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Modelling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농촌마을개발의 시설배치 및 시각적 평가 지원을 위 한 공간계획 모형 (A Spatial Planning Model for Supporting Facilities Allocation and Visual Evaluation in Improvement of Rural Villages)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1-8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3 dimensional spatial planning model (3DSPLAM) for facilities allocation and visual evaluation in improvement planning of rural village. For the model development, this study developed both planning layers and a modelling process for spatial planning of rural villages. The 3DSPLAM generates road networks and village facilities location automatically from built area plan map and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ed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model also simulates 3-dimensional villagescape for visual presentation of the planned results. The 3DSPLAM could be conveniently used for automatic allocation of roads, easy partition of land lots and reasonable locating of facilities. The planned results could be also presented in the stereoscopic models with varied viewing positions and angles.

전문가시스템을 활용한 BIM 물리적 품질 검토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BIM Clash Quality Control by Expert System)

  • 권오철;조주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2-35
    • /
    • 2015
  • As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activated, the building information reliability - design quality is getting important. Meanwhile, it is still difficult to reflect the quality control experience to the modelling since the current methods are strongly rely on a certain BIM tools or systems with formal logics and limited information for quality checking. Therefore, the checking results may contain a lot of issues unrelated or unnecessary to the BIM qualiti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firstly performed clash check using a conventional checking tool and secondly interpret the results by an Expert System to filter out more meaningful results. We found this study gave a confirmatio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clash quality control when we link the expert experience to the rule-based automatic checking system.

시스템 모델링이 불확실한 자동화 설비용 액츄에디터를 위한 간단한 지능제어 방식 (A Simple intelligence control method for actuator of an automatic installation with the unknown system modelling)

  • 손동설;이용구;엄기환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1권1호
    • /
    • pp.81-91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모델링이 어렵과 복잡한 자동화 설비를 위한 간단한 지능제어방식을 제안하나. 제안된 방식은 시스템 모델링이 불확실한 시스템에 대하여 입력신호와 직접관계되지 않은 비선형 함수의 동정은 퍼지-신경회로망을 이용하고, 입력신호와 관계되는 비선형 함수는 동정을 하지 않고 임의의 양의 실수로 놓으므로 기존의 전체함수 동정보다 적은량으로 동정할 수 있고, 동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선형 제어기를 설계하는 간단한 제어방식이다. 제안된 제어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화 설비에 액츄에이터로 많이 사용되는 직류 서보전동기를 이용한 역진자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하고, 제안된 제어방식을 기존의 신경회로망 제어방식과 제어성능을 비교 검토한다.

  • PDF

Anti-Swa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Sway of Crane using Neural Network Predictive PID Controller)

  • 손동섭;이진우;민정탁;이권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9-227
    • /
    • 2002
  • In this paper, we designed neural network predictive PID controller to control sway happened in transfer of trolley for automatic travel control system. We include dynamic character of nonlinear system, and mathematical expression veny simple used neural network. When various establishment location and surrounding disturbance were approved based on mathematical modelling of crane, controller designed to become effective control location error and vibration angle of two control variables that simultaneously can predictive control. Neural network predictive PID controller produced parameter of PID controller using neural network self-tuner. Neural network self-tuner's input used crane's output and neural network predictive output. Neural network self-tuner using error back propagation algorithm. We analyzed control performance comparis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when applied disturbance about sway of location and angle in transfer of cran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eural network predictive PID controller has better performances than general PID controller, neural network PID controller.

  • PDF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발음 정확성 자동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Measurement of Pronunciation Accuracy of English Speech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윤원희;정현성;장태엽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7-2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pronunciation of English speech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nunciation proficiency will be measured largely in two areas; suprasegmental and segmental areas. In suprasegmental area, intonation and word stress will be trac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by way of statistical methods using tilt parameters. Durations of phones are also examined to measure speakers' naturalness of their pronunciations. In doing so, statistical duration modelling from a large speech database using CART will be considered. For segmental measurement of pronunciation, acoustic probability of a phone, which is a byproduct when doing the forced alignment, will be a basis of scoring pronunciation accuracy of a phone. The final score will be a feedback to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 PDF

모터전류를 기초로 한 드릴 마멸 모델링과 실시간 마멸 추정 (Drill Wear Modelling based on Motor Current and Application to Real-time Wear Estimation)

  • 김화영;안중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7-87
    • /
    • 1995
  • In-process detection of drill wea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igies for automatic, unmaned machining systems. In this study, an on-line drill wear estimation model based on spindle/Z-axis motor current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is proposed. The theoretical model is obtained by integrating the drilling process model and the servomechanism model. The drilling process model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drill wear and drilling torque/ thrust force, whereas the servomechanism model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drilling torque/ thrust force applied to motor and spindle/Z-axis motor current. Evaluation tes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odel is a good real-time estimator for drill wear.

  • PDF

MR 영상에서 밝기값 분포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활성형상모델 기반 전립선 자동 분할 (Automatic Prostate Segmentation in MR Images based on Active Shape Model Using Intensity Distribution and Gradient Information)

  • 장유진;홍헬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2호
    • /
    • pp.110-1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R 영상에서 밝기값 분포와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전립선 자동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첫째, 적응적 밝기값 프로파일과 다해상도 기법을 이용하는 활성형상모델을 통해 전립선 표면을 추출한다. 둘째, 표면 형상의 지역적 최적화로 인한 흘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흘 제거 기법을 수행한다. 셋째, 해부학적으로 변이가 큰 표면 형상은 2차원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다. 이때, 보정된 표면 형상은 한정된 정점의 개수로 산정되어 매끄럽게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재구성 및 평활화 기법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형상으로 표현한다. 제안방법의 평가를 위하여 육안평가와 정확성 평가 그리고 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정확성 평가는 두 명의 임상전문의의 수동분할 결과와 자동분할 결과 간의 평균거리차이와 중복볼륨비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거리차이는 0.3${\pm}$0.21mm 측정되었고, 중복볼륨 비율은 96.31${\pm}$2.71% 측정되었다. 20명의 환자 데이터에 대한 전체 수행시간은 평균 16초로 측정되었다.

사각형 개수로에서의 수차 흘수 변화에 따른 회전 효율 파악을 위한 시뮬레이션 (A Simulation to Find Rot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raft Changes of Waterwheel in Open Rectangular Channel)

  • 이경호;박희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3-12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사각형 개수로에서 수차 흘수 변화에 따른 회전 효율 파악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차를 이용한 개수로 초소수력발전에서 수차의 최고 효율을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개수로의 흐름에서 자유 수표면의 존재와 수로벽에 존재하는 마찰로 인하여 불균일한 유속 분포를 갖기 때문에 복잡한 요소로 인하여 이를 수학적으로 계산해 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와 비슷한 사각형 개수로 모형을 만들어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되 모형 환경에 자동 제어 장치를 부착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2단계 유량 변화, 3단계 기울기 변화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로로 흐르는 물의 깊이를 잴 수 있게 하고, 물 깊이를 통한 10단계 흘수 변화에서 각 단계마다 30회씩 4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량과 수로의 기울기, 흘수 변화에 따른 수차 회전 효율 특성의 다양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Hydraulic conductivity estimation by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piles: A case study

  • Yuan, Yao;Xu, Ye-Shuang;Shen, Jack S.;Wang, Bruce Zhi-Fe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5호
    • /
    • pp.467-477
    • /
    • 2018
  • Estim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is a critical step during design of foundation dewatering works. When many piles are installed in an aquifer, estima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should consider the blocking of groundwater seepage by the piles. Based on field observations during a dewatering project in Shanghai, hydraulic conductivities are back-calculated using a numerical model considering the actual position of each pi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aforementioned model directly in field due to requirement to input each pile geometry into the model. To develop a simple numerical model and find the optimal hydraulic conductivity, three scenarios are examined, in which the soil mass containing the piles is considered to be a uniform porous media. In these three scenarios, different sub-regions with different hydraulic conductivities, based on either automatic inverted calculation, or on effective medium theory (EMT), are establish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rror, in the case which determines the hydraulic conductivity based on EMT, is less than that determined in the automatic inversion case. With the application of EMT, only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oil outside the pit should be inverted. The soil inside the pit with its piles is divided into sub-regions with different hydraulic conductivities,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volume ratio of the piles. Thus, the use of EMT in numerical modelling makes it easier to consider the effect of piles installed in an aquifer.

웹티어 오브젝트 모델링을 통한 non-SQL 데이터 서버 프레임웍 구현 (Implementation of Non-SQL Data Server Framework Applying Web Tier Object Modeling)

  • 권기현;천상호;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B호
    • /
    • pp.285-290
    • /
    • 2006
  •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분산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는 여러 고려 사항 중에서 계층(tier)의 응집력(cohesion)을 높이고 계층간 연결 결합력(coupling)을 낮추기 위해 페이지 작성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역할을 명확히 분리하는 것과 비즈니스 로직의 단위가 되는 엔터티(entity)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과 트랜잭션 처리에 엔터티의 사용 및 역할에 대해 정의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DONSL(Data Server of Non SQL query) 아키텍처를 제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 아키텍처는 웹 티어 오브젝트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며 계층(tier)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데이터베이스 연결에 반드시 사용되는 DAO(Data Access Object)와 엔터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한다. 핵심 내용으로 DAO에서 엔터티 객체를 제거하는 방안을 통해 DAO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과 SQL 질의 자동 생성을 통해 트랜잭션 처리 자동화 방법, 그리고 트랜잭션 처리시 AET(Automated Executed Transaction)와 MET(Manual Executed Transaction)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