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45초

소아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후 급성 신질환의 분석 (Analysis of Acute Kidney Injury in Pediatric Patients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

  • 김세윤;최정연;하정옥;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30-137
    • /
    • 2009
  • 소아 악성종양환아들의 완치를 위한 조혈모세포이식술이 최근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치료율과 더불어 이의 부작용 또한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조혈모세포이식술 이후의 급성 신질환의 임상적인 특성과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5년 9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5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혈모세포이식 3개월 후의 사구체여과율을 계산하여 신장의 기능이 25% 이상 감소한 '조기 신기능 감소군'과 25% 미만 감소한 '조기 신기능 비감소군' 두 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아의 원인 질환은 급성 백혈병과 신경모세포종이 각각 23명과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뇌종양 및 기타 고형 종양이 6명, 재생불량성 빈혈이 4명, 악성 림프종이 4명, 골수이형성 증후군이 2명, 선천성 면역결핍질환이 1명이었다. 조혈모세포이식 3개월 후 25% 이상의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한 환아는 18명이었다. '조기 신기능 감소군'과 '조기 신기능 비감소군'은 각각 18명과 35명이었고, 이식세포 공급원은 제대혈(n=11)이 4명과 7명, 골수(n=16)는 8명과 8명, 자가 말초혈액(n=26)은 6명과 20명으로 차이는 없었다. 골수 및 제대혈 이식을 시행한 27명의 환아에서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은 신기능 감소군과 비감소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환아는 전처치법 중 1가지 이상의 신독성 항암제를 투여받았으며 전신방사선조사 및 항흉선세포글로불린을 포함한 전처치법에 따른 두 군의 차이는 없었다. 사망한 환아는 '조기 신기능 감소군'과 '조기 신기능 비감소군'이 각각 12명과 10명이었고, '조기 신기능 감소군'에서 사망환아의 비율이 더 많았고, 사망의 원인으로는 감염, 급성 신부전, 재발 등이었고 '조기 신기능 비감소군'에 비해서 '조기 신기능 감소군'에서 급성 신부전이 많았다. 하지만 신장기능의 저하정도에 따라서는 사망한 환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조혈모세포이식 3개월 후의 조기 신기능 저하는 18명이 있었으며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인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과 관련이 없었으며 이식세포 공급원과도 관련이 없었다. 조기 신기능 저하를 보인 환아에서 사망한 환아가 많았고, 신장기능 저하가 중요한 사망 원인이었다. 생존한 조기 신기능 저하군의 환아는 모두 신기능을 회복하였으며, 이식 12개월 후 후기 신기능 저하는 1명으로 이식의 합병증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이후 이식 6년째에 재발로 사망하였다.

A Case of Drug-Induced Hepatitis due to Bortezomib in Multiple Myeloma

  • Kim, Young-Woon;Kim, Ka-Young;Lee, Su-Hyun;Chung, Yoon-Yung;Yahng, Seung-Ah;Lee, Sung-Eun;Park, Gyeong-Sin;Min, Chang-Ki
    • IMMUNE NETWORK
    • /
    • 제12권3호
    • /
    • pp.126-128
    • /
    • 2012
  • We report on a case of severe hepatotoxicity in a 52-year-old male with multiple myeloma (MM) who had received bortezomib therapy. At patient presentation, liver enzymes were normal, but started to markedly increase 3 days after the patient's second dose of bortezomib was administered, when free kappa light chains were noticeably reduced in the serum. After discontinuation of bortezomib, liver enzymes recovered gradually to baseline. Then, the patient was started on a thalidomide-containing regimen, which he was able to tolerate well. The patient achieved complete remission prior to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 The patient underwent ASCT without occurrence of further liver toxicity.

Efficacy and Safety of First Line Vincristine with Doxorubicin, Bleomycin and Dacarbazine (ABOD) for Hodgkin's Lymphom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Ozdemir, Nuriye;Dogan, Mutlu;Sendur, Mehmet Ali Nahit;Yazici, Ozan;Abali, Huseyin;Yazilitas, Dogan;Akinci, Muhammed Bulent;Aksoy, Sercan;Zengi, Nuru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15-8718
    • /
    • 2014
  • Background: ABVD (doxorubicin, bleomycin, vinblastine (Vb) and dacarbazine) is the standard regimen in Hodgkin's lymphoma (HL).Vincristine (O) is a mitotic spindle agent like Vb.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 as a part of ABOD in HL.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had ABOD were enrolled. Stage I-II HL were evaluated for unfavorable risk factors according to NCCN.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oxicity Criteria was used for toxicity. Results: Seventy-nine HL patients in our center between 2003 and 2007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Median follow-up was 54 months. Most of the patients were male in their third decade. Median ABOD cycles were 6 (2-8). Primary refractory disease rate was 17.7% whereas it was 5.1% for early relapse and 5.1% for late relapse disease. Response rates were as 82.3% for complete response, 11.4% for partial response, 5.1% for stable disease and 1.3% for progressive disease. Half of relapsed patients had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Estimated 5-year failure-free survival was 71% and significantly longer in early stage patients without risk factors, bulky disease or radiotherapy (RT) (p=0.05, p<0.0001, p=0.02; respectively). Estimated 5-year overall survival was 74% and significantly longer in those who had no RT (p=0.001). Dose modification rate was 5.1% and chemotherapy delay rate was 19%. There were no toxicity-related deaths. Conclusions: ABOD seems to be effective with managable toxicity in HL, even in those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성체 백서의 지방조직에서 추출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5-azacytidine을 이용한 심근세포 분화 유도 (Transformation of Adult Mesenchymal Stem Cells into Cardiomyocytes with 5-azacytidine: Isolated from the Adipose Tissues of Rat)

  • 최주원;김용인;오태윤;조대윤;손동섭;이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11-519
    • /
    • 2006
  • 배경: 허혈성 심근손상으로 인한 심근경색이나 심근병증으로 인한 심근의 비가역적인 손상은 관상동맥 중재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 등의 치료로 손상 받은 조직의 손상 정도를 경감시키고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괴사된 심근세포를 재생할 수는 없다. 결국 중증의 심부전증이 발생한 경우 심근성형술을 시행하거나 심실보조장치 또는 인공심장 등의 한시적 치료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지만, 최종적으로 심장이식 이외의 방법은 현재로서는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심장 공여자의 부족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세포이식을 통한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세포치료에서 가장 넓게 시도되고 이용된 장기는 골수이며, 현재까지 골격근아세포, 평활근 세포, 그리고 심근 세포 등 다양한 세포의 이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수는 채취하는 과정이 침습적이어서 환자에게 과다한 통증을 주며, 추출된 세포의 수가 부족한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하며, 다량의 조직을 확보할 수 있는 지방조직에서의 성체 줄기세포의 추출이 제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지방조직을 복부 피하지방 조직과 복강 내 지방조직으로 나누어 각각 분리 추출하여 두 조직에 동일한 과정의 세포 추출 과정을 거친 후, 5-azacytidine을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시도하였다. 심근 분화유도에 적합한 환경을 찾기 위해서 5-azacytidine을 각각 다른 농도로 사용하였고, 지방에서 추출한 성체 중간엽 줄기세포의 심장질환에서의 임상적용의 가능성과 지방조직의 부위에 따른 분화 유도의 차이 가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백서의 복부 피하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조직 1로 정하였고, 복강 내 대망(omentum)과 후복막 지방조직을 적출하여 실험조직 2로 정하였다. 적출된 조직에서 collagenase, $NH_4Cl$ 등을 이용하여 세포를 추출하였고, 이를 10% FBS를 함유한 DMEM solution에서 배양하였으며, 1차 또는 2차 계대배양을 거쳐서 5-azacytine을 각각 none, $3{\mu}mol/L,\;6{\mu}mol/L,\;9{\mu}mol/L$의 농도로 첨가하여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4주간의 배양이 끝난 후 각 실험 조직군의 세포들을 cell blocks으로 만든 후에, CD34, heavy myosin chain, troponin T, SMA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였고, 형광염색에 반응을 보인 세포들의 대략적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CD34, heavy myosin chain에 대하여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SMA에 대해서는 $3{\mu}mol/L,\;6{\mu}mol/L$의 복강 내 지방조직에서 $5{\sim}10%$ 정도의 양성반응을 보였고, troponin T에 대하여는 피하지방조직과 복강 내 지방조직 모두에서 $6{\mu}mol/L$$9{\mu}mol/L$에서 $10{\sim}15%$ 정도의 양성 반응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지방조직에서 추출한 중간엽 줄기세포는 심근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분화유도 비율면에서는 만족할 수준이 되지 못하였으며, 심근세포로의 분화는 복부 피하지방과 복강 내 지방조직에서 모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Highly Expressed Integrin-α8 Induces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Like Features in Multiple Myeloma with Early Relapse

  • Ryu, Jiyeon;Koh, Youngil;Park, Hyejoo;Kim, Dae Yoon;Kim, Dong Chan;Byun, Ja Min;Lee, Hyun Jung;Yoon, Sung-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12호
    • /
    • pp.898-908
    • /
    • 2016
  • Despite recent groundbreaking advances in multiple myeloma (MM) treatment, most MM patients ultimately experience relapse, and the relapse biology is not entirely understood. To define altered gene expression in MM relapse, gene expression profil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among 16 MM patients grouped by 12 month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To maximize the difference between prognostic groups, patients at each end of the PFS spectrum (the four with the shortest PFS and four with the longest PFS) were chosen for additional analyses. We discovered that integrin-${\alpha}8$ (ITGA8) is highly expressed in MM patients with early relapse. The integrin family is well known to be involved in MM progression; however, the role of integrin-${\alpha}8$ is largely unknown. We functionally overexpressed integrin-${\alpha}8$ in MM cell lines, and surprisingly, stemness features including $HIF1{\alpha}$, VEGF, OCT4, and Nanog, as well as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related phenotypes, including N-cadherin, Slug, Snail and CXCR4, were induced. These, consequently, enhanced migration and invasion abilities, which are crucial to MM pathogenesis. Moreover, the gain of integrin-${\alpha}8$ expression mediated drug resistance against melphalan and bortezomib, which are the main therapeutic agents in MM. The cBioPortal genomic database revealed that ITGA8 have significant tendency to co-occur with PDGFRA and PDGFRB and their mRNA expression were up-regulated in ITGA8 overexpressed MM cells. In summary, integrin-${\alpha}8$, which was up-regulated in MM of early relapse, mediates EMT-like phenotype, enhancing migration and invasion; therefore, it could serve as a potential marker of MM relapse and be a new therapeutic target.

감각신경모세포종: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Esthesioneuroblastoma(Olfactory Neuroblastoma) : Report of Six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심병용;박진노;한지연;홍영선;김훈교;이경식;김민식;조승호;정수미;이연수;강진형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8-234
    • /
    • 2000
  • Objectives: Esthesioneuroblastoma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that originates from the olfactory sensory cells. This tumor grows from the upper nasal cavity and ethmoid sinus and invades surrounding structures through the cribriform plate into intracranium or orbit in advanced stage. Even though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ies in determining standard treatment due to rarity of this tum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urgery and adjuvant radiation has been recommended for the locally advanced esthesioneuroblastomas. However, the recent clinical experiences of advanced cases showed that combination chemotherapy is highly effective to reduce tumor mass and improv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 esthesioneuroblastoma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1986. Results: The age of these patients was between 19 and 86 year-old. Among the 6 cases, 2 were diagnosed at stage B and 4 at stage C, according to Kadish classification. Anti-tumor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5 patients. One patient refused active treatment and was lost to follow-up. Better survival outcome were observed in 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alone or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cluding chemotherapy. Conclusion: Based on our retrospective study, the combined treatment consisting of surgery, radiotherapy, and combination chemotherapy should be used to improve treatment results. And furthermore, innovative clinical approaches such as neoadjuvant chemotherapy, high-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eriphe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which have been reported to have good therapeutic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ied actively.

  • PDF

소아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와 폐렴구균 백신 접종 후 항체 반응에 관한 연구 (Antibody Responses in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after Vaccination Against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 김예진;황지영;최수한;공은혜;김양현;박기섭;유건희;성기웅;구홍회;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2호
    • /
    • pp.81-95
    • /
    • 2014
  • 목적: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은 b 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과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Sp)에 의한 침습성 감염에 취약하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2009-2011년 사이에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들에게 Hib와 Sp 백신을 접종하고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10명의 소아환자가 참가하였고 연령의 중앙값은 5.5세 이었다. Hib 백신 이전에는 60%의 환자에서 anti-PRP IgG가 측정 하한값 $0.15{\mu}g/mL$ 보다 낮았으나 접종 후 100%의 환자에서 $0.15{\mu}g/mL$와 방어 항체가 $1.0{\mu}g/mL$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Sp 백신을 접종한 2-5세 환자 군은 접종 전 6개의 혈청형에 대한 기하 평균 항체가가 $0.35{\mu}g/mL$ 미만이었으나 접종 후 5개월째 7개 혈청형에 대한 기하 평균 항체가가 모두 $0.35{\mu}g/mL$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5세 초과의 환자 군에서는 접종 전에 4개의 혈청형에 대한 기하평균 항체가가 $0.35{\mu}g/mL$ 미만이었으나 접종 후 3개월째 검사한 7개 혈청형에 대한 기하 평균 항체가가 모두 $0.35{\mu}g/mL$ 이상 증가하였다. 결론: 소아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Hib와 Sp 백신접종 후 면역 반응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국내 소아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이들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