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s Consciousnes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with Focused on Freedom of Information

  • Kim, Tae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13-11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freedom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ccess right which improves transparent and speedy administration process. To build open Information, we scrutinize that causes of non access right and change of civil service consciousness, attitude for open information by effectively open system circumstances. The Important thing is basic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to the public through an agency's FOIA Reference Guide, all agencies must notify potential FOIA requesters of the formal rules and requirements for the making and handling of FOIA request, through their FOIA reg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per focused on Information access right, causes of non access right and proposed policy. In this paper, The author emphasize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freedom of information' necessity and problem that scrutinize a theoretic analysis, second, to understand civil servant's attitude for the freedom of information, third, to suggest action plan and agenda for the better of Good Governance and Democracy of information.

『난화몽기전(蘭花夢寄傳)』의 여성영웅과 비극성 (Orchid Dream Wonderful Biography(蘭花夢寄傳)'s heroine and tragic characteristics.)

  • 김명신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227-248
    • /
    • 2012
  • Orchid Dream Wonderful Biography(蘭花夢奇傳), whose author was Yimmeishanren(吟梅山人), is a Xia-Yi-Ai-Qing(俠義愛情) novel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work published in 1905 when Emperor Guangxu(光緖) governed China. The novel was reprinted for several times to its excellent art feature as well as its public praise. Orchid Dream Wonderful Biography narratives the life story of the heroin, Songbaozhu(松寶珠). Songbaozhu disguises herself as a man, takes the imperial examination, and takes part in the war. However, she is abused after marring Xuwenqing(許文卿), finally, she dies in misery. Songbaozhu's tragic fate show that although a woman may disguise as a man and makes great contributions in novel, it would never come true in reality. Songbaolin(松寶林) is also home to female hero. She has a younger brother and sister were strictly education. She is a female hero of the pitch. The writer creates her, had to satisfy a social reality male. Orchid Dream Wonderful Biography, this work has had a tragic or a reality. This work represents the limits of consciousness and the writers. Orchid Dream Wonderful Biography did not transcend male-oriented notions.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in Private Secur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 전용태;신소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163-189
    • /
    • 2014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임교육훈련이 직업의식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민간경비원의 전문성 함양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경호 경비업체와 그 지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1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매개효과로써 교육훈련과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선과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민간경비업체의 효과적인 관리행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루이스 어드릭의 『사랑의 묘약』에 나타나는 에로스의 정치성: 룰루와 마리를 중심으로 (The Politics of Eros in Louise Erdrich's Love Medicine : Focusing on Lulu and Marie)

  • 정진만
    • 비교문화연구
    • /
    • 제51권
    • /
    • pp.45-71
    • /
    • 2018
  • 이 논문은 루이스 어드릭이 널리 호평 받은 소설 "사랑의 묘약"(1993)에 등장하는 두 여성인물(룰루 나나푸시와 마리 라자르 캐시포)에 초점을 맞추어, 북미 원주민이 '사라지는 사람들'이라는 오래되고 위험한 관념을 심문하고 와해시키는 저자의 정치적으로 저항적인 목소리를 탐구한다. 우선, 이 논문은 정부정책의 실행, 법, 종교, 문화 면에서 드러나는 미국 백인의 식민주의적 지배에 대항한 치페와족의 다층적 저항을 살펴보면서, 어드릭이 '사라지는 사람들'('명백한 운명'의 또 다른 표현)에 대한 의식이 근거 없음을 이야기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둘째, 이 논문은 프로이트와 마르쿠제가 '에로스'(억압적 문명이 야기하는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삶을 통합하고 유지하려는 에너지)에 대해 제시한 성찰을 참조하여, 룰루와 마리의 사랑의 포용력을 중심으로 치페와족의 삶과 유산이 유지되고 부활하는 것에 대한 저자의 비전을 밝힌다. 치페와 인디언보호구역에 가해지는 파괴적이고 억압적인 식민주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룰루와 마리가 이들 자신과 더불어 부족공동체의 사랑과 유대를 강화하고 상호간의 갈등을 봉합하는 통합력은 역사의식에 기초한 어드릭의 '에로스'의 정치성을 밝혀줄 것이다.

C. S. Lewis's View of Myth, Fantasy, and Nostalgic National Restoration in Till We Have Faces

  • 진성은
    • 영미문화
    • /
    • 제18권3호
    • /
    • pp.93-113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C. S. Lewis's view of myth and religion in the mid-twentieth century England. Lewis provided his social and cultural criticisms for materialistic contemporary culture and a decline in religiosity in Till We Have Faces (1956). Under the agitated influence of the time period and social movements in which he had lived, Lewis's writing uncovers dynamic interactions with the traumatized world aroused by two World Wars and the apocalyptic aura of an upcoming new world. The narrative of Lewis's novel Till We Have Faces, in a larger perspective, presents the mixtures of mythic motifs and nostalgia. On the plot basis, the novel depicts contemporary spiritual blindness and national dissociations. Many criticisms of Lewis have not been exploring the author's keen knowledge of the modern society because of his conspicuous depictions of evil and grace involving religious and medievalist views. Nonetheless, the paper explores how Lewis's apocalyptical views, related to turmoil and nostalgia, uncover complexities of his religious dilemmas between restoring the deteriorated status of the privileged. Ultimately, it analyzes Lewis's consciousness of the social changes related to the larger, more often than not psychological, context of redefining the national empire.

문화속의 인간심성과 문화를 넘어선 인간심성 - 동과 서의 보다 나은 만남을 위하여 - (Human Mind Within and Beyond the Culture - Toward a Better Encounter between East and West -)

  • 李符永
    • 심성연구
    • /
    • 제28권2호
    • /
    • pp.107-138
    • /
    • 2013
  • 현대 임상정신의학이 그동안 잊어버렸거나 소홀히 해온 문화와 심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살펴보았다. 1. 문화 :01) 문화정신의학의 공적과 한계 및 그 해결책 ; 2) C.G. 융의 비 서구문화의 경험 ; 3) 융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본 문화 ; 4) 문화스펙트럼 모델 2. 심성 :01) 원시시대 및 고대의 심(心) 신(身)관 ; 2) 동양적 심성론 ; 3) 자기Self와 동양사상 문화정신의학은 정신건강문제의 문화적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정신의학에 큰 기여를 해왔으나 문화적 차이에만 관심을 집중한 나머지 인류보편의 공통된 심성을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인간의 건강한 심성을 등한시하고 문화의 역사적 측면을 간과하였으며 문화 상호간의 역동적 상호관계의 무의식적 심층적 측면을 보지 못했다. C.G. 융의 여행을 통한 이異 문화 체험 양식과 C.G. 융의 분석심리학설은 이 점에서 문화정신의학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인류학자들의 문화에 대한 다양한 개념 속에는 집단적 의식collective consciousness뿐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에 뿌리박은 내용이 발견된다. 저자는 이를 효孝를 예로 설명했다. 저자는 또한 문화 스펙트럼cultural spectrum이라는 설명모형을 제창하였는데 한국인의 경우 샤머니즘, 불교, 도교, 유고, 기독교 문화가 한 개체의 인격을 여러 가지 스펙트럼으로 구성됨을 제시하였다. 주로 네 가지 유형을 분류하였는데 그것은 1) 주로 불교문화가 우세한 사람, 2) 주로 유교문화가 우세한 사람, 3) 주로 샤머니즘문화가 우세한 사람, 4) 주로 기독교문화가 우세한 사람이다. 비록 의식표면은 하나의 종교문화가 우세하지만 내면에는 다른 종교문화가 섞이게 되며 가장 심층에 샤머니즘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문화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이해하고 치유의 접근을 할 때 이러한 스펙트럼 시각이 필요하다. 저자는 인간심성에 대한 고대중국의 개념과 동양종교의 관념, 그리고 C.G. 융의 자기개념에 대한 이해를 소개하고 이에 비길 수 있는 전체정신의 중심에 관한 한국의 선사, 원효의 생각, 대승기승론의 일심(一心), 노자의 도(道), 이퇴계의 천명도(天命圖), 이기설(理氣說)을 융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궁극적으로 정신요법의 목적은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는 '하나가 되는 것' 이며 '하나'가 됨은 문화에 제약된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나 이를 넘어선 인간 심성 전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재미작가 홍언의 미국기행시가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작가의식 (A Study on The Diaspora-Consciousness of Author in the travel-siga of Korean-American Writer Hong-Eun$(1880{\sim}1951)$)

  • 박미영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175-209
    • /
    • 2006
  • 기행문학이란 기행지의 풍물과 체험. 감회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자아(自我)와 맞닥뜨리는 자연 현상, 그리고 타인이라는 타자(他者)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시각이 표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인간이 기행하고 있는 공간은 현실적 체험의 공간으로 현실의 법칙이 적용되면서도 자신이 추구하는 정신적인 지향점을 찾아 나서는 내면화의 공간으로서 그 반응 양식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동안 미국에서 활약한 작가 홍언(洪焉: $1880{\sim}1951$)의 미국(美國) 기행(紀行) 시가(詩歌)-가사와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들 작품에서 홍언이 체험하고 표현하는 미국의 풍물과 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모를 논의한다. 1936년과 37년 그리고 1949년 두 차례에 걸쳐 $\ulcorner$신한민보$\lrcorner$에 발표하는 미국기행 시가를 중심으로 논의한 작가의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기행가사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을 전제한 망명자로서 내면적 갈등이 드러난다. 즉 인디언을 통한 정체성 상실과 이민자들의 비참한 노동현장을 보면서 미국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면서 향수에 젖어 끊임없이 고국으로의 귀환을 갈망한다. 두 번째 기행시조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지 못하게 된 현실에서 갈등한다. 즉 조국 귀환에로의 욕망이 좌절되면서 현지에 대한 친화적인 시선을 보이면서 이민지에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자아의 노력이 드러난다. 위에서 논의한 홍언의 작가의식의 변모를 바탕으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본질에 대해 가설적인 좌표를 마련해 보았다. 이민지인 현지와 조국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태도에 따라 좌표를 설정하였다. 홍언은 한국의 독립이라는 큰 사건을 계기로 조국에 긍정적이면서 현지에 부정적인 태도에서 그와는 정반대인 조국에 대해 부정적이면서 현지에 긍정적인 태도로 전환한다. 이 전환과정에서 홍언은 현지의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으로 재 이미지화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 고찰한 홍언의 기행 시가는 이민지인 미국의 자연과 인간이라는 복합적인 관계를 한꺼번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의 정신적인 궤적은 고국/이민지, 자아/타자, 향수/현실적응 등등의 현재 이산(diaspora), 혹은 후기 식민(post-colonial) 문학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복잡미묘한 정체성확인 지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도 존재하며 앞으로도 확산될 이민지 작가들의 정신적 지향-고국과 이민지라는 두 힘의 관계양상 속에서 향수와 현지적응에의 노력이라는 정체성 확인에 대한 다양한 축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 본다.

  • PDF

한국의 전통문화와 공동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Retard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Consciousness of Librarians & Users-)

  • 박인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207-242
    • /
    • 1989
  •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present deadlock situation in public library development in Korea has chiefly been caused by the underdevelop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librarians themselves presently employed in various levels of public libraries throughout the countr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define the areas in librarians' consciousness in which elements of backwardness prevail, and thereby to produce a theoretical framework to develop public library services in Korea on an indigenous footing. To do this, the present author set up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s, based on existing published materials. In order to prove hisirelatonship, he then sent out questionnaires to public librarian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answered questionnaires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follows: 1) Those who place an importance on the show of respectability tend to prefer to work in an indirect services area. 2) Male librarians tend to show a job satisfaction because of chances of promotion reflec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is-worldiness of librarians and their job satisfaction. 3) Male librarians tend to be satisfied in their job for the conviction for their self-accomplishment, and female librarians tend to be satisfied in their job for the attention and respect they receive from users. 4) Library technicians tend to draw their job satisfaction from their sense of job stability. 5) Male librarians tend to be dissatisfied for the lack of the monetary rewards they receive, while female librarians tend to be dissatisfied for the lack of promotional chances. 6) Most librarians tend to maintain a positive job attitude for the promotional chances, reflec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is­worldliness in librarians and their service attitude. 7) Power-orientednes in librarians and their job satisfaction correlate negatively in the case of male librarians. This does not apply to female librarians. 8) Power-orientedness and good service attitude correlate negatively in the case of male librarians. This does not apply to female librarians. 9) The fact that male high school students desire to enter good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obtain a position in his job positively correlate to the fact that public librari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a mere reading room. 10) Male library science students show a maladjustment in their major department in earlier years for the professional uncertainty, and as they advance into senior years they show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library profession.

  • PDF

정보기술과 현대시와의 융합에서 추출한 '소통과 유희' (An Extracted Communication and Amusement from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odern Poet)

  • 최성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1호
    • /
    • pp.27-36
    • /
    • 2015
  • 필자는 인문학과 과학의 교차점을 찾아 중첩하는 에너지를 현대시에 관철시키고 용합적 에너지를 도출하여 감히 인간 삶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 조그만 일임을 감당하기 위해서 현대적 감각을 가진 현대시로써 정보기술과 결탁하고 인간관계의 상관성에 합당한 '소통과 유희'를 누리고자 한다. 이 말은 곧 즐거운 인생을 살자는 의미다. 특히 유희란 바람직한 인간상을 위시하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장이라고 여긴다. 여기에는 조건적 매개가 필요한데 그것은 '진정한 자유와 참된 행복'이다. 이 두 가지가 선한 양심적 인간성의 특질에서 기인한다면 필자가 주창한 인문학적 영역인 '정보기술과 현대시와의 만남'에서 결국 '소통과 유희'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김수현 대사의 바흐찐적 독해 1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Bakhtinian Reading of the Su-Hyeon Kim's Lines 1 Focused on Bakhtinian Dialogism Theory)

  • 유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73-587
    • /
    • 2016
  •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 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해 최초 시도되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속적 연구 작업의 일환으로, 김수현 작가의 차별성, 작품성, 작가의식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 다섯 편에 뒤이은 본고는 김수현 작가의 대사를 연구함으로써 통합적 연구 작업을 계속하는 한편 언어 창조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차별성과 의식 저변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화법 연구 틀에서 벗어나 작가의 보다 근원적인 미학적, 인식론적 차별성의 탐구가 가능한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을 연구방법으로 적용한다. 이는 바흐찐이 예술언어를 다양한 사회 이념적 언어들 간 대화의 공존, 즉 다성성을 극대화하는 장으로 정의한 때문이다. 바흐찐은, 다성성의 구체적 지향점을 등장인물들과 작가의 관계에서 제시하여 '외재성'과 '경계이월성' '바라보기의 잉여성'을 작가에게 요구하며 이를 통하여 등장인물이 '총체' 형성에 이르도록 이끄는 역할자가 작가라고 말한다. 이는 작가와 등장인물간의 주체적인 상호간의 동등한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소통한다는 것'이라는 바흐찐의 유명한 명제처럼 '총체 형성'을 위한 비종결적인 대화의 특성이 뒤따른다. 본고는 김수현 작가의 초기작 <말희>와 멜로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 홈드라마 <엄마가 뿔났다>의 대사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의 구현 여부를 탐구하고 있다. 본고의 연구 결과 김수현 작가는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인공은 물론이고 등장인물들 모두와 상호 주체적인 동등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목소리, 다성성을 대사 구현에서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등장인물들 간 대사는 물론이고 등장인물 내부 목소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도 분석하고 있다. 또한 대화의 비종결성 역시 김수현 대사의 주된 특징으로 자리하고 있어 대사 자체 뿐만 아니라 오픈엔드의 극 마무리로까지 이어짐도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 김수현 작가에게 대사는 드라마를 이끌어 가기 위한 작가의 도구가 아니라 등장인물들 각각의 치열한 인식의 과정이고, 언어 자체 존재이며, 이는 초기부터 일관된 특성으로 작가의 차별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김수현 작가론에서 차지하는 대사 연구의 중요성과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의 방대함으로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의 카니발적 요소를 다시 김수현 작가 대사 연구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