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 focu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1초

퍼지 논리 제어를 기반으로 한 2축 태양광 추적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Two-Axis Solar Tracking System Based on Fuzzy Logic Control)

  • 안병원;이희배;배철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1-537
    • /
    • 2015
  • 태양광 패널로부터 출력을 최대로 얻기 위해서는 신뢰성이 높은 태양광 추적 장치가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퍼지 제어를 기반으로 구현한 2축 태양광 추적 장치 시스템을 제작하여 그 성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태양광 패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구현된 퍼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든 파라미터를 제어하고 확인할 수 있는 지능제어기와 기계적인 구동부분의 설계가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다. 실제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개발하여 환경, 날씨, 계절 및 빛 상태와 같은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태양광 추적장치는 실제 상황에서 시험하였고 시스템 동작과 관련된 모든 변수들은 기록되고 분석되었다. 제안한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고정식 패널에 비해 날씨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약 38% 정도의 더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자동으로 추적할 때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oT 기반의 선박용 스마트보고 및 계류 시스템 (IoT based smart reporting and mooring system for vessels)

  • 카몰로브 아흐마드혼;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5-398
    • /
    • 2017
  • Smart Ship은 현재 많은 논의가 진행중인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는 유사한 연구의 양이 증가하고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증거로 빅 데이터, 클라우드 및 IoT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선박간의 이동, 안전, 데이터 교환, 감시 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해양 기술에서 위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바다 위 선박간의 발생 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뿐만 아니라 항만과 통신하는 것에도 중점을 둡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및 항구를 위한 IoT 기반의 지능형 보고 및 정박시스템을 제안합니다. 본 시스템은 선박이 정박할 경우 IoT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며, 이후 정박을 원하는 다른 선박들에 대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남은 위치를 유도합니다. 시스템은 선박 계류 중에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 할 수있는 편의를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선박의 표류 시간,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게 됩니다.

  • PDF

물리치료사 인력의 수급전망과 정책방향 (A Prospect for Supply and Demand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Through 2030)

  • 오영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49-169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modeling future workforce projections to serve as a basis for analyzing annual supply of and demand for physical therapists across the South Korea into 2030. Methods : In-and-out movement model was used to project the supply of physical therapists. The demand was projected according to the demand-based method which consists of four-stages such as estimation of the utilization rate of the base year, forecasting of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target years, forecasting of the requirements of clinical physical therapists and non-clinical physical therapists based on the projected physical therapists. Results : Based on the current productivity standards, there will be oversupply of 39,007 to 40,875 physical therapists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average rate in 2030, undersupply of 44,663 to 49,885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logistic model, oversupply of 16,378 to 19,100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logarithm, and oversupply of 18,185 to 20,839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IMA) model in 2030.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projection suggests that the direction and degree of supply of and demand for physical therapists varied depending on physical therapists productivity and utilization growth scenarios. However, the need for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system and the need to provide long-term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are actively being discussed in entering the aging society. If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elderly are activated, the demand of physical therapists will increase, especially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healthcare policy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rehabilitation service infrastructure suitable for an aging society, providing high-quality physical therapy services,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ists.

The Analysis on the Recyclability of Shenlong Automobile Company in China using SWOT Technique

  • Zhao, Wei;Jung, Heo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46-15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yclability of Shenlong in China using SWOT.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vided that the company's current capacity utilization rate is seriously insufficient, reducing staff is one among the effective ways. Second, Shenlong should open a web store to cater to young people's online shopping behavior, and further expand the brand visibility using national mainstream media and online shopping platforms like Taobao and JingDong to market Dongfeng Peugeot and Dongfeng Citroen on the whole network. Third, under the premise of maintaining the present best-selling models, Shenlong should appropriately reduce the amount of models, adjust the assembly capacity ratio of every model and every displacement in real time per the newest market trends, increase the agility of auto companies' production, and timely meet the wants of domestic consumers. Fourth, dual-brand coordination and channel integration are very necessary, and also the profitability and profitability of dealers are going to be further improved, thereby increasing sales. Fifth, target building new energy leading products of Shenlong, strive to attain the forefront of the industry within the sales of recent energy vehicles within 5 years, and gradually expand new energy vehicle products from passenger vehicles to passenger vehicles and commercial vehicles. Finally, the marketing field of Shenlong Automobile should achieve "three major changes", that is, change from a goal-driven type to a demand-driven type, cancel the bundling of outlet invoicing goals and delivery incentive tiers; start from basic capabilities, and set pragmatic and challenging goals; focus Channels, to realize following the activation of outlets, and single store sales increase.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사회적 가치와 자전거 특성의 관계성 연구 (Perceived Features of Cycling and Value of Public Bike System)

  • 김정화;최기주;김숙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1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전거의 특성과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당 교통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시민들의 지불의사액으로 설정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불의사액 추정을 위해서 CVM 방법 중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이중양분선택형(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과 개방형 질문을 통합 활용하여 수원시 시민 1,7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공공자전거에 대한 특성 요소도 함께 질의하여 그 결과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binary logistic regression)과 중도절단회귀모형(censored regression)을 통해 공공자전거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가치인식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월지출 교통비, 소득 그리고 자전거 소유 등의 변수와 함께 교통체증의 해소가 가능한, 버스와 승용차와 같은 교통수단, 높은 이동성을 가지는 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의 특성이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공자전거에 대한 긍정적인 특성들이 인식되면 해당 시스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행태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시스템의 이용 가능성을 향상시킨다고 해석될 수 있다. 공공자전거시스템에 대한 특성인식의 중요성을 검증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전의 검토사항에 대해 고찰해 본다.

Development of KHU Automatic Observing Software for McDonald 30inch telescope (KAOS30)

  • Ji, Tae-Geun;Byeon, Seoyeon;Lee, Hye-In;Jung, Hyunsoo;Lee, Sang-Yun;Hwang, Sungyong;Choi, Changsu;Gibson, Coyne A.;Kuehne, John;Marshall, Jennifer;Im, Myungshin;Pak, Soojong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57.1-57.1
    • /
    • 2017
  • Automatic observing is the most efficient system for sky surveys that image many targets over large areas of the sky. Such a system requires the integrating control software that systematically manages astronomical instruments tha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In February of 2017, we installed a wide-field 10 inch telescope for Supernovae survey on the McDonald 30 inch telescope as a piggyback system. However, during the observations, information such as target coordinates could not be exchanged with the telescope mount. The reason is the program that controls the telescope control system (TCS) and the program that controls the imager operate on independent PCs. KAOS30 is an integrated observing software developed to improve this environment. The software is composed of four packages that are the Telescope Control Package (TCP), the Data Acquisition Package (DAP), the Auto Focus Package (AFP), and the Script Mode Package (SMP). The TCP communicates to the TCS and also communicates weather information. SMP supports automatic observing in a script mode,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survey. KAOS30 was developed based on Visual C ++ and runs o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It also supports the ASCOM driver platform for various manufacturers. The instruments that support ASCOM can be installed without modification of the program code. KAOS30 can be applied as software for many different telescopes in future projects.

  • PDF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의 고찰 (Reviews of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

  • 한종학;이승재;임성수;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47
    • /
    • 2005
  • 버스 대중교통은 정해진 노선, 운행시간표에 의해 정류장을 경유하여 운행하므로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는 승용차위주의 가로망 설계 문제와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적용모형은 설계방법의 역사적발전과정에 따라 매뉴얼 및 지침, 시장분석기법, 시스템해석모형, 휴리스틱모형, 하이브리드모형, 경험기반모형, 시뮬레이션모형, 수리최적화모형 등 크게 8가지 분류할 수 있다. BTRNDP는 이용자비용과 운영자비용의 조합인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현실적 제약조건하에서 버스노선집합과 배차횟수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BTRNDP는 조합최적화문제로 일반적 수리최적화문제로 가능해 공간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 가능해로 구성된 큰 탐색공간으로부터 최적해를 탐색해야하는 NP-Hard라는 특성을 가진다. BTRNDP의 목적함수는 이용자와 운영자관점을 모두 고려한 다목적함수(Multi-Objective Function)를 이용하며 수요는 고정수요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가변수요를 고려한 방법론이 연구되고 있다. 해알고리즘으로 최적 버스 노선망을 구성하게 될 모든 가능한 후보노선집합(Candidate Route Set)을 생성하고 노선집합의 최적조합을 찾는 메타휴리스틱(Meta-heurist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역최적 노선집합을 찾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최적 버스 노선망의 배차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통행배분모형이 필요한데 BTRNDP에 적용되는 통행배분모형은 다중경로 통행배분모형이 주로 활용되었다. 국내외 BTRNDP를 고찰한 결과 주요 시사점으로는 BTRNDP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세분화된 버스정류장 기반 기종점통행량 구축, 버스 노선망 평가 모형 및 대중교통 통행 배분모형의 개발, 탐색 해알고리즘의 개발 등의 향후 연구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보안관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실증적 분석 기반 보안이벤트 자동검증 방법 (An Auto-Verification Method of Security Event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for Advanced Security Monitoring and Response)

  • 김규일;박학수;최지연;고상준;송중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07-522
    • /
    • 2014
  • 국내 사이버공격 대응 전담조직(CERT)들은 탐지패턴 기반의 보안장비(IDS, TMS 등)를 활용하여 사이버 침해공격에 대한 탐지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공공 연구기관의 경우 국가정보원(NIS) 내 국가사이버안전센터(NCSC)를 중심으로 30여개의 부문 보안관제 센터가 구축 운영되고 있으며, 주로 침해위협수집시스템(TMS)을 활용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탐지 분석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보안관제 체계에서는 대량의 보안이벤트가 보안장비에 의해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관제 요원이 보안이벤트에 대한 실제 공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석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보안이벤트 전체에 대한 대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보안관제 업무는 보안관제 요원이 보유한 전문지식 및 경험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보안이벤트에만 분석이 집중되는 업무편중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해킹 공격기술에 대한 대응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시간 보안관제 및 침해대응 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대규모 해킹공격에 대한 조기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실제 해킹공격에 대한 실증적 분석에 기반한 대용량 보안이벤트 자동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 구명 (Scheduling Non-drainage Irrig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Chips and Dust for Tomato Cultivation using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 최은영;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5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chip 함량에 따른 일일 급액량, 배액량, 배지의 용적당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식물생육, 과실 수량과 수분이용효율 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판 코이어 슬라브 중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 30 : 70%, 50 : 50%, 70 : 30%인 것과 대조구로 시판 rockwool 배지와 2층 슬라브, 즉 1층에 chip함량과 2층에 dust함량이 15 : 85%, 25 : 75%, 35 : 65%인 것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지 중 0 : 100%와 rockwool 배지는 전 생육기간 동안 배액이 배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배지에서도 극소량의 배액이 배출되었다. 일일 평균 급액량은 시판 슬라브와 2층 슬라브 배지 모두에서 chip 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 생육, 상품과 수량 및 수분이용효율은 chip과 dust의 비율이 0 : 100%인 시판 슬라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FDR센서에 의한 자동급액 방식으로 토마토 작물을 재배 할 때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인 코이어 배지를 사용할 경우 식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을 이용하여 생산량이 증가되면서도 배액을 최소화하거나 배액을 창출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FDR 센서에 의해 자동 급액되는 시스템에서 1회 급액량과 급액간격 기능을 생육단계별로 조정하여 배지의 물리성에 따른 급액 일정에 대한 세밀한 실험이 앞으로 수행될 계획이다.

한국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문화와 정체성에 관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연구 (An Animated Documentary Study of Korean Youth Culture and Identity)

  • 박만기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5호
    • /
    • pp.397-415
    • /
    • 2016
  • 이 소논문은 시각적 민족지학의 기반의 실습/실행 기반 연구(Practice-led Research)로써 가상공간 속 게임 캐릭터 혹은 아바타, 그리고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s)과 관련하여 한국 청소년들은 어떻게 자신들의 정체성과 게임 문화를 애니메이션 미디어를 통해 형성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실습/실행기반 연구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소설 '지킬 앤 하이드'의 주제, 이중적 자아 정체성 혹은 정체성 혼란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의 청소년들의 온라인 아바타 생성과 게임문화를 탐구한다. 이를 위한 문헌조사와 관련하여, 본인은 조심스럽게 한국의 빠른 근대화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와 평행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예를들어, 경제적 압박과 변동 (예: 한국의 1997 IMF 사건), 그리고 그에 따른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과 연관된다. 이러한 면에서, 본인의 애니메이션 실습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지킬의 레터' 2014 - 사례연구 소개)은 소설,'지킬 앤 하이드'와 실제 한국인 소년의 살인사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조사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인은 이러한 비극적 사건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밝혀내기 위해 한국의 청소년들이 어떻게 온라인 게임을 그들의 일상의 삶에서 활용하는지 또한 그들의 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기위해 이와 같은 '실습/실행 기반 연구'를 구성하였다. 이는 1차적 자료를 얻기 위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조사방법을 병행한 민속지학적 접근방식을 차용하였다. 이러한 실습/실행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속 유저들과 그들의 실제 삶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청소년들의 문화와 정체성의 의미를 이해하며, 한국적인 특정 사례로 볼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소논문에서는 한국적 특정 사례와 관련한 연구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보다는 이와 같은 의문점을 답하기 위한 연구과정, 전략 그리고 애니메이션 실습 활용 방법에 대해 그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어떻게 애니메이션 실습을 활용하는지를 4가지 성격의 애니메이션 리얼리티 혹은 다큐멘터리를 소개한다. 결국 서로 다른 성격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실습방법에 의해 어떻게 한국 청소년들의 이중적 정제성과 나아가 한국적 특정사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