy farms. Milk fat, protein, NFMS and MUN contents did not changed between AMS and CMS and different season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SCC in AMS was $239{\times}10^3cells/mL$ which was lower than in CMS ($373{\times}10^3cells/mL$, (p<0.05). In conclusion,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SCC in milk might be influenced by AMS. However, this area needed more study to confirm the reason of reducing SCC content from AMS.

Covariance Among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in Holstein Dairy Cows in Korea

  • Kim, Tae-Il;Mayakrishnan, Vijayakumar;Baek, Kwang-Soo;Jeong, Ha-Yeon;Park, Boem-Young;Lim, Dong-Hyu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6호
    • /
    • pp.137-144
    • /
    • 2017
  • A diverse of recommendation has been made for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dairy cows, despite demanding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lactation number and various factors is yet to be established.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variance among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was considered to increase an efficiency of selection schemes and to manage more efficiently Holstein dairy cows that have been raised on small-scale family farms in Republic of Korea. For that purpose, the data were observed from 850 Holstein dairy cows, which a total of 3929 milking, since April 2016 - January 2017. We measured the body weight, height, age,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of the each dairy cow. Also, information about the date of lactation,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was recorded using an automatic milking system(AMS) with identification numbers. Milk production was calculated per udder quarter in the AMS. Our study results showed the increased average body weight(p>0.05) in 1, 2, 3, and $4^{th}$ lactating dairy cows and afterwards, we noticed the tendency on the average body weight(p<0.05) per lactation progres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iced on height measurement of dairy cows. From the processing data of 850 Holstein dairy cows, the lactation number 1 and 7 had a greater calving interval with significantly lowered milk production, and the lactation number 2, 3, 4, 5, and 6 had significantly lowered the calving interval(p<0.05) with a greater milk production. From our study results, we evidenc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and the maximum production of milk occurring in the $3^{rd}$ and $4^{th}$ lactation dairy cows. The achieved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by the small-scale farmers to encourage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in Holstein dairy cows in Kore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high temperature-humidity index and milk performance and quality in Korean dairy system: big data analysis

  • Dongseok Lee;Daekyum Yoo;Hyeran Kim;Jakyeom Se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588-595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milk traits in South Korea using comprehensive data (dairy production and climate). The dataset for this study comprised 1,498,232 test-day records for milk yield, fat- and protein-corrected milk, fat yield, protein yield, milk urea nitrogen (MUN), and somatic cell score (SCS) from 215,276 Holstein cows (primiparous: n = 122,087; multiparous: n = 93,189) in 2,419 South Korean dairy her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7 to April 2020 through the Dairy Cattle Improvement Program, and merged with meteorological data from 600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roug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segmente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on milk traits and elucidate the break point (BP) of the THI. To acquire the least-squares mean of milk traits,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applied using fixed effects (region, calving year, calving month, parity, days in milk, and THI). For all parameters, the BP of THI was observed; in particular, milk production parameters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a specific BP of THI (p < 0.05). In contrast, MUN and SCS drastically increased when THI exceeded BP in all cows (p < 0.05) and primiparous cows (p < 0.05), respectively. Dairy cows in South Korea exhibited negative effects on milk traits (decrease in milk performance, increase in MUN, and SCS) when the THI exceeded 70; therefore, detailed feeding management is required to prevent heat stress in dairy cows.

Comparison of the fit of automatic milking system and test-day records with the use of lactation curves

  • Sitkowska, B.;Kolenda, M.;Piwczynski,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408-415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e paper was to compare the fit of data derived from daily automatic milking systems (AMS) and monthly test-day records with the use of lactation curves; data was analysed separately for primiparas and multiparas.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three Polish Holstein-Friesians (PHF) dairy herds. The farms we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milking system which provided information on milking performance throughout lactation. Once a month cows were also subjected to test-day milkings (method A4). Most studie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re based on test-day data; therefore, we aimed to compare models based on both test-day and AMS data to determine which mathematical model (Wood or Wilmink) would be the better fit. Results: Results show that lactation curves constructed from data derived from the AMS were better adjusted to the actual milk yield (MY) data regardless of the lactation number and model. Also, we found that the Wilmink model may be a better fit for modelling the lactation curve of PHF cows milked by an AMS as it had the lowest values of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mean square error,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s, and was more accurate in estimating MY than the Wood model. Although both models underestimated peak MY, mean, and total MY, the Wilmink model was closer to the real values. Conclusion: Models of lactation curves may have an economic impact and may be helpful in terms of herd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as they assist in forecasting MY at any moment of lactation. Also, data obtained from modelling can help with monitoring milk performance of each cow, diet planning, as well as monitoring the health of the cow.

설문을 통한 6차산업형 목장경영의 애로사항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Questionnaire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Dairy Farm)

  • 이진성;남기택;박성민;손용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55-262
    • /
    • 2016
  • 국내 낙농업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6차산업형 낙농이 대두되었다. 낙농업의 6차산업화란 우유 생산과 목장형 유가공, 제품 판매와 체험/관광 등을 목장에서 수행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 취득하는 것이며, 이에 따른 인력과 시간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AMS의 도입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형 낙농목장의 애로사항과 AMS 관련 사항을 조사함으로써 이에 대한 개선 방안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91개 6차산업화 목장에 대해 우편 및 방문 면담에 의한 조사를 통해 목장 현황, 6차산업과 관련된 농가들의 인식, 문제점, 요구사항 들과 AMS 도입 여부 및 관련 사항을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16개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6차산업화 목장의 규모와 형태는 다양하였으며, 발효유와 신선치즈를 주로 생산하였고, 소비자들이 방문하여 구매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다. 6차산업형 목장에 대한 정부정책에 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았으며, 목장형 유가공을 통한 원유적체 해소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기대가 있었다. 조사 대상 농가들은 '과도한 규제', '판로확보 및 홍보', '자금 부족' 등의 어려움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대기업 수준의 규제보다는 목장형 유가공에 적합한 별도의 규제와 법, 제도를 갖추고 이에 따른 지원과 판로 개척 및 홍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 중 AMS를 도입한 농가는 18.75%였고, CMS 농가 중 향후 AMS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농가는 38.46%로 나타났다. 도입 이유로는 인력과 시간 문제 해결, 관람 및 홍보 효과, 후계 문제 등으로 답한 반면, 도입에 부정적인 이유로는 유성분 및 유질 문제와 비용, A/S 등의 문제로 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빠른 속도로 국내 우유자급률이 하락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부 당국에서 낙농산업의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고,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지원책을 통해서만이 낙농의 6차산업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우군 내 유용한 정보 수집과 기술 향상, 그리고 인력과 시간문제의 해결을 위해 잠재력이 높은 낙농목장을 대상으로 AMS 도입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궁내막염 혹은 자궁축농증 발병 젖소의 생식기 내 분포하는 세균 동정 증례 (Case of Bacterial Identification in Reproductive Organs of Holstein Dairy Cows with Endometritis or Pyometra)

  • 최창용;정영훈;조용일;류재규;임석기;권응기;성환후;김성우;조영무;김창운;강다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7-260
    • /
    • 2015
  • Reproductive disorders in cows cause economic loss in livestock farms. Reproductive diseases, such as follicular cyst, luteal cyst, endometritis, pyometra, and repeat breeding cause infertility. Among these diseases, endometritis and pyometra are uterine infections that are leading causes of inferti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agents of uterine diseases using bacterial culture. Bacteria were obtained from the reproductive organs (vagina, uterine cervix, and uterine horn) of dairy cow diagnosed with endometritis or pyometra, and cultured on blood agar. The colonies obtained from cultivation for 24 hours were passaged. To identify the bacteria, the colonies grown in passaged culture Gram stained and applied to an automatic biochemical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Escherichia coli were commonly detected in vagina, uterine cervix, and uterine horn of dairy cows diagnosed to pyometra. The cows having endometritis showed not only Escherichia coli but also Pantoea spp. and Klebsiella spp. strains. Dairy cows that were infected with Escherichia coli in uterus caused mastitis or digestive dis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nitary feeding and management beforehand are needed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s.

다산차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관련 요인 (Factors Effecting on Artificial Insemination in Multi-Parturition Cattle)

  • 정경용;박성재;김남형;백광수;전병순;임현주;허태영;기광석;이경석;강성용;이현준;장원경;김현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5-15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hysiological and mechanical factors effecting on the pregnancy rates following artificial insemination in dairy cattle. Estrus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cows was checked whether the outflow of mucus from the elements was out flow or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estation rates with mucus release (31.76%) and without mucus release (24.03%). The pregnancy rates were 39.02% in 10~20mm of follicle size group and 27.08% (p<0.05) in 20~30mm diameter of the follicles. There were not different pregnancy rates between twice inseminated dairy cattle and more than 3 times inseminated cattle. The pregnancy rate was 28.57% under automatic milking system. In contrast, under artificial milking system pregnancy rate was 56.85%. Two systems significantly (p<0.05) were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gnancy rates were not effected by physiological system, but mechanical condition.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Surveying for Barn Facilities of Dairy Cattle Farms by Holding Scale)

  • 민병로;서광욱;최희철;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1-262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낙농 전업농의 기계장치 최적 규모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um Number of Machines and Equipments for Professional Dairy Farm)

  • 유병기;이용범;장진택;이동현;권두중;기광석;성시흥;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9
    • /
    • 1996
  • 낙농 전업농의 최적 기계장치 모델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경기도 낙농가 중 사육규모 별로 經産牛 30두 미만, 30~50두, 50두 이상 각 5농가씩 15농가를 현지 방문하였다. 작업공정별 작업방법, 노동투하시간, 작업 비용 분석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經産牛 30두 내외규모, 40두 내외규모, 50두 내외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 기계장치 사육체계를 설정하여 우리나라의 절반 이상 낙농가에서 이용하고 있는 繫留式 牛舍, 양동이식 착유기 중심의 관행 작업 체계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행작업체계에서는 가족 노동 1.5인 기준 년 2,700시간으로 經産牛 15두까지 사육 가능하며, 이 때 필요한 총작업비용은 734천원/년ㆍ두로 산출되었다. 2. 繫留式 牛舍에서 최소작업비용을 구한 결과 호퍼식 농후사료 급여, 워터컵 급수, 파이프 라인 착유, 반크리너 분뇨청소에서는 經産牛 28두까지 사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작업 비용은 520천원/년ㆍ두로 산출되었다. 3. 放飼式 牛舍는 繫留式 牛舍 보다 30두 내외로 사육하는 경우에는 총작업 비용이 더 높았다. 放飼式 牛舍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1열$\times$5두식 헤링본 착유실 착유, 농후사료 자동급여, 무가온보온급수, 스키로더 분뇨청소의 체계로, 經産牛 30두까지 사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작업 비용은 582천원/년ㆍ두로 나타났다. 4. 放飼式 牛舍 40두 내외 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2열$\times$4두식 헤링본 착유실 착유, 농후사료자동급여, 무가온보온급수, 스크레퍼 분뇨청소 체계로, 經産牛 41두까지 사육 가능하고 작업 비용은 501천원/년ㆍ두로 나타났다. 5. 放飼式 牛舍 50두 내외 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2열$\times$3두식 탠덤 착유실, 농후사료 자동급여, 무가온 보온급수, 스크레퍼 분뇨청소체계로, 經産牛 52두까지 사육가능하고 작업 비용은 500천원/두로 나타났다.

  • PDF

착유방식 및 지방 보충급여가 원유 및 지방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Milking System and Supplemental Fat Feeding on Milk and Milk Fat Characteristics)

  • 문주연;이진성;장경만;박성민;박승용;정문웅;손용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209-214
    • /
    • 2015
  • AMS와 CMS 및 보호지방의 급여 여부가 우유 성분과 유지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착유방식과 보호지방 급여 여부에 따라 AMS 및 CMS 목장을 각 4개소씩 선정하여 월 1회 집합유 원유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5개월간 유성분, 유지방구(MFG) 크기, 지방산 및 유리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착유방식에 따른 일반 유성분, MFG 크기, 지방산 조성의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AMS로 착유된 우유의 유리지방산 함량이 CMS로 착유된 우유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이는 AMS 의 착유 횟수가 CMS에 비해 더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호지방을 급여한 농장의 우유를 비급여 농장과 비교하였을 때 유성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장쇄지방산(LCFA)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방구의 크기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급여한 보호지방의 주요지방산인 LCFA가 유지방으로 전이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공시한 모든 AMS 목장에서 원유의 산패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는데, 유리지방산 함량이 CMS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산패를 일으킬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AMS는 유성분 및 유지방 특성의 측면에서 CMS 대비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호지방의 급여는 유지방구 크기 및 장쇄지방산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목장형 유가공을 실시할 경우 이를 응용할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