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utoantibod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1초

Aged Sanroque Mice Spontaneously Develop Sjögren's Syndrome-like Disease

  • Suk San Choi;Eunkyeong Jang;Yeon-Kyung Oh;Kiseok Jang;Mi-La Cho;Sung-Hwan Park;Jeehee Youn
    • IMMUNE NETWORK
    • /
    • 제19권1호
    • /
    • pp.7.1-7.11
    • /
    • 2019
  • Sjögren's syndrome (SS) is a chronic inflammatory autoimmune disorder that affects mainly salivary and lacrimal glands, but its cause remains largely unknown. Clinical data indicating that SS occurs in a substantial proportion of patients with lupus points to common pathogenic mechanisms underlying the two diseases. To address this idea, we asked whether SS develops in the lupus-prone mouse strain sanroque (SAN). Owing to hyper-activation of follicular helper T (Tfh) cells, female SAN mice developed lupus-like symptoms at approximately 20 wk of age but there were no signs of SS at that time. However, symptoms typical of SS were evident at approximately 40 wk of age, as judged by reduced saliva flow rate, sialadenitis, and IgG deposits in the salivary glands. Increases in serum titers of SS-related autoantibodies and numbers of autoantibody-secreting cells in cervical lymph nodes (LNs) preceded the pathologic manifestations of SS and were accompanied by expansion of Tfh cells and their downstream effector cells.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dysregulation of Tfh cells in salivary gland-draining LNs is sufficient to drive the development of SS in lupus-prone mice.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의 HLA 유전자형 및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의 병발 양상 (Human Leukocyte Antigen(HLA) Genotypes and Thyroid Autoimmunity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 강소영;신충호;양세원;박명희;유지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24-633
    • /
    • 2005
  • 목 적 : 본 연구는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HLADR과 DQ 유전자형 및 갑상선 자가항체(항 TPO 자가항체와 항 thyroglobulin 자가항체)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제 1형 당뇨병과 관련 있는 특정 HLA 유전자형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들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갑상선 자가항체의 유병률, 갑상선 질환으로의 발현 및 이들 자가면역성 갑상선염과 HLA 유전자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59명[남아 26명, 검사시 연령 13.7세(5.7-29.9세), 당뇨병 유병기간 7.6년(-1.7-22.5년)]의 제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갑상선 질환의 병력 및 가족력이 없는 건강한 200명의 한국인의 HLA 유전자형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59명의 환자 중 갑상선 자가항체 양성인 17명은 중앙기간 3.96년(1일-10.7년) 동안 진찰 및 anti-TPO, anti-TG, $T_3$, $T_4$ 또는 free $T_4$, TSH 검사를 시행하면서 추적 관찰하였다. HLA-DR과 DQ의 유전자 분석은 PCR-SSO, PCR-SSCP, PCR-RFLP 및 PCR-SSP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대조군에서보다 HLADRB1*0301, *090102, DQB1*0201, *030302, DRB1*0301/*090102, DRB1*090102/*090102, DQB1*0201/*030302, *030302/*030302, *0201/*0302의 빈도가 높았다(Pc<0.05). 15명(25.4%)에서 TPO에 대한 자가항체 양성이었고, 12명(20.3%)에서 TG 자가항체 양성이었으며, 17명(28.8%)은 두 가지 항체 중 한 가지 이상의 항체를 갖고 있었다. 10명(16.9%)은 두 종류의 항체를 모두 갖고 있었다. 갑상선 항체 양성을 보인 이후부터의 추적기간 동안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3명(5.1%)의 여아에서 당뇨병 진단 전 또는 후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진단(8.5세, 11세, 13.2세)되었다. 갑상선 자가항체의 유무 및 각각의 항체 종류에 따른 대상군간의 제 1형 당뇨병 진단연령, 갑상선 검사시 연령, 당뇨병 유병기간 및 성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 한국인에서는 HLA-DRB1*0301, *090102, DQB1*0201, *030302, DRB1*0301/*090102, *090102/*090102, DQB1*0201/*030302, *030302/*030302, *0201/*0302 등이 제 1형 당뇨병에 대한 감수성 인자였고, 코카시안과는 다른 HLA-DR 및 DQ의 분포가 한국인에서 제 1형 당뇨병의 발생률이 낮은 이유중의 하나를 차지하리라고 생각되었다. 한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갑상선 자가항체 양성률은 28.8%였고, 이는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도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가 규칙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에 대한 선별검사 시작 시기와 횟수 등에 대해서는 이들 환자들의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해 추후 좀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갑상선 자가항체와 인지기능 저하의 연관성 (Association of Cognitive Dysfunction with Thyroid Autoantibody)

  • 한동균;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227-235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에서 인지결함의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며, 특히 갑상선 자가항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여성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면담을 통해서 인구학적 정보를 얻었으며,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와 한국판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를 사용해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한국판 Depression Rating Scale(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를 사용해서 우울증을 평가하였다. 결 과 1) MMSE-K 총점 24점 이하는 7.69%, MoCA-K 총점 22점 이하는 10.77%였다. 인지기능 저하의 빈도는 antimicrosomal 항체 양성군(N=38, 58.46%)과 음성군(N=27)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Antimicrosomal 항체 양성군과 음성군의 변인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성군보다 양성군에서 antithyroglobulin 항체 수치, antimicrosomal 항체 수치, TSH 농도는 유의하게 높았고, free T4는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5). 3)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여러 변인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MMSE-K 검사와 MoCA-K 검사의 총점은 연령, 결혼상태, antithyroglobulin 항체 수치, K-HDRS 총점과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4) 회귀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갑상선 자가항체, 갑상선기능, 우울증은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갑상선 자가항체의 연관성을 지지할 수 없었다.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Interleukin-$1{\beta}$, -2, -6 생산능과 혈청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Alteration of Interleukin-$1{\beta}$, -2, -6 Production and Serum Level in Schizophrenic Patients)

  • 김용구;이민수;서광윤
    • 생물정신의학
    • /
    • 제1권1호
    • /
    • pp.98-108
    • /
    • 1994
  • Th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remain unknown. It has been postulated that infectious-autoimmune process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symptoms in some schizophrenic patients. Findings of altered interleukin(IL) regulation have been regarded as additional proof that schzophrenia has an infectious-autoimmune background. In the present study, we measured mitogen-stimulated production of and serum level of IL-$1{\beta}$, IL-2, IL-6 using ELISA in 16 neuroleptic-free schizophrenic patients and in 16 age, sex matched healthy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IL-2 produc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than in normal controls(respectively $1.90{\pm}0.13ng/m{\ell}$, $2.79{\pm}0.14ng/m{\ell}$, 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L-$1{\beta}$ production and IL-6 production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2)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serum level of IL-2 in schizophrenic pateitns than in normal controls(respectively $184.8{\pm}12.8pg/m{\ell}$, $104.2{\pm}34.2pg/m{\ell}$, p<0.01). Serum level of IL-$1{\beta}$ was partially detected in both groups and serum level of IL-6 was not detected in both group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L-$1{\beta}$, -2, -6 production & serum level of IL-2 according to male vs female, paranoid type vs undifferentiated type, drug-naive group vs drug-free group in schizophrenic patients.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1{\beta}$ and IL-6 production(r=0.86, p<0.001). No correlation between IL-$1{\beta}$, -2, -6 production, serum level of IL-2 and age, duration of illness, and BPRS score was fou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low lymphocyte production of IL-2 in the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 occurs because the T cells are activated and lymphocyte-derived IL-2 has been released into the serum. The authors suggest that decreased IL-2 production in our schizophrenic patients is due to increased IL-2 serum level in those patients. Thus our finding of low IL-2 production and high serum level of IL-2 in our schizophrenic patients is compatible with the possibility that our patients have an autoimmune process. Further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L alteration and other immunological abnormalities(the presence of serum autoantibody and of anti-brain antibody, $CD4^+$, $CD8^+$ cell index, etc) in schizophrenic patients will be warranted.

  • PDF

항암 면역요법제 인터루킨-2의 면역과민반응 평가연구 (Potential Hypersensitivity of Recombinant Mouse IL-2 as a Immunotherapeutic Agent of Cancer in Tumor-bearing BALB/c Mice)

  • 조영주;엄준호;길정현;박재현;이종권;오혜영;박귀례;김형수
    • 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35-344
    • /
    • 2004
  • Interleukin-2 (IL-2), a glycoprotein mainly secreted by CD4+ T helper Iymphocytes, has been developed to use recombinant cytokine to augment the immune response against cancer since IL-2 not only stimulates T Iymphocytes but also enhances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In order to evaluate the immunological safety of recombinant mouse IL-2 (rmIL-2) in cancer therapy, renal cell carcinoma was established in the flank by s.c. injection of renca cell line. Tumor-bearing BALB/c mice were treated with I.p. injections with $2{\times}10^5$ Lu rmIL-2. Even though the tumor size was diminished, there were not significant recovery of body and relative lymphoid organ weights including thymic atrophy in rmIL-2 immunotherapy. Distribution ratios of T cell subsets in thymus were analysed using flow cytometry. Without regard to dosage of rmIL-2, the ratio of CD3+CD4-CD8- T cell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survival of solid tumor but that of CD4+CD8+ T cells was decreased dramatically. Emergence of autoantibodies (ANA, anti-dsDNA, and anti-histone) in blood was measured after rmIL-2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ANA and anti-dsDNA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but the level of anti-histon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owing to rmIL-2 therapy. These results indicate rmIL-2 immunotherapy is to induce the autoimmune potential, and the anti-histone measurement as a biomarker of autoimmunity is useful in cancer immunotherapy.

한국인 전신성홍반성루푸스 환자에서 HLA-DRB1, DQB1 대립유전자의 연관성 및 항인지질 항체와 항β2 Glycoprotein I 항체에 관한 연구 (The Association of HLA-DRB1 and DQB1 Alleles and a Study of Anticardiolipin Antibody and Anti-β2 Glycoprotein I Antibody in Korean SLE Patients)

  • 이상곤;차훈석;양윤선
    • IMMUNE NETWORK
    • /
    • 제2권4호
    • /
    • pp.227-232
    • /
    • 2002
  • Backgrou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s a complex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divers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utoantibody production, which is known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e associations of SLE with HLA class II alleles and antiphospholipid antibody system (anticardiolipin antibody (aCL) and anti-${\beta}_2$ glycoprotein I antibody (anti-${\beta}_2$ GPI)). Therefore, we studied the associations of HLA class II alleles with SLE and antiphospholipid antibody system. Methods: The genotyping for HLA-DRB1 and DQB1 alleles were performed in 61 SLE patients and 100 controls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 method. ELISA tests for aCL and anti-${\beta}_2$ GPI were performed in 39 of the 61 SLE patients. The results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by Chi-square test. Results: The frequencies of the HLA-$DRB1^*15$ and $DQB1^*06$ in SL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HLA-$DRB1^*12$ was significantly lower in SLE patients than controls. Nine of 39 patients were positive for aCL (IgG) and three were positive for aCL (IgM). One of 39 patients were positive for anti-${\beta}_2$ GPI (IgG) and none of them positive for anti-${\beta}_2$ GPI (IgM). Association of aCL with HLA class II alleles was not observed in our study.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it was found that HLA-$DRB1^*15$ and $DQB1^*06$ were associated with genetic susceptiblility and $DRB1^*12$ wa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SLE in Korean population. No Association of aCL with HLA class II alleles was observed and the positive rate for anti-${\beta}_2$ GPI was very low.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과 자가항체의 진단적 의의 (Association of Diagnostic Criteria and Autoantibodies with Juvenile Dermatomyositis in Newly Diagnosed Children)

  • 신경수;김중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98-902
    • /
    • 2003
  • 목 적 : 소아기 피부근염 환아들의 진단 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과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을 비교하여 조기 진단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소아기 피부근염에서 나타나는 자가항체들을 조사하여 진단에 유용한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1985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처음으로 소아기 피부근염으로 진단 받았던 32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성별, 남녀 비, 진단 시 나이, 진단 시 나타난 증상, 근육 효소치, 근전도 및 근육 생검 소견, 면역학적 이상 소견, 자가항체 검사 소견 등에 대한 자료를 의무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32명의 환아들 중에서 남아가 8명, 여아가 24명 이었고, 남녀 비는 1 : 3이였다. 진단 시 평균 나이는 남아가 $4.6{\pm}6.9$세, 여아는 $6.9{\pm}7.3$세였고, 여아의 경우에는 진단 시 나이 분포가 2-3세경과 8-9세경에 빈발하였다.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에서 특징적인 발진과 근위부 근육 약화 소견은 32명의 환아들 모두에서 나타났다. 한가지 이상의 근육 효소치의 증가가 있는 경우가 29명으로 90%이었고, 이 중에서 LDH의 증가가 28명(88%)으로 가장 많았다. 근육 생검은 16명(70%)에서 양성 소견이 나타났고, 근전도 검사는 20명(74%)에서 진단 기준에 합당한 소견이 나왔다. 진단 시 나타난 임상 증상들 중에서 근위부 근육의 통증과 압통이 17명(53%), 석회 침착증이 10명(31%)이었고, 연하 곤란(25%), 관절염(25%), 발열(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진단 시 자가항체로는 항핵항체와 류마티스성 인자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음성이었다. 항핵항체는 14명(47%)에서 양성 이었고, 류마티스성 인자(RF)는 2명(7%) 만이 양성이었다. 결 론 :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은 민감도는 높지만 조기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진단 기준이 필요한 것 같다. 소아기 피부근염에서는 성인에서 나타나는 근염-특이 자가항체의 양성률이 매우 낮아 임상적으로 혹은 검사 상으로 피부근염이 확실할 경우에는 자가항체를 검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Investigation about the Result of Surgically Treated Myasthenia Gravis)

  • 김대현;황은구;조규석;김범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5-20
    • /
    • 2003
  • 중증근무력증은 신경과 수의근과의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자가항체에 의한 자가면역반응으로 발생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이것의 치료법으로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법이 있다. 저자들은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 흉선절제술후의 증상의 호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3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중증근무력증으로 흉선 절제술을 받은 37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37례중 21례(57%)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흉선종의 경우 총 16례중에서 8례에서(50%), 흉선증식의 경우 총 21례중 13례에서(62%)에서 호전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수술후의 증상의 악화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9례에서 기관내 삽관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였고 폐렴 3례, 기흉 2례, 좌측 성대마비 1례가 있었으며, 술후 1개월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1례 있었다. 성별(P=0.3222), 나이(P=0.7642), 흉선의 병리학적 차이(P=0.4335), 흉선종의 병리학적 등급과 술후 증상호전과의 관계(P=0.20)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술전 증상의 정도가 낮을수록 술후 증상의 정도가 낮을 것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인 의미를 보였다. (P=0.0032) 술후 생존자 36명을 대상으로 외래 진찰 기록 및 환자들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2002년 10월에 추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36명 중 33명(91.7%)에서 추적이 가능하였고 3명은 추적이 불가능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83.2개월이었다. 추적이 가능했던 33례 중 25례(75.8%)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흉선종의 경우 15례 중 8례(53.3%)에서, 흉선증식의 경우 18례 중 17례(94.4%)에서 호전을 보였다. 결론: 중증 근무력증은 흉선절제술로서 우수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으며, 술후 증상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는 술전의 증상의 정도가 중요하다. 중증 근무력증으로 흠선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한 중장기 추적 결과 술전에 비해 우수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Anti-ds DNA 항체 검사 시 Lipemic 검체의 영향에 관한 보고 (Report on the Effects Lipemic Specimen in Anti-ds DNA Antibody Test)

  • 천준홍;김외정;김성호;문형호;유선희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53-157
    • /
    • 2014
  • Anti double-stranded DNA (Anti-ds DNA)항체의 검출은 SLE의 진단에 중요하며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ists의 SLE 진단기준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SLE 질병의 활성도와 Anti-ds DNA 항체 수준의 상관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Anti-ds DNA 항체 정량검사는 SLE의 치료 전, 후 추적에 매우 유용하다. Anti-ds DNA 항체의 검출을 위한 검사 방법으로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을 이용한 Farr assay, Crithidia luciliae를 이용한 면역형광 측정법(immunofluorescence Test, CLIFT),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화학발광면역 측정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A)이 있다. 본원에서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으로 Anti-ds DNA 항체 검사 과정에서 lipemic한 검체의 경우 침전물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거나 침전물도 같이 흡입되는 상황이 발생 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ipemic 검체가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2월까지 Anti-ds DNA 항체 검사가 의뢰된 검체 중 lipemic한 검체(n=81)를 선택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로 전처리(고속 원심분리: 14,000 rpm 5 mins)한 후 동시에 Anti-ds DNA 항체 검사(Anti-ds DNA kit, Trinity Biotech, Ireland)를 시행하였다. 실험군 1 (lipemic 검체의 Anti-ds DNA 항체 농도 ${\leq}7IU/mL$)에서 y=0.3636x+4.7322, $R^2=0.0238$, Pearson 상관계수는 0.154, paired t-test (P=0.003), Difference (%) mean 65.7의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군 2 (lipemic 검체의 Anti-ds DNA 항체 농도 ${\geq}8IU/mL$)에서 y=0.9837x+0.2982, $R^2=0.994$, Pearson 상관계수는 0.997, paired t-test (P=0.181), Difference (%) mean -5.53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에서 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nti-ds DNA 항체 검사는 lipemic 검체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반드시 전처리(고속 원심분리: 14,000 rpm 5 mins) 과정을 통해 혈청 내 지질 성분을 제거한 후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