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of Diagnostic Criteria and Autoantibodies with Juvenile Dermatomyositis in Newly Diagnosed Children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과 자가항체의 진단적 의의

  • Shin, Kyung Su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ng G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신경수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중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3.05.22
  • Accepted : 2003.07.04
  • Published : 2003.09.15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the clinical association of diagnostic criteria and the prevalence of autoantibodies in newly diagnosed children with juvenile dermatomyositis(JDM). Methods : Thirty-two children with JDM were identifi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March 1985 to March 1999 by retrospective review. The diagnosis of JDM was based on the criteria proposed by Bohan and Peter. We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several autoantibodies: antinuclear(ANA), double-stranded DNA, anti-Sm, anti-ribonucleoprotein(RNP), anti-SSA/ SSB, anti-Jo1, anti-Scl-70 antibodies and rheumatoid factor(RF). Results : Sex ratio and age at diagnosis were similar to data published in other studies. All the newly diagnosed children with JDM had a typical rash(100%) and proximal muscle weakness(100%); 17(53%) had muscle pain or tenderness; 10(31%) calcinosis; eight(25%) dysphagia; eight(25%) arthritis, and seven(22%) fever. Muscle enzymes were elevated in 90% of the patients. Of the 27 patients who had an electromyogram, 20(70%) had diagnostic results. Sixteen(70%) of biopsied patients had appropriated results for JDM. Patients were negative for all autoantibodies except ANA and RF. ANA and RF were detected in 47% and 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 Although the sensitivity of the criteria proposed by Bohan and Peter is superior, each of these criteria has possible confounding factors. Additional criteria may be needed for early diagnosis of JDM. Based on our findings of autoantibodies in JDM, we do not recommend routine testing for autoantibodies in children with typical JDM.

목 적 : 소아기 피부근염 환아들의 진단 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과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을 비교하여 조기 진단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소아기 피부근염에서 나타나는 자가항체들을 조사하여 진단에 유용한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1985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처음으로 소아기 피부근염으로 진단 받았던 32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성별, 남녀 비, 진단 시 나이, 진단 시 나타난 증상, 근육 효소치, 근전도 및 근육 생검 소견, 면역학적 이상 소견, 자가항체 검사 소견 등에 대한 자료를 의무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32명의 환아들 중에서 남아가 8명, 여아가 24명 이었고, 남녀 비는 1 : 3이였다. 진단 시 평균 나이는 남아가 $4.6{\pm}6.9$세, 여아는 $6.9{\pm}7.3$세였고, 여아의 경우에는 진단 시 나이 분포가 2-3세경과 8-9세경에 빈발하였다.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에서 특징적인 발진과 근위부 근육 약화 소견은 32명의 환아들 모두에서 나타났다. 한가지 이상의 근육 효소치의 증가가 있는 경우가 29명으로 90%이었고, 이 중에서 LDH의 증가가 28명(88%)으로 가장 많았다. 근육 생검은 16명(70%)에서 양성 소견이 나타났고, 근전도 검사는 20명(74%)에서 진단 기준에 합당한 소견이 나왔다. 진단 시 나타난 임상 증상들 중에서 근위부 근육의 통증과 압통이 17명(53%), 석회 침착증이 10명(31%)이었고, 연하 곤란(25%), 관절염(25%), 발열(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진단 시 자가항체로는 항핵항체와 류마티스성 인자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음성이었다. 항핵항체는 14명(47%)에서 양성 이었고, 류마티스성 인자(RF)는 2명(7%) 만이 양성이었다. 결 론 : 소아기 피부근염의 진단 기준은 민감도는 높지만 조기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진단 기준이 필요한 것 같다. 소아기 피부근염에서는 성인에서 나타나는 근염-특이 자가항체의 양성률이 매우 낮아 임상적으로 혹은 검사 상으로 피부근염이 확실할 경우에는 자가항체를 검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